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朝鮮後期 正祖代의 政局과 市廛政策 -貢市人詢瘼을 중심으로 =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Sijeon(市廛) policy of the King Jeongjo(正祖) in Chosen Dyansty. -Examination of the Practice of "Royal Inquiries made to the Gong'in figures and merchants(貢市人詢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0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not only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climate (as well as the changes in political factions) that continued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but also certain problems that involved the market ...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not only the changes in the political climate (as well as the changes in political factions) that continued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but also certain problems that involved the market merchants at the time. Among such problems, especially examined here are the problems that occurred between the Official marketplace of the Capital city(市廛[=京市]) and other local markets(場市[=鄕市]) in the Songpa, Nu'weon and Su'weon areas. Also examined is the question of which entity had the ultimate authority to ban other stores with similar items from being opened, and what was the ordinary range of such authority. And the discussion will also cover the "Tong'gong" orders issued at the time, and also the issue of 'reforming(釐正).'Since the latter half of King Yeongjo's reign, and through the early days of King Jeongjo's reign, there was a discussion to either shut down or leave opened the 'Songpa local market.' The discussion was led by no other than the King and the Crown prince. The Songpa local market survived the debate, and the Crown prince wanted to reduce the monopolistic authority inside the market (which we usually call as the 'Geum-Nan'jeon-gweon' authority that banned other new stores from opening), but then the so-called "Tragedy of the Im'o year(in which Crown prince Sado was killed by his own father Yeongjo)" happened. In 1764(40th year of Yeongjo's reign) and 1768(Yeongjo's 44th year), Tong'gong orders called the 'Gabshin-year Tong'gong' and 'Muja-year Tong'gong' were issued by the Buk'han-dang and Nam'han-dang parties respectively. Later, similar market policies led by Hong Guk-yeong and Seo Myeong-seon continued to be implemented in the early days of King Jeongjo's reign.
      In the middle period of Jeongjo's reign, the Hong Guk'yeong faction politically fell, and the Nam'dang sect of the Westerners party's "Juniors" faction("So'ron") and the Dong'dang sect of the same party's "Elders" faction("No'ron") came to lead the government. In 1782(6th year of Jeongjo's reign), due to the drafting of civilians for the Gyeong'mo-gung construction, a conflict broke out between the "Yeo'gaek Ju'in" figure of Gyeong'mo-gung(the "Dong'chon Yeo'gaek") and the Nu'weon-jeom store["Dong'buk Yeo'gaek"]. In 1784(8th year of King Jeongjo's reign), in response to the "Coins draught"("Jeon'hwang, 錢荒") phenomenon, the policy of 'Loaning to Gong'in figures and merchants("貢市人散貸策")' was implemented, and in 1785(Jeongjo's 9th year) additional coins were created('鑄錢'). In 1786(Jeongjo's 10th year) the Byeong'o-year Tong'gong order (which was very similar to the Gabshin-year Tong'gong) was issued, and in 1787(Jeongjo's 11th year) the Jeongmi-year Order("Pan'ha") was issued as well. Meanwhile, in 1786 when the 'Byeong'o-year Loss(喪變)’ occurred, the So'ron faction's Dong'dang sect and the meritorious figures in the military were expelled from the government.
      In the latter half of King Jeongjo's reign, all the parties: No'ron, So'ron and Nam'in(the Southerners) parties created an environment which we now call ‘Sam'sang Bo'hab(三相保合).’ In 1789(13th year of Jeongjo's reign) Hyeon'ryung-weon was created at Su'weon, and in 1790(14th year) a Su'weon marketplace was established too. This led to a conflict between the market place in the Capital and the local markets in Songpa, Nu'weon and Su'weon. In 1791(15th year of Jeongjo's reign) the monopolistic authority of powerful stores (with the exception of the Six Major Stores) were abolished by the Shin'hae-year Tong'gong order. In 1794(18th year of Jeongjo's reign), one "Jubi" was extracted from the Fishery and Blue Textile stores, and instead a Textile store was inserted, by the Gab'in-year Tong'gong order.
      Through the "Gong/Shi'in Sun'mak" practice, implemented in the latter half of King Yeongjo's reign and continued during King Jeongjo's reign as well, the conflicts between the official Cent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영·정조년간의 정치세력·정국의 변화와 함께, 시전정책의 하나였던 貢市人詢瘼 중 市廛상인들의 폐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서울 市廛[=京市]과 송파·누원·수원 場市[=鄕�...

