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중심교육 실천을 위한 핵심 개념과 교사의 역할 재정립 = Redefining the Core Concept and Roles of Teachers for the Practice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81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by redefining the core concepts and the role of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practice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application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by redefining the core concepts and the role of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 practice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For this, the researchers reviewed the papers related to “young child-centered”,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perspective on children”, “child-centered”, “child-centered education”, “revised Nuri course”, “standard childcare course”. The analysis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was to define and organize academic concept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And the concept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e role of teach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4th standard childcare process were summarized. In the second stage, the perception, practice methods, concern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practice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were analyzed, and with the analysis, issues of perception, practice, evaluation, and environment were defined. Based on this, the core concepts ‘respect’, ‘interest’, ‘change’, and ‘responsibility’ of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were derived. In the third stage,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tage 1 and 2, ‘to recognize’, ‘to be together’, ‘to live an exemplary life’, ‘self-evaluating’ and ‘to guide’ were derived as the roles of teachers. Lastly, as measures necessary to support practice of teachers’ role, suggestions were made on ‘working environment’, ‘evaluation system’, ‘teacher and ledger’s education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practical guidelines for teachers who apply young child-centered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차 자료인 문헌연구를 통해 영유아중심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 개념과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영유아중심교육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2차 자료인 문헌연구를 통해 영유아중심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 개념과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영유아중심교육 적용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관’, ‘아동중심’, ‘아동중심교육’, ‘영유아중심’, ‘영유아중심교육’, ‘개정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관련 논문을 고찰하였다. 분석과정은 3단계로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 영유아중심교육의근거로 제시된 학자들의 이론과 2019 개정 누리과정·제4차 표준보육과정에서의 영유아중심교육 개념 및 교사의 역할을 정리하였다. 2단계로 영유아중심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을분석하여 인식, 실천, 평가, 환경의 문제를 발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유아중심교육의 핵심개념 ‘존중’, ‘흥미’, ‘변화’, ‘책임’을 도출하였다. 3단계에서는 1, 2단계의 결과를 분석하여 교사의역할로 ‘인식하기’, ‘함께하기’, ‘모범적인 생활하기’, ‘자기평가하기’, ‘안내하기’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교사의 역할 실천 지원에 필요한 방안으로 ‘근무 환경’, ‘평가제도’, ‘교사 및 원장의 교육 시스템’ 개선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중심교육을 적용하는 교사들에게 실제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선영 ; 임환미,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영유아중심· 놀이중심 개정 표준보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7 (7): 205-243, 2021

      2 구리나, "프뢰벨의 아동관 고찰: ‘발달순응적 교육’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449-465, 2016

      3 목홍숙, "프뢰벨, 슈타이너, 몬테소리의 아동관과 교육 사상 비교고찰" 3 (3): 45-59, 2011

      4 정선아, "프뢰벨 아동중심(child-centered) 용어의 의미" 20 (20): 189-208, 2000

      5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비교" 16 : 217-248, 1998

      6 김은혜,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함의"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237-267, 2021

      7 최성호 ; 정정훈 ; 정상원,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8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9 한진원, "자아존중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01-128, 2010

      10 김영옥, "유아중심 관점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사유(思惟)"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35-253, 2019

      1 윤선영 ; 임환미, "학습공동체 작업을 통한 영유아중심· 놀이중심 개정 표준보육과정 적용 과정에 대한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7 (7): 205-243, 2021

      2 구리나, "프뢰벨의 아동관 고찰: ‘발달순응적 교육’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449-465, 2016

      3 목홍숙, "프뢰벨, 슈타이너, 몬테소리의 아동관과 교육 사상 비교고찰" 3 (3): 45-59, 2011

      4 정선아, "프뢰벨 아동중심(child-centered) 용어의 의미" 20 (20): 189-208, 2000

      5 지옥정,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비교" 16 : 217-248, 1998

      6 김은혜,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함의"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237-267, 2021

      7 최성호 ; 정정훈 ; 정상원,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한국질적탐구학회 2 (2): 127-155, 2016

      8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9 한진원, "자아존중감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4 (14): 101-128, 2010

      10 김영옥, "유아중심 관점의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사유(思惟)"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35-253, 2019

      11 권혜진, "유아주도놀이 실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딜레마"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9 (19): 129-151, 2020

      12 권혜진, "유아주도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137-141, 2019

      13 서혜정 ; 서영숙 ; 김진숙, "유아에게 참여 기회를 주려는 교사의 노력과 그 경험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11-137, 2012

      14 이기숙, "유아교육개론" 양서원 2015

      15 여선옥 ; 심윤희, "유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경험 탐색" 유아교육연구소 22 (22): 158-183, 2020

      16 신은미 ; 손복영,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465-492, 2011

      17 허정민 ; 이진희, "유아교사들의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발달과 배움의 관점에서"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29, 2019

