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스프링-댐퍼계의 수동형 현가장치를 자동차 현가계의 선형역학 모델(1/4 모델 )을 기초로 하여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상하진동에 영향을 주는 진동 주파수 성분을 알아보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124112
서울 :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1
2001
한국어
서울
iii, 50 p. : 삽도 ; 26 cm.
국문 요약문: p. i
Abstract: p. 50
참고문헌: p. 48-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댐퍼계의 수동형 현가장치를 자동차 현가계의 선형역학 모델(1/4 모델 )을 기초로 하여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상하진동에 영향을 주는 진동 주파수 성분을 알아보고 ...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댐퍼계의 수동형 현가장치를 자동차 현가계의 선형역학 모델(1/4 모델 )을 기초로 하여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상하진동에 영향을 주는 진동 주파수 성분을 알아보고 질량과 강성계수를 통해 다양한 입력을 구성하였다. 출력은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진동으로 가정하고, 각 입력들과 출력사이의 기여 정도를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다. MATLAB 의 GUI 환경을 사용하여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입출력 사이의 일반기여도함수, 부분기여도함수 및 다중기여도함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입력원으로부터 출력까지의 기여도 및 입력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기여도함수의 계산에 있어서 입력원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전달경로 규명에 관한 연구로는 입력 순서 결정에 따른 기여출력스펙트럼의 표현과 변화 등을 알아보며, 다중기여도함수와 기여출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출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입력 개수 선정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달경로의 차단 등을 통해서 전달경로의 특성 규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Virtual testing(simulation)을 통해 자동차의 승차감 향상을 위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제가 되는 진동원을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찾아내어 이 부분에 대한 진동 저감대책을 세우기 위한 기본 과정으로 적용하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study on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widely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 of a structure. In this paper, the transfer path identification and the estimation of the output are simulated by using the multi-dimen...
Recently, the study on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widely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 of a structure.
In this paper, the transfer path identification and the estimation of the output are simulated by using the multi-dimensional spectrum analysis method (MDSA) by modeling the vehicle suspension system that correlates with inputs and by applying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n the case of coupling between inputs, it is possible to separate each element by the MDSA method.
Main simulations are to find order of inputs by using the coherent output spectrum and to select optimal number of inputs by using the multiple coherence function. Also, the transfer path characteristic is identified in terms of overall integrated contribution level by shielding the transfer path of each inpu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