      본고는 영·정조년간의 정치세력·정국의 변화와 함께, 시전정책의 하나였던 貢市人詢瘼 중 市廛상인들의 폐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서울 市廛[=京市]과 송파·누원·수원 場市[=鄕市]간의 문제, 금난전권 행사 주체와 범위문제, 통공의 시행과 釐正의 문제를 주목하였다.
      영조 후반에서 정조 초의 시기에는 영조와 왕세자를 중심으로 한 송파 장시의 폐지와 유지 논의가 있었고, 송파 場市[=鄕市]는 유지되었다. 이후 왕세자는 금난전권을 축소·완화하려 했으나, ‘임오화변’이 발발하였다. 영조 40년(1764)과 44년(1768)에는 북한당과 남한당에 의해 ‘갑신통공’·‘무자통공’이 시행되었다. 이후 ‘갑신통공’ 위주의 시전정책이 시행되었고, 정조 초반 홍국영·서명선에 의해 주도되었다.
      정조 중반의 시기에는 홍국영세력이 몰락하고, 소론 남당계와 노론 동당계가 정국을 운영하였다. 정조 6년(1782) 경모궁 모민책으로 경모궁 여객주인[=동촌여객]과 누원점[=동북여객]의 대립이 발생했다. 정조 8년(1784) 錢荒의 폐단을 釐正하기 위해, 貢市人散貸策을 시행했고, 정조 9년(1785)에는 鑄錢을 시행했다. 정조 10년(1786)에는 ‘갑신통공’과 유사한 ‘병오통공’을 시행했고, 정조 11년(1786)에는 ‘정미판하’를 시행했다. 더불어 정조 10년(1786) ‘병오년의 喪變’으로 시전정책의 주도권을 행사하던 소론 동당계와 훈신 무장세력이 정계에서 축출되었다.
      정조 후반의 시기에는 노·소론·남인의 ‘三相保合’ 정국을 이루었다. 정조 13년(1789) 수원에 현륭원을 천봉하였고, 정조 14년(1790) 수원에 시전을 설치하였다. 이 때문에 서울·수원市廛과 송파·누원·수원 場市[=鄕市]의 대립이 발생하였고, 정조 15년(1791) 6의전 외 일반시전의 금난전권을 혁파하는 ‘신해통공’을 실시하였다. 정조 18년(1794) 6의전 안에서 어물전과 청포전의 1주비를 빼고, 포전을 넣는 ‘갑인통공’을 실시하였다.
      영조 후반 정조년간에 시행된 공시인순막을 통한 시전정책의 시행으로 市廛[=京市]과 場市[=鄕市]간의 대립이 해소되었고, 금난전권 행사를 축소·완화하는 통공정책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이로써 정조는 정치적으로는 노론·소론·남인의 준론세력이 ‘同寅協恭’하는 탕평정치를 지향하였고, 사회적으로는 정부와 모든 백성[=都城民과 鄕民]이 직접적인 대화와 소통을 하는 大同사회의 이상을 구현하려했던 일련의 조치와 함께, 경제적으로는 시전과 장시에 관한 재정적 주도권을 호조와 한성부로 일원화하고자 노력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須川英德, "李朝商業政策史硏究" 동경대출판회 1994

