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rticle is written for looking a historical culture feature of the town ofUnbong(운봉) in the city of Namwon(남원시), Jeonla-do(전라도) and establishing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resourcesin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060013
심승구 (한국체육대학교)
2014
Korean
운봉 ; 십승지 ; 요새 ; 황산대첩 ; 흥부가 ; 동편제 ; 테마파크 ; cultural content. fort ; the Great Victory of Hwang-san ; fortification of Unbong
KCI등재
학술저널
169-188(2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icle is written for looking a historical culture feature of the town ofUnbong(운봉) in the city of Namwon(남원시), Jeonla-do(전라도) and establishing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resourcesin ...
The article is written for looking a historical culture feature of the town ofUnbong(운봉) in the city of Namwon(남원시), Jeonla-do(전라도) and establishing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resourcesin the town of Unbong(운봉) are as follows.
First, the town of Unbong(운봉) is a land of hope as well as a paradise asthe best of livable region. Second, it is not only the way joining Jeonla-do(전라도) and Gyeonsand-do(경상도) but also ‘the best of fort’(요새) in Korea. Third, it is the site of winning a war, the Great Victory of Hwang-san(황산대첩), defeating the Japanese pirates in the late Goryeo dynasty(고려, 918~1392). Forth, it is an assembly place of products in the North of the Jirisan(지리산)and a large granary. Fifth, it is the cradle of the Pansori(판소리, the Koreantraditional music) and the home of ‘Heungbuga’(흥부가).
Among this chracteristics, the key point of development of the culturalcontent in the town of Unbong(운봉) is ‘fortification of Unbong’. The ‘fort’ isan important idea that the town of Unbong(운봉) only has.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지리산 서북 자락에 위치한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이 지닌 자연, 역사,문화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문화콘텐츠 전략을 수립하기위해 작성되었다. 운봉이 지닌...
이 글은 지리산 서북 자락에 위치한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이 지닌 자연, 역사,문화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활용을 위한 문화콘텐츠 전략을 수립하기위해 작성되었다. 운봉이 지닌 역사문화 자원의 특성을 몇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봉은 전국 최고의 길지인 십승지 가운데 하나로서, 현실의 낙원인 동시에 희망의 땅이었다. 둘째, 운봉은 영호남을 잇는 교통로로서, 삼국시대 이래 난공불락의 ‘최고 요새’ 였다. 셋째, 운봉은 고려 말 왜구 격퇴에 최대 격전이 벌어졌던 황산대첩의 전승지이다. 넷째, 운봉은 지리산 북부의 물산의 집합지이자, 만석군을 배출할 정도의 곡창지대이다. 다섯째, 운봉은 신라의 악성 옥보고가 거문고를 발전시킨 곳이자, 판소리 동편제의 산실이고 흥부가 본고장이다.
이 밖의 운봉의 유래를 밝혀줄 가야의 고분군과 야철지, 한국 선불교의 출발지로 천년 선문을 이어온 실상사, 인월장에서 지리산 벽소령을 넘어 화개장으로 이어지는 소금길, 고려이래로 목기를 생산한 덕동리ㆍ부운리ㆍ서천리의 운봉목기,흑우(黑牛)ㆍ흑돈(黑豚) 등의 축산물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귀중한 지역의 문화유산이자 자연자원이다. 이와 같이 운봉은 동서가 소통하고 화합하는 통로로서, 공존과 희망의 공간이요 풍요와 문화예술의 땅이자, 수천 년을 이어온 천혜의 요새였다.
이상에서 살핀바와 같이 운봉의 문화콘텐츠 개발의 핵심 컨셉은 ‘운봉의 요새화’ 전략이다. ‘요새’란 운봉 지역만이 갖는 문화자원의 핵심 개념이다. 백두대간과 지리산의 고봉으로 둘러싸인 운봉은 천연의 고지 위에 인공의 산성이 빚어낸 최고의 보장처다. 천혜의 아름다운 풍광과 그 속에서 미래의 희망을 꿈꾸었던 운봉고원은 그 자체로 이미 환상적인 체험의 기회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승구, "한국 술 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술 문화의 글로벌콘텐츠를 위한 담론체계 탐색-" 2005
2 심승구, "역사 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 재생의 의미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5) : 39-67, 2012
3 심승구,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 문화재청 2006
4 "대동여지도"
5 심승구,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사례와 전망" 대전대 (6) : 2008
6 필리포스 루키사스, "관광과 환경의 충돌 -그리스 미코노스 섬의 사례" 일신사 1986
7 "고지도 1827년지방도, 운봉현지도"
8 "雲城誌"
9 軍政, "萬機要覽"
10 "新雲城誌"
1 심승구, "한국 술 문화의 원형과 콘텐츠화 -술 문화의 글로벌콘텐츠를 위한 담론체계 탐색-" 2005
2 심승구, "역사 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 재생의 의미 - 수원 화성을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25) : 39-67, 2012
3 심승구, "문화재 활용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연구" 문화재청 2006
4 "대동여지도"
5 심승구, "군사사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의 사례와 전망" 대전대 (6) : 2008
6 필리포스 루키사스, "관광과 환경의 충돌 -그리스 미코노스 섬의 사례" 일신사 1986
7 "고지도 1827년지방도, 운봉현지도"
8 "雲城誌"
9 軍政, "萬機要覽"
10 "新雲城誌"
11 李重煥, "擇里志" 卜居總論
12 "「동아일보」1978.3.24일자, 운봉목기"
13 "「경향신문」1968.10.10일자. 민예의 마을 운봉목기"
14 정약용, "≪다산시문집≫ 권14, 발, 황산대첩비"
순조초기 정순왕후 수렴청정기의 官人 임용양상과 권력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 | 0.3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8 | 0.55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