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욕구에 관한 연구 :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Needs of After 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in As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066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산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의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과 학부모 측면에서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학생과 1-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여기에는 사회복지관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경우, 이용하다 그만둔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7%에 불과했고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이용 아동들의 이용 이유를 보면 부모님이 보내서 다니는 경우가 43%로 가장 많았고, 이용한 적이 없는 아동들이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37%로 가장 많았다. 전에 이용하다 그만둔 아동들의 이유를 보면 나쁜 친구들이 많아서가 22%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한 적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즐거워하는 활동은 요리가 36%, 간식시간이 26% 이었으며, 방과후 교실의 가장 좋은 점은 숙제나 공부에 도움이 되어서가 4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재미있는 놀이가 있어서가 29%이었다. 반면에 나쁜 점은 교실이 깨끗하지 않다, 없다가 2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보내는 평균 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6%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욕구를 살펴보면 아동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실시 적정기관으로는 초등학교 33%, 학원 28%, 사회복지관 17%의 순서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도교사는 학교선생님 38%, 아동지도사 25%, 자원봉사자 12% 순이었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참여시 적정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56%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꼭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예능·특기 개발이 24%로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학습 보충, 컴퓨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모두 18%로 같은 순위를 나타냈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신체활동을 33%가, 여학생은 예능·특기를 44%가 우선으로 하여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학부모를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현재 보내고 있는 경우가 12%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교실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를 보면 낮시간에 아이를 보살필 성인이 없어서, 아이가 심심해함으로 또래와 어울림의 목적으로, 학업성취를 위해서가 모두 21%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한번도 보낸 적이 없는 학부모의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보면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55%로 나타나 사회복지관의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었고, 부모들이 전에는 보냈으나 지금은 보내지 않는 이유를 보면 방과후 프로그램이 마음에 안 들어서가 26%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부모들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지도를 선택한 이유 중 저렴한 비용이 41%,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 32%로 나타나 저소득층 가정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프로그램의 선택시 우선 조건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시간과 월회비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이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 중 가장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점은 수강료가 싸다 36%, 여러 과목을 한 장소에서 수강할 수 있다 32%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좋지 않은점은 강사 교체가 잦다가 21%로 가장 많았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살펴보면 부모들의 38%가 자녀의 방과후 지도비를 국가가 부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부모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실시 적정기관은 초등학교 47%, 사회복지관 28%, 학원 14% 순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 아동지도 적당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0%로 가장 많았고, 부모들이 희망하는 방과후 지도교사는 아동지도사 65%, 초등학교교사 14% 순으로 나타나 아동들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부모들이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프로그램 내용 28%, 비용21%, 기관의 위치 18%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의 방과후 지도에 대한 요구사항을 보면 아동의 전인적 교육이 28%, 아동의 안전한 보호가 25%, 특기지도가 23%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은 글쓰기, 독서가 13%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영어·한문, 컴퓨터 12%, 숙제지도 11%, 음악·미술 9%, 학습지도 8% 순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은 학습지도나 숙제지도보다 글쓰기나 독서지도 등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산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의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과 학부모 측면에서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

      본 연구는 아산시 영구임대아파트 단지내의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과 학부모 측면에서 검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학생과 1-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여기에는 사회복지관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경우, 이용하다 그만둔 경우, 이용하지 않는 경우 등을 포함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아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아동이 7%에 불과했고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이용 아동들의 이용 이유를 보면 부모님이 보내서 다니는 경우가 43%로 가장 많았고, 이용한 적이 없는 아동들이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37%로 가장 많았다. 전에 이용하다 그만둔 아동들의 이유를 보면 나쁜 친구들이 많아서가 22%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현재 이용하고 있거나 이용한 적이 있는 아동들이 가장 즐거워하는 활동은 요리가 36%, 간식시간이 26% 이었으며, 방과후 교실의 가장 좋은 점은 숙제나 공부에 도움이 되어서가 48%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재미있는 놀이가 있어서가 29%이었다. 반면에 나쁜 점은 교실이 깨끗하지 않다, 없다가 2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동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보내는 평균 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6%로 나타났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욕구를 살펴보면 아동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실시 적정기관으로는 초등학교 33%, 학원 28%, 사회복지관 17%의 순서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도교사는 학교선생님 38%, 아동지도사 25%, 자원봉사자 12% 순이었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참여시 적정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56%로 나타났고, 아동들이 꼭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예능·특기 개발이 24%로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학습 보충, 컴퓨터, 신체활동 프로그램은 모두 18%로 같은 순위를 나타냈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신체활동을 33%가, 여학생은 예능·특기를 44%가 우선으로 하여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를 학부모를 통해 알아보았다. 첫째,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살펴보면 현재 보내고 있는 경우가 12%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교실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를 보면 낮시간에 아이를 보살필 성인이 없어서, 아이가 심심해함으로 또래와 어울림의 목적으로, 학업성취를 위해서가 모두 21%로 가장 많았다. 또한 한번도 보낸 적이 없는 학부모의 이용하지 않는 이유를 보면 사회복지관을 잘 몰라서가 55%로 나타나 사회복지관의 홍보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었고, 부모들이 전에는 보냈으나 지금은 보내지 않는 이유를 보면 방과후 프로그램이 마음에 안 들어서가 26%로 가장 많았다. 또한 부모들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지도를 선택한 이유 중 저렴한 비용이 41%,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 32%로 나타나 저소득층 가정에 있어서 저렴한 비용이 사회복지관 방과후 프로그램의 선택시 우선 조건이 되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이용시간과 월회비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이 사회복지관의 방과후 프로그램 중 가장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점은 수강료가 싸다 36%, 여러 과목을 한 장소에서 수강할 수 있다 32%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좋지 않은점은 강사 교체가 잦다가 21%로 가장 많았다.