      2 김정자,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태학사 2011

      3 이세영, "조선후기 정치경제사" 혜안 2001

      4 최주희, "조선후기 왕실·정부기구의 재편과 서울의 공간구조" 서울학연구소 (49) : 131-172, 2012

      5 변광석,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혜안 2001

      6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 연구" 지식산업사 1998

      7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정만조, "조선시대 붕당론의 전개와 그 성격, In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9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10 김정자, "정조대 통공정책의 시행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1 須川英德, "李朝商業政策史硏究" 동경대출판회 1994

      2 김정자,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태학사 2011

      3 이세영, "조선후기 정치경제사" 혜안 2001

      4 최주희, "조선후기 왕실·정부기구의 재편과 서울의 공간구조" 서울학연구소 (49) : 131-172, 2012

      5 변광석, "조선후기 시전상인 연구" 혜안 2001

      6 고동환, "조선후기 서울상업발달사 연구" 지식산업사 1998

      7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8 정만조, "조선시대 붕당론의 전개와 그 성격, In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9 정해득, "정조시대 현륭원 조성과 수원" 신구문화사 2009

      10 김정자, "정조대 통공정책의 시행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11 최성환,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2 김백철, "영조의 순문詢問과 위민정치爲民政治 ― ‘애민愛民’에서 ‘군민상의君民相依’로" 한국국학진흥원 (21) : 181-228, 2012

      13 이근호, "영조대 탕평파의 국정운영론 연구" 국민대 2002

      14 정만조, "영조대 초반의 탕평책과 탕평파의 활동" 56 : 1983

      15 정만조, "영조대 중반의 정국과 탕평책의 재정립, In 조선후기 탕평정치의 재조명 下" 태학사 2011

      16 정승모, "시장으로 보는 우리 문화 이야기" 웅진닷컴 1992

      17 서울학연구소, "서울상업사연구, In 서울학연구" 1998

      18 서울학연구소, "비변사등록 중 서울관련기사 색인 · 일성록 중 서울관련기사 색인"

      19 이정철,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백성은 먹을 것을 하늘로 삼는다" 역사비평사 2010

      20 송양섭, "균역법 시행과 균역청의 재정운영-급대재원의 확보와 운영을 중심으로, In 영조대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21 "頤齋亂藁"

      22 김정자, "英祖 後半 政局과 通共策 論議" 한국학연구소 34 : 727-759, 2010

      23 수원시, "水原下旨抄錄"

      24 송양섭,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대동문화연구원 (76) : 79-128, 2011

      25 "正祖實錄 · 正祖實錄" 고전번역원

      26 김정자, "正祖代 前半期의 政局動向과 政治勢力의 變化(Ⅰ)" 한국학연구소 37 : 293-324, 2012

      27 최완기, "朝鮮後期 樓院店의 經濟的 立地" 高麗史學會 7 : 1999

      28 "朝鮮寺刹史料 上"

      29 김정자, "景慕宮 改建과 追崇典禮論議, In 한신역사학총서2 潭云 서굉일교수 정년기념 논총-지배문화와 민중의식" 한신대학교 출판부 2008

      30 "日省錄"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31 "文科榜目 · 司馬榜目"

      32 "承政院日記" 국사편찬위원회

      33 "大典會通"

      34 "各廛記事"

      35 "丙午所懷謄錄, 서울대학교 고전총서" 1970

      36 "『籌謨錄』圭.4250-98[=古 4250-9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37 최주희, "18세기 중반 定例類에 나타난 王室供上의 범위와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27) : 38-69, 2012

      38 김동철, "18세기 말 경모궁 모민과 그들의 상업활동" 부산경남역사연구소 (8) : 2001

      39 오미일, "18·19세기 새로운 貢人權,廛契창설운동과 亂廛活動" 10 : 1987

      40 김정자, "1780년대 ‘貢市散貸’와 ‘丙午通共’ 施行의 政治的 意味, In 중부지역의 고고문화와 역사" 한신대 출판부 2011

      41 "(국역) 일성록 · 弘齋全書 萬機要覽" 고전번역원

      42 "(국역) 正祖實錄 · 正祖實錄" 국사편찬위원회

      43 "(국역) 備邊司謄錄 · 備邊司謄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