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중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유화${\cdot}$분산된 Bunker-C유의 생분해도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용존산소소비를 연구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시판 중인 유처리제 및 국내 연안에 있어 유류오염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12866
김광수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박청길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김종구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KIM Gwang-Su ; PARK Chung-Kil ; KIM Jong-Gu
1993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519-528(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해수중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유화${\cdot}$분산된 Bunker-C유의 생분해도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용존산소소비를 연구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시판 중인 유처리제 및 국내 연안에 있어 유류오염사...
해수중에서 유처리제에 의해 유화${\cdot}$분산된 Bunker-C유의 생분해도와 이로 인해 나타나는 용존산소소비를 연구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시판 중인 유처리제 및 국내 연안에 있어 유류오염사고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Bunker-C유에 대한 TOD분석과 원소분석을 행하고, 또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대해 천연해수를 이용한 생분해 실험을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mg의 Bunker-C유는 3.16mg의 TOD를 나타내는 반면에 1mg의 유처리제는 2.80mg의 TOD값을 나타내었다. 2. Bunker-C유는 $87.3\%$의 탄소와 $11.5\%$의 수소를 함유하였으며, 유처리제는 $76.5\%$의 탄소와 $12.2\%$의 수소를 함유하였다. Bunker-C유와 유처리제 중 어느 시료에서도 질소는 검출되지 않았다. 3. 천연해수 중에서 일정량의 Bunker-C유(4mg/l)에 대하여 유처리제를 $10:1{\sim}10:5$의 혼합비율로 첨가한 Bunker-C유/유처리제 혼합물에 관해서 정리하면, 혼합물의 $BOD_5$는 $0.34{\sim}2.06mg/l$였고 $BOD_{20}$는 $1.05{\sim}5.47mg/l$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BOD는 증가하였다. 혼합물은 생분해도($BOD_5$/TOD)가 $3{\sim}11\%$로서 저율 분해군에 속하였다. 또한 혼합비율이 10:1에서 10:5로 증가함에 따라 혼합물의 생분해도는 $3\%$에서 $11\%$로 증가하였다. 혼합물의 탈산소계수($K_1$)는 $0.072{\sim}0.097/day$였으며, 혼합물의 최종산소요구량($L_o$)은 $1.113mg/l{\sim}6.746mg/l$로서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종산소요구량도 증가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odegradation experiment, the TOD analysis and the element analysis for dispersant, Bunker-C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evaluating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nat/Bunker-C oil mixtures and studying ...
The biodegradation experiment, the TOD analysis and the element analysis for dispersant, Bunker-C and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s were conducted for the purposes of evaluating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nat/Bunker-C oil mixtures and studying the consumption of dissolved oxygen with relation to biodegradation in the seawater. The results of biodegradation experiment showed the mixtures with $1:10{\sim}5:10$ mix ratios of dispersant to 4mg/l of Bunker-C oil to be $0.34{\sim}2.06mg/l$ of $BOD_5$ and to be $1.05{\sim}5.47mg/l$ of $BOD_{20}$ in natural seawater. The results of TOD analysis showed 1mg of Bunker-C oil to be 3.16mg of TOD. The results of element analysis showed the contents of carbon and hydrogen to be $87.3\%\;and\;11.5\%$ for Bunker-C oil, respectively, but nitrogen element was not detected in Bunker-C oil. The biodegradability of dispersant/Bunker-C oil mixture shown as the ratio of $BOD_5$/TOD was increased from $3\%\;to\;11\%$ as a mix ratio of dispersant to 4mg/l of Bunker-C oil changed from 1:10 to 5:10, and the mixtures were found to belong in the organic matter group of low-biodegradability. The deoxygenation rates($K_1$) and ultimate oxygen demands($L_o$) obtained through the biodegration experiment and Thomas slope method were found to be $0.072{\sim}0.097/day$ and $1.113{\sim}6.746mg/l$ for the mixtures with $1:10{\sim}5:10$ mix ratios of dispersant to 4mg/l of Bunker-C oil, respectively. The ultimate oxygen demand of mixture was increased as a mix ratio of dispersant to Bunker-C oil changed from 1:10 to 10:5. This means that the more dispersants are applied to the sea for Bunker-C oil cleanup, the more decreases the dissolved oxygen level in the seawate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DHA from Skipjack Orbital Tissue Oil
The Effect of Wind Stres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Waters of the Japan Sea
코끼리조개의 월별 조성변화와 가열 전처리가 냉동저장중의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동해연안역 해수면변동에 미치는 태풍의 영향 -I. 일본 북부연안에서의 해수면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