      둘째,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욕구를 살펴보면 부모들의 38%가 자녀의 방과후 지도비를 국가가 부담해 주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부모들이 생각하는 방과후 실시 적정기관은 초등학교 47%, 사회복지관 28%, 학원 14% 순으로 나타나 초등학교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방과후 아동지도 적당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이 30%로 가장 많았고, 부모들이 희망하는 방과후 지도교사는 아동지도사 65%, 초등학교교사 14% 순으로 나타나 아동들과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부모들이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은 프로그램 내용 28%, 비용21%, 기관의 위치 18%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의 방과후 지도에 대한 요구사항을 보면 아동의 전인적 교육이 28%, 아동의 안전한 보호가 25%, 특기지도가 23%의 순서로 나타났다. 부모가 희망하는 프로그램은 글쓰기, 독서가 13%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영어·한문, 컴퓨터 12%, 숙제지도 11%, 음악·미술 9%, 학습지도 8% 순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은 학습지도나 숙제지도보다 글쓰기나 독서지도 등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아산시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provided by social welfare center in permanently leased apartment complexes in the Asan city were utilized, how much satisfaction they gave to participants and what children and their parents expected from them. It's basically attempted to seek ways of making after-school programs more prevailing in that c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their first to fourth year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ll the children who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the social welfare center, stopped doing that and never participated that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needs, just 7 percent of the children investigated currently participated in the after-school programs. By gender, the girls participated them more than the boys. Among the participants, 43 percent, the largest group, were made by their parents to attend the welfare center, and among the non-participants, 37 percent, the greatest group, weren't aware of that.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2 percent stopped attending the center because there were lots of bad friends. The favorite activity of the current and past participants was cooking which is 36 percent, followed by snack time which is 26 percent. Concerning the best benefi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48 percent, the greatest group, found them to be useful for doing their homework or studying, and 29 percent, the second largest group, pointed out exciting plays. As to the disadvantage of the programs, 23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e classroom was unclean. And 36 percent, the largest group, spent a mean of one to less than two hours in after-school classrooms.
      Second, in regard to the children'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3 percent, the largest group,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providing after-school programs, followed by academies which is 28% and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17 percen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 was school teachers which is 38 percent, followed by child instructors which is 25% and volunteers which is 12 percent. 56 percent thought it's most advis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s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24 percent, the greatest group, wanted to take part in programs that taught music or art or could develop their special talents. The second largest group, 18 percent, wanted to take computer classes, be engaged in physical activities or fix their academic deficiencies. Their gend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boys gave more weight to physical activities whereas the girls placed more stock in art, music and talent development.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s by the parents,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12 percent of the parents investigated had their children attend the social welfare center. Among the user parents, 21 percent, the largest group, used the after-school programs because there were no adults who c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daytime, because their children were bored, or because they wanted to have their children get along with peers or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non-participant's parents, 55 percent didn't participate in that as they didn't know about them.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more publicized, and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6 percent, the largest group, stopped participating them since they didn't like their after-school programs. As for the reason why they selected the social welfare center, 41 percent cited low cost, and 32 percent answered they were located around their houses.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low-income families made low cost a priority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y were roughly satisfied with th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s and monthly cost. Concerning the best advantage of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36 percent pointed out inexpensive cost, and 32 percent replied it's possible to take different courses at the same place. As to their disadvantage, 21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at the program instructors changed often.
