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 간의 구조분석 =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nd Motivational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429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그리고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χ²=151.913, df=26, ρ=.000, RMSEA는 .074, GFI는 .940, AGFI는 .904, RMR은 .019, TLI는 .923, CFI는 .954, NFI는 .946으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교수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 조화열정이 교수효능감을 통해서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을 통합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429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그리고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χ²=151.913, df=26, ρ=.000, RMSEA는 .074, GFI는 .940, AGFI는 .904, RMR은 .019, TLI는 .923, CFI는 .954, NFI는 .946으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 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교수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 조화열정이 교수효능감을 통해서 창의적 교수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기적 요인인 자기결정성, 조화열정, 교수효능감, 교수몰입을 통합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al factors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flow) that affect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is crucial to enhancing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Participants were 429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ungbuk province. AMO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 151.913, df=26(ρ<.001), RMSEA=.074, GFI=.940, AGFI=.904, RMR=.019, TLI=.923, CFI=.954, NFI= .946).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reative teaching behaviors were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The most influential direct factor was teaching efficacy. Further, the most influential indirect factor was the path from harmonious passion through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we must design an integrated method to increase motivational factors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flow).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al factors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flow) that affect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th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al factors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flow) that affect creative teaching behaviors among second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these relationships is crucial to enhancing th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Participants were 429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ungbuk province. AMOS 20.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 151.913, df=26(ρ<.001), RMSEA=.074, GFI=.940, AGFI=.904, RMR=.019, TLI=.923, CFI=.954, NFI= .946). Secon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creative teaching behaviors were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flow. The most influential direct factor was teaching efficacy. Further, the most influential indirect factor was the path from harmonious passion through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creative teaching behaviors of teachers, we must design an integrated method to increase motivational factors (self-determination, harmonious passion, teaching efficacy, teaching flow).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란,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671-691, 2011

      2 박수진, "초등학교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 요소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관계" 교육연구원 27 (27): 151-166, 2011

      3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4 소연희, "초등교사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5-20, 2011

      5 김숙이,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교육연구원 26 (26): 129-146, 2010

      6 최지은, "중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69-487, 2010

      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 (48): 67-92, 2010

      8 김현진,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그리고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49-275, 2012

      9 한기순,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83-304, 2011

      10 백영숙,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6 (76): 25-47, 2013

      1 이혜란, "학교조직풍토와 교수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671-691, 2011

      2 박수진, "초등학교 여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구성 요소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관계" 교육연구원 27 (27): 151-166, 2011

      3 최지은, "초등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41-260, 2010

      4 소연희, "초등교사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교사효능감과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5-20, 2011

      5 김숙이,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교육연구원 26 (26): 129-146, 2010

      6 최지은, "중학교 교사용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469-487, 2010

      7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8 (48): 67-92, 2010

      8 김현진, "예비 유아교사의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동기 그리고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49-275, 2012

      9 한기순, "영재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관계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283-304, 2011

      10 백영숙,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 및 교수 효능감과 교수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6 (76): 25-47, 2013

      11 백영숙,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79-200, 2014

      12 김은주,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1 (21): 539-555, 2007

      13 김아영, "교수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47-670, 2008

      14 이경화, "교사의 학습과 교사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일고찰"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3 (13): 5-30, 2013

      15 정은이, "교사 창의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21 (21): 199-220, 2009

      16 Zau, A., "The effects of teachers' flow experiences on the cognitive engagement of students" 2002

      17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Springer-Verlag 1983

      18 Lee, H. 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ncern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teaching flow" The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1

      19 Kang, M. Y., "The Relationship among sports passion with stress hardiness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Dongduk Womens University 2010

      20 Lew, K. H.,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nd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 on a Creative Personality of Primary School Students" 9 (9): 69-88, 2009

      21 Park, J. S., "The Effect of the teacher's enthusiastic levels on the young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Ehwa Womens University 1993

      22 Mary C. Murdock, "Teaching and Learning Creatively with the Torrance Incubation Model: A Research and Practice Update" 대한사고개발학회 18 (18): 11-33, 2008

      23 Oh, H. S.,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Creativityaccording to the Teaching Flow and Happinessof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 Focused on Gwang Ju Metropolitan City" Th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nen's University 2013

      24 Dembo, M. H., "Teachers' sense of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1985

      25 Kim, Y. S., "Teacher's Efficacy Judgement Processes" 17 (17): 333-349, 1999

      26 Woods, P., "Teacher skills and strategies" Falmer 1999

      27 Ashton, P.,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1984

      28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 68-78, 2000

      29 Lee, J. H., "Relationships among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that Affect Teaching Flow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4

      30 Kwon, S. M., "Positive psychology" Hakjisa 2008

      31 Bandura, A.,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28 : 117-148, 1993

      32 김경남, "PUMP 창작표현활동 수업에서 중학생의 신체활동 즐거움, 열정, 수업태도의 관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3 Deci, E.,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1985

      34 Enochs, L., "Fur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 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90 : 694-706, 1990

      35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 life" Hainaim 1997

      36 Fasko, D. J., "Education and creativity" 13 : 317-327, 2000

      37 Choi, K. 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Flow State Scale" Ewha Womens University 2005

      38 Halliwell, S., "Developing teacher professionally: Reflections for initial and in-service trainers" Routledge 67-78, 1993

      39 Cropley, A.,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ion" Hakjisa 2001

      40 Amold, A., "Creativity and gifted education seeing the forest and the trees"

      41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s 1975

      42 Kim, S. Y., "Analysis of the Structure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Sense of Happiness, Enthusiasm for the Teaching Profession, Satisfaction with Their Jobs, Efficacy, and Interactions with Young Children" Th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nen's University 2014

      43 Choi, B. Y., "An Analysis on the Relations among the Self-Efficienc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10 (10): 227-253, 1998

      44 Kim, K. S.,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PSS Academy 2007

      45 Lee, N. H.,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7

      46 Lee, H. J.,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practice of music education : focused on their career, a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The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