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실친화적 중등 기술 교사 양성과 임용 시험의 연계성 분석 = Connectio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Employment Examin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양성과 교원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및 포럼 논의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개념은 ‘학교의 기술실 및 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능력을 지니고 이를 실행하는 기술 교사’로 정의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으며, 임용시험에서의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논술’ 과목도 신설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교육과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2009학년도 기술 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 과목과 임용 시험의 출제 비율 및 출제 범위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

      2008년부터 한국교원대에서는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에 대한 이론적 준거를 연구해 왔으며, 2009년에는 교실친화적 교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각 교과별로 실제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양성과 교원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회 및 포럼 논의의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의 개념은 ‘학교의 기술실 및 교실에서 바람직한 교육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적 능력을 지니고 이를 실행하는 기술 교사’로 정의하였다.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교원대 기술교육과에서는 교육과정을 개편하였으며, 임용시험에서의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기술 논술’ 과목도 신설하였다. 그리고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교육과 교육과정을 개편하였다. 2009학년도 기술 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분석한 결과, 대학의 교육과정 과목과 임용 시험의 출제 비율 및 출제 범위가 일치되지 못하는 부분은 추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researching to set up a theorit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since 2008. And then, the concep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was defined in 2009 and also practice for each subject w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and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was studied. To do that,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and discussion of forum were conducted.
      A concept of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was defined as 'technology teacher who have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is able to perform it at technology laboratory and classroom of school for desirable education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t KNUE was reorganized, and a new subject of 'technology essay' was created to correspond the essay test of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Especially, the structure and many of the subject name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reorganized to adapt the fundamental completion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analysis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chnology teachers of 2009, I conclude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in the future to the mismatch between subject of college curriculum and a range of question of employment examination.
      번역하기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researching to set up a theorit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since 2008. And then, the concep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was defined in 2009 and also practice ...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researching to set up a theoritical criteria for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since 2008. And then, the concept of classroom-friendly teachers was defined in 2009 and also practice for each subject was researched. In this article,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development of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and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was studied. To do that, research of related literature,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field of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and discussion of forum were conducted.
      A concept of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was defined as 'technology teacher who have the professional ability and is able to perform it at technology laboratory and classroom of school for desirable education activity. In order to develop the classroom-friendly technology teachers,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at KNUE was reorganized, and a new subject of 'technology essay' was created to correspond the essay test of employment examination of teachers. Especially, the structure and many of the subject name of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were reorganized to adapt the fundamental completion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analysis the employment examination of technology teachers of 2009, I conclude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in the future to the mismatch between subject of college curriculum and a range of question of employment examin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진, "현장교사론" 양서원 400-419, 1998

      2 최유현, "한국 충남대학교와 미국 NCSU 예비 기술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07-126, 2007

      3 노태천, "표시과목 기술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4 김판욱, "포트폴리오의 이해와 실제" 문음사 2005

      5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반성적 점검과 교실친화적 교육 실습 방안" 24 (24): 52-70, 2008

      6 이상혁, "중등교사 임용시험 ‘기술’ 과목 출제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김진수,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기술 가정 교육과정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0 (30): 68-83, 2005

      8 교육인적자원부, "신규 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 기준" 2006

      9 김성일, "기술·가정 교과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운동물체 만들기’ 단원에서의 실습 프로젝트 사례"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91-107, 2008

      10 김진수, "국내·외 대학의 기술교사 양성교육과정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6 : 99-125, 2006

      1 이병진, "현장교사론" 양서원 400-419, 1998

      2 최유현, "한국 충남대학교와 미국 NCSU 예비 기술교사들의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 7 (7): 107-126, 2007

      3 노태천, "표시과목 기술의 교사자격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4 김판욱, "포트폴리오의 이해와 실제" 문음사 2005

      5 이경화, "초등학교 국어 수업의 반성적 점검과 교실친화적 교육 실습 방안" 24 (24): 52-70, 2008

      6 이상혁, "중등교사 임용시험 ‘기술’ 과목 출제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연구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

      7 김진수,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탐색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기술 가정 교육과정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 30 (30): 68-83, 2005

      8 교육인적자원부, "신규 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 기준" 2006

      9 김성일, "기술·가정 교과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운동물체 만들기’ 단원에서의 실습 프로젝트 사례" 한국기술교육학회 8 (8): 91-107, 2008

      10 김진수, "국내·외 대학의 기술교사 양성교육과정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6 : 99-125, 2006

      11 김진수, "교실친화적 기술 교사 양성과 임용의 연계 방안" 139-168, 2009

      12 김한별, "교실친화적 교원의 의미와 성격 탐색" 24 (24): 19-27, 2008

      13 차우규, "교실친화적 교원양성체제의 구축방안 연구" 24 (24): 40-51, 2008

      14 임웅, "교실친화적 교원양성제도의 필요성과 전망" 24 (24): 5-18, 2008

      15 김진수, "교실친화적 교원 양성 강좌 지원 사업계획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16 최돈형,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의 필요성과 과제" 24 (24): 1-4, 2008

      17 권재술,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을 제안하며" 1-8, 2008

      18 김진수,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과 임용의 연계성 강화 방안" 72-81, 2010

      19 최돈형,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과 임용의 연계 방안" 3-45, 2009

      20 최돈형,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연구Ⅰ - 교실친화적 교사 양성 기본체제의 설계, 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협동연구과제 보고서" 한국교원대학교-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21 박병기, "교사의 전문성과 교실친화적 교과교육학" 24 (24): 28-39, 2008

      22 김진수, "과학-기술-공학-수학을 통합한 STEM 통합교육의 태동" 1-38, 2008

      23 加藤幸一, "新しい技術·家庭- 技術分野" 東京書籍 2007

      24 Lee,Lung-Sheng Steve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acing Technology Education in Taiwan" 78-81, 2009

      25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 개정 교육과정" 2009

      26 김진수,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특징과 교과서 개발" 2 (2): 69-8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