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수업 교시와 총에너지소비량 = Total Energy Expenditure Difference by the Class Hours in 5th & 6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lass hour in school on daily activities‘ time and energy spent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2 days of the 4, 6 class hour gather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386 students in Seou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lass hour in school on daily activities‘ time and energy spent in primary school students. The data for 2 days of the 4, 6 class hour gathered from the 5th and 6th grade 386 students in Seoul were analyzed. The types of activity were divided into in school activiy and out of school activity, and out of school activity was divided into study, rest, leisure, commuting, household choir, and personal hygiene. The students spent 2300㎉/day in the class hour of 4 and 2230㎉/day in the class hour of 6, and activity coefficient was 1.73, 1.67, respectively. The most affected activity on time and energy spent was the leisure by the class hour in school. The activity coefficient of in school activity was 1.8, which is not reach to low intensity activity. The 35% of the students was classified as low active level, and 40% was active level according to 4 levels of activity determined by the 1 day average of activity coefficient.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energy expenditure of individual activities were analyzed. Total energy expenditure were higher in 6th grade than 5th grade, in boys than girls, and in over-weight & obese than under-weight group. Among the out of school activities, energy expenditure in study and household choir were not different by grade, gender, and obesity. On the other hand, energy expenditure in rest & leisu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nd obes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수 차이에 따른 학외활동의 소비시간 변화와 활동종류별 평균활동계수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수업 시수 차이에 따른 학외활동의 소비시간 변화와 활동종류별 평균활동계수를 파악하여 초등학생의 활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활동 내역을 사전 조사하여 기존의 인터넷 프로그램을 보완한 다음, 서울시내 거주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교시 수업일과 6교시 수업일의 활동별 소비시간을 조사하였다. 활동의 종류는 학내활동과 학외활동으로 구분하고, 학외활동은 학습, 휴식, 여가, 통학, 가사, 생리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총에너지소비량은 4교시 수업일 2300㎉, 6교시 수업일 2230㎉로 조사되었으며, 1일 평균활동계수는 각각 1.73, 1.67로, 6교시 수업일이 4교시 수업일보다 낮았다. 학교에서의 수업시간이 길어지면 여가활동의 시간 및 소비 에너지가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내활동의 활동 강도는 평균활동계수(PAL)가 1.8 가량으로 저강도 활동(PAL = 2.0~2.9)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동실태를 4단계 활동수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조사 대상 학생의 35% 가량은 저활동적 단계, 40% 가량은 활동적 단계로 밝혀졌다. 총에너지소비량은 6학년이 5학년보다,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으며, 과체중 및 비만, 정상, 저체중 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외활동 가운데 학습활동과 가사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가 없었으며, 휴식활동과 여가활동의 소비 에너지는 학년별 차이는 없고, 성별, 비만도 집단별 차이는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국진기획 2005

      2 김은경, "초등학생의 활동계수, 휴식대사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44-54, 2006

      3 박은숙, "초등학생의 평일과 휴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2006

      4 김봉생, "초등학생의 1일 활동내용과 에너지소비 실태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2005

      5 신재신,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지수와 신체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97-108, 2000

      6 나현주, "청소년들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Web기반 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2003

      7 김유진, "청소년들의 생활시간에 관한 조사 연구" 경원대학교 1996

      8 보건복지가족부, "제3차(200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통계" 2008

      9 김선희, "아동의 생활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5 : 40-52, 1996

      10 질병관리본부,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1 한국영양학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국진기획 2005

      2 김은경, "초등학생의 활동계수, 휴식대사량 및 에너지 소비량의 평가" 대한영양사협회 12 (12): 44-54, 2006

      3 박은숙, "초등학생의 평일과 휴일의 에너지 소비량 평가" 한국체육대학교 2006

      4 김봉생, "초등학생의 1일 활동내용과 에너지소비 실태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2005

      5 신재신,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지수와 신체활동에 관한 조사연구" 13 (13): 97-108, 2000

      6 나현주, "청소년들의 에너지 소비 실태 조사를 통한 Web기반 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2003

      7 김유진, "청소년들의 생활시간에 관한 조사 연구" 경원대학교 1996

      8 보건복지가족부, "제3차(2007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통계" 2008

      9 김선희, "아동의 생활시간구조에 관한 연구" 5 : 40-52, 1996

      10 질병관리본부,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

      11 이지연, "소아비만 급증, 사라지는 체육시간 탓. 11월 20일 원문 기사전송"

      12 박찬규, "서울 초ㆍ중ㆍ고생 7명중 1명 비만. 서울신문 3월 6일자, 8면"

      13 차진영, "비만 중년 여성의 에너지 소비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14 김희영,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비활동적 생활습관과 체중상태와의 관계" 인제대학교 2004

      15 윤군애, "부산지역 일부 청소년의 체중상태와 신체활동량과의 관계" 34 (34): 39-47, 2001

      16 우도영, "대학생(남,녀)의 1일 생활시간 및 소비열량 실태 조사" 성균관대학교 1989

      17 이현미,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1일평균 보행수, 활동량 및 활동계수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361-371, 2007

      18 보건복지가족부, "2007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 〔2007〕" 2008

      19 통계청, "2004년 생활시간 조사결과"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