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西谷敏, "勞動組合法" 有斐閣 2006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4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1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6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8
7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중)" 박영사 1992
8 노호창, "헌법상 근로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재해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0) : 125-164, 2011
9 윤수정,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법학연구소 29 (29): 117-149, 2018
10 전광석, "한국헌법론" 법문사 2009
1 西谷敏, "勞動組合法" 有斐閣 2006
2 정종섭, "헌법학원론" 박영사 2008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4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1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6 홍성방, "헌법학" 현암사 2008
7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중)" 박영사 1992
8 노호창, "헌법상 근로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재해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0) : 125-164, 2011
9 윤수정,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법학연구소 29 (29): 117-149, 2018
10 전광석, "한국헌법론" 법문사 2009
11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7
12 전학선, "프랑스의 법령체계 및 법치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199-229, 2011
13 김상호, "프랑스의 노동법전 개혁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비교법학연구소 52 : 1-43, 2017
14 김충희, "프랑스 역대 헌법전 (2․완)" 법학연구소 (70) : 471-597, 2016
15 이승욱, "산별노동조합의 노동법상 쟁점과 과제"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2 : 6-240, 2002
16 김준호, "민법강의" 법문사 2013
17 이학춘, "독일노동법" 한국경영자총협회 2002
18 박종희, "단체교섭 당사자 확정의 법리 ―자율성과 효율성, 특히 단위노동조합 하부조직인 지부·분회와 연합단체의 단체교섭 당사자 적격성을 중심으로―" 한국노동법학회 (17) : 2003
19 김유성, "노동법 1" 법문사 1998
20 박상필, "노동법" 대왕사 1999
21 이달휴, "노동3권상 근로자개념" 한국노동법학회 (53) : 189-220, 2015
22 한인상, "근로권의 의의와 주요 입법과제"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6) : 73-118, 2014
23 片岡昇, "英國勞動法理論史" 有斐閣 1956
24 マンフレ-ト· レ- ヴィツシュ, "現代 ドイツ勞動法" 法律文化史 1995
25 佐藤幸治, "日本國憲法論" 成文堂 2011
26 吉田善明, "日本國憲法論" 三省堂 2006
27 李準一, "基本權으로서 保護權과 基本權의 第3者效" 한국법학원 65 : 65-86, 2002
28 末弘厳太郎, "労働法のはなし" 一洋社 1947
29 石田 眞, "労働と法・私の論点/日本労働法学事始め探索・余聞―末弘厳太郎『労働法制開講をめぐって・再論―" (1836) : 2015
30 石田 眞, "労働と法・私の論点/日本労働法学事始め探索の顛末―末弘厳太郎『労働法制』開講をめぐって―" (1812) : 2014
31 野田 進, "フランス「労働改革法」の成立 — 規範の逆転と企業協定の締結システム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3 : 1-34, 2018
32 西谷敏, "ドイツ勞動法思想史論" 日本評論社 1987
33 石田 眞, "わが国労働法学の黎明―昭和年代前期における孫田秀春の足跡をたどる―" (93) : 2014
34 이달휴, "“헌법상” 근로권에 있어서 근로자개념" 한국비교공법학회 12 (12): 3-2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