      18 김숙령 ; 여인우,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 (20): 247-266, 2019

      19 문수영 ; 조영주, "어린이집원장의 개정누리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 유아반 교사의 자율성 지원하기"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61-83, 2020

      20 김규수, "아동중심교육의 개념적 고찰: DAP에 대한 견해" 2 (2): 49-68, 1997

      21 김규수, "아동중심교육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탐색" 23 (23): 29-34, 2007

      22 허정민, "아동중심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의미구성과 실천" 계명대학교 2018

      23 김경화, "아동중심 교육론과 전통적 교육론의 통합적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24 양옥승, "아동중심 교육과정의 의미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103-117, 2005

      25 심숙영, "아동중심 교수방법과 기본 학습중심 교수방법에 대한 유아 교사의 신념" 26 : 21-39, 2001

      26 박용석,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관점에 따른 유아 및 아동의 발달과정"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265-294, 2008

      27 정효정, "보육교사의 권익보호 저해 요인에 대한 논점과 제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30) : 137-157, 2021

      28 김현자, "보육과정" 어가 2019

      29 강미연, "발도르프교육의 유아교육적 함의 고찰" 가천대학교 2016

      30 Jaffke, F., "발도르프 킨더가르텐에서의 놀이와 작업" 창지사 2000

      31 김영선, "몬테소리 유아교육론" 학지사 2000

      32 정윤경, "레지오와 발도르프 유아교육 비교 : 교육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5 (5): 43-67, 2020

      33 이은숙,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장 적용 실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4 홍순옥 ; 안영혜 ; 이종길,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에 대한 교사의 내러티브"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07-138, 2011

      35 송도선, "듀이의 아동 중심 교육의 진의" 16 : 147-167, 2005

      36 윤선영, "도야(Bildung)에 대한 독일의 사회적 요구와 발도르프유아교육계의 전략적 대처" 한독교육학회 13 (13): 129-148, 2008

      37 손수민, "누리과정 적용 및 실행에 대한 사립유치원장의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45-61, 2014

      38 정주인 ; 권귀염,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3-118, 2020

      39 박서연, "놀이중심과 유아중심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분석" 고신대학교 2020

      40 교육부,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41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75-103, 2020

      42 조부경 ; 서현정 ; 김명희,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 방향에 대한 성찰"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185-213, 2020

      43 전제아 ; 권희경 ; 김원경, "구성주위에 나타난 아동중심교육의 개념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6 (6): 1-17, 2002

      44 반채익,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을 중심으로" 22 (22): 5-24, 2005

      45 정선아, "교사들이 구성하는 아동중심교육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05-329, 2004

      46 곽향림 ; 안경숙, "교사 주도적 교수학습에 대한 반성적 재고: 교사와 유아의 삶의 관점에서"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09-337, 2010

      47 이재창, "교사 일방적 유아교육의 근본 원인에 대한 교육철학적 고찰 - 칸트의 교육철학을 중심으로 -"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163-181, 2018

      48 이은형 ; 김정숙, "고경력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개정누리과정 적용의 의미와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65-378, 2021

      49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9 (9): 5-33, 2019

      50 양수영,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425-448, 2020

      51 임부연 ; 손연주,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127-148, 2020

      52 윤선영, "“교육예술”로서의 교육과 “예술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고찰: 발도르프 유아교육 관점에서" 11 (11): 117-142, 2006

      53 권귀염, "‘흥미’에 대한 이해와 실천: 유아교사들의 오해와 혼란, 그리고 갈등"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237-262, 2015

      54 임상도 ; 송영화, "‘아동중심교육’에서 ‘유아중심교육’으로의 표기를 위한 고찰" 한국영유아보육학회 (98) : 51-69, 2016

      55 이선희, "‘아동으로부터 출발’의 교육적 재논의"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17-241, 2018

      56 조선경 ; 서영숙, "‘서울형 어린이집 자율장학’에서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47-171, 2010

      57 Chung, S., "Unpacking child-centeredness: A history of meanings" 32 (32): 215-234, 2000

      58 Boyd, W., "The emile of Jean Jacques Rousseau" Bureau of Publi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1970

      59 Savery, J.,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35 (35): 31-38, 1995

      60 김지원, "Montessori와 Fröbel 아동관의 비교" 2 (2): 115-134, 2004

      61 나성식, "John Dewey의 아동중심교육철학에 나타난 교육적 경험의 개념과 관련개념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62 Gandini, L., "Fundamentals of the Reggio Emilia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49 (49): 4-8, 1993

      63 Walsh, D. J., "Extending the discourse on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2 (2): 109-119, 1991

      64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The Macmillan Company 1958

      65 Wilson, P. S., "Child-centered education" 3 (3): 105-126, 1969

      66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67 조운주,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 초기의 유아교사 경험"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104-125,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