      Second, concerning the parent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8 percent wanted the government to pay for after-school programs on behalf of them. They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offering after-school programs which is 47 percent, followed by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28% and academies which is 14 percent. Thus, elementary school was preferred the most. 30 percent, the largest group, wanted their children to be taken care of after school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and their preference for program instructor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ildren, as instructors who could take care of children were most preferred which is 65 percent,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ch is 14 percent.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 content of program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ost which is 21% and institute location which is 18 percent. As to their needs, well-round education was most widely expected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hild safety which is 25 percent and talent improvement which is 23 percent.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were most widely wanted which is 13 percent, followed by English, Chinese character and computer classes which is 12 percent, homework guidance which is 11 percent, and academic guidance which is 8 percent, which indicated the parents had a higher liking for writing or reading guidance rather than for academic or homework guid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how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Asan city could produce better results and be more widespread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provided by social welfare center in permanently leased apartment complexes in the Asan city were utilized, how much satisfaction they gave to participa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 provided by social welfare center in permanently leased apartment complexes in the Asan city were utilized, how much satisfaction they gave to participants and what children and their parents expected from them. It's basically attempted to seek ways of making after-school programs more prevailing in that c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ird and four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parents whose children were in their first to fourth year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All the children who were currently participating the social welfare center, stopped doing that and never participated that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hildren's participation of after-school child guidance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needs, just 7 percent of the children investigated currently participated in the after-school programs. By gender, the girls participated them more than the boys. Among the participants, 43 percent, the largest group, were made by their parents to attend the welfare center, and among the non-participants, 37 percent, the greatest group, weren't aware of that.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2 percent stopped attending the center because there were lots of bad friends. The favorite activity of the current and past participants was cooking which is 36 percent, followed by snack time which is 26 percent. Concerning the best benefi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48 percent, the greatest group, found them to be useful for doing their homework or studying, and 29 percent, the second largest group, pointed out exciting plays. As to the disadvantage of the programs, 23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e classroom was unclean. And 36 percent, the largest group, spent a mean of one to less than two hours in after-school classrooms.
      Second, in regard to the children'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3 percent, the largest group,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providing after-school programs, followed by academies which is 28% and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17 percen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 was school teachers which is 38 percent, followed by child instructors which is 25% and volunteers which is 12 percent. 56 percent thought it's most advisable for them to participate in after-school programs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24 percent, the greatest group, wanted to take part in programs that taught music or art or could develop their special talents. The second largest group, 18 percent, wanted to take computer classes, be engaged in physical activities or fix their academic deficiencies. Their gend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boys gave more weight to physical activities whereas the girls placed more stock in art, music and talent development.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of the after-school programs by the parents,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12 percent of the parents investigated had their children attend the social welfare center. Among the user parents, 21 percent, the largest group, used the after-school programs because there were no adults who could take care of their children in the daytime, because their children were bored, or because they wanted to have their children get along with peers or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non-participant's parents, 55 percent didn't participate in that as they didn't know about them. Social welfare center should be more publicized, and in the case of the past participants, 26 percent, the largest group, stopped participating them since they didn't like their after-school programs. As for the reason why they selected the social welfare center, 41 percent cited low cost, and 32 percent answered they were located around their houses.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low-income families made low cost a priority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y were roughly satisfied with the time of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s and monthly cost. Concerning the best advantage of the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36 percent pointed out inexpensive cost, and 32 percent replied it's possible to take different courses at the same place. As to their disadvantage, 21 percent, the greatest group, answered that the program instructors changed often.
      Second, concerning the parents' needs for after-school programs, 38 percent wanted the government to pay for after-school programs on behalf of them. They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institute of offering after-school programs which is 47 percent, followed by social welfare center which is 28% and academies which is 14 percent. Thus, elementary school was preferred the most. 30 percent, the largest group, wanted their children to be taken care of after school for one to less than two hours, and their preference for program instructor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ildren, as instructors who could take care of children were most preferred which is 65 percent,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ch is 14 percent. When they selected after-school programs, the content of program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ost which is 21% and institute location which is 18 percent. As to their needs, well-round education was most widely expected which is 28 percent, followed by child safety which is 25 percent and talent improvement which is 23 percent. Reading and writing programs were most widely wanted which is 13 percent, followed by English, Chinese character and computer classes which is 12 percent, homework guidance which is 11 percent, and academic guidance which is 8 percent, which indicated the parents had a higher liking for writing or reading guidance rather than for academic or homework guid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how after-school programs provided by the social welfare center in the Asan city could produce better results and be more widespread wa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목적 = 2
      • 제3절 연구의 방법 = 3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 제기 = 1
      • 제2절 연구 목적 = 2
      • 제3절 연구의 방법 = 3
      • 제4절 연구의 한계점 = 4
      • 제2장 이론적 배경 = 5
      • 제1절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 5
      • 제2절 아산 지역사회복지관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현황 = 11
      • 제3절 선행 연구 고찰 = 16
      • 제3장 조사방법 및 절차 = 20
      • 제1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20
      • 제2절 조사도구 = 21
      • 제3절 자료처리 및 분석 = 22
      • 제4장 조사결과 및 분석 = 23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3
      • 제2절 사회복지관 방과후 프로그램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 : 아동의 측면 = 26
      • 제3절 사회복지관 방과후 프로그램 이용실태, 만족도 및 욕구: 학부모 측면 = 38
      • 제5장 지역사회복지관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 = 54
      • 제6장 결론 및 제언 = 58
      • 참고문헌 = 65
      • ABSTRACT = 69
      • 부록 =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