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1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상상-도전-창업 정신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창조경제 의 기틀을 마련할 차세대 기술창업인재(Entrepreneur)를 육성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생들에게 상상-도전-창업 정신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창조경제 의 기틀을 마련할 차세대 기술창업인재(Entrepreneur)를 육성하는 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례조사와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문가에게 타당성을 위해 검토 및 자문을 받았다. 또한, 과학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과학영재학교 에 시범 적용하였으며, 학생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중등학교와 국내 초중등학교의 과학기술창업교육 사례 및 유형 조사·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 과학기술창 업교육 운영자와 경험자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와 분석을 통해 과학기술창업교육 프로그램 개념 분류체제 및 모델을 구안하 였다. 둘째, 과학기술창업교육을 위한 34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한국과학영재학교 1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 으며, 수업 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강좌를 이수한 학생들은 강의 중심의 운영뿐만 아니라 기술창업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과 대학과 연계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길 희망하 였다. 둘째, 참여 강사로 동문선배 창업가와 기술창업 CEO 등 전문가에 의한 실제 사례 위주의 경험담을 통한 보다 직접적인 학습과 체험을 희망하였다. 연구활동 지원부분에서는 동아리 활동을 희망하였고, 기술창업 동문 네트워크 활성화 등 전문가 의 조언을 직접 얻을 수 있는 멘토링 지원을 요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Imagine - a challenge - to foster the entrepreneurial spirit and skills opportunities the creative economy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generation technology entreprene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students Imagine - a challenge - to foster the entrepreneurial spirit and skills opportunities the creative economy to provide a framework for future generation technology entrepreneurship talent develop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develop and to verify that the effect is appli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rough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develop training programs and were reviewed for relevance and advice to profession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is purpose. First,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condary schools and the local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ractice typ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domestic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operator experience with this subjec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concept classification systems and models through case studies and analysis. Second, for the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developed a program of 34 periods. Third, we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rial was intended to apply to Korea Science Academy 150 students, implemented a quantitative study to conduct satisfaction surveys after class. Thus, these finding is below. First, we hope to participate in a technology start-up process, you can experience the College Experience Program and associated programs, as well as the center of lecture students who complete the course are. Second, the senior lecturer in alumni participation by expert entrepreneurs and technology start-ups, including CEO driven by the experiences of real-world examples we hope to learn and experience more direct. Research activities was supported in part hope the club activities, expert advice alumni network of technology start-ups enabled mentoring support was required to obtain direc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과학기술창업교육 이론적 고찰
      • 1. 국외 청소년의 과학기술창업교육 사례 및 분석
      • 〈요약〉
      • I.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II. 과학기술창업교육 이론적 고찰
      • 1. 국외 청소년의 과학기술창업교육 사례 및 분석
      • 2. 국내 청소년 창업교육 사례 및 분석
      • III.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 1.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절차
      • 2. 과학기술 창업 교육프로그램의 개념적 분류 체계
      • IV.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 타당성 검토 및 효과성 검증
      • 1.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 검토
      • 2. 과학기술창업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
      • V. 결론 및 제언
      • 1. 결론
      • 2.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춘엽, "한국대학에서의 창업교육 실태연구: 강좌내용을 중심으로" 15 (15): 79-114, 1993

      2 한경동, "학교 밖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81-203, 2006

      3 중소기업청, "청소년 비즈쿨 운영매뉴얼 2013" 2013

      4 중소기업청, "청년 기술·지식창업 지원대책"

      5 김훈, "수학분야(미적분학) 표준교육과정 및 평가기준 개발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6 백승윤, "비즈쿨(BizCool)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 수도권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박일수, "대학과목선이수제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1-23, 2010

      8 구본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혁신생태계 발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9 배종태, "기업가정신 및 벤처경영에 관한 교육과정 개발" 1 (1): 155-180, 1998

      10 김주미, "기업가 정신 함양을 위한 초·중·고 교과서 개선방향" 중소기업청·중소기업연구원 2008

      1 박춘엽, "한국대학에서의 창업교육 실태연구: 강좌내용을 중심으로" 15 (15): 79-114, 1993

      2 한경동, "학교 밖 경제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시사점" 한국경제교육학회 13 (13): 181-203, 2006

      3 중소기업청, "청소년 비즈쿨 운영매뉴얼 2013" 2013

      4 중소기업청, "청년 기술·지식창업 지원대책"

      5 김훈, "수학분야(미적분학) 표준교육과정 및 평가기준 개발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7

      6 백승윤, "비즈쿨(BizCool)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 : 수도권 전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박일수, "대학과목선이수제의 발전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13): 1-23, 2010

      8 구본제,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혁신생태계 발전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9 배종태, "기업가정신 및 벤처경영에 관한 교육과정 개발" 1 (1): 155-180, 1998

      10 김주미, "기업가 정신 함양을 위한 초·중·고 교과서 개선방향" 중소기업청·중소기업연구원 2008

      11 이윤준, "기업가 정신 고취를 통한 기술창업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12 김경대, "과학영재교육 관련 정보센터 구축에 대한 과학영재, 학부모, 전문가의 인식과 요구" 과학교육연구소 35 (35): 34-47, 2011

      13 김훈, "과학고등학교 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전문교과 개발–심화수학 I, II"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14 Caree, Mart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Business Ownership Revisited" 19 : 281-291, 2007

      15 "The MET"

      16 "Tel Aviv Uni. Entrepreneurship Center(StarTAU)"

      17 "TECNION Israel Institute of Tech"

      18 "Stanford University's Entrepreneurship Corner"

      19 "Stanford Technology Ventures Program"

      20 김경대,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282-290, 2008

      21 "Monta Vista High School"

      22 "Kauffman Foundation"

      23 Reynolds, P. D.,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02 Executive Report" Babson College / London Business School 2002

      24 antis, Hugo, "Entrepreneurship in Emerging Economies;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New Firms in Latin America and East Asia"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02

      25 박선미 외, "AP 제도 도입을 위한 기획연구." 교육인적자원부・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3 1.387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