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문제 -빈어와 보어의 설정문제- = A study on Korean Classical Chinese grammar of “Knowledge Part” amended i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concepts of the Object and the Compl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59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d Object and definition of Complement concepts of Chinese grammar as show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Th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was represented validity of amend which is fitting in general system in the grammar as grammar parts, contents, naming and concepts of terminologies, also naming of terminologies was represented well. But rule of concepts of Object and Complement as show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mbiguous, superficial. Also, example sentence which can be chaos in the education on site to novice. A chaos of Object and Complem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came from ambiguity of statements. So, this paper proposed to correct rule of concepts as follows ;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existence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past but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recognition, comparison, designation, thinking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as amended.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condition and Comple -ment support meaning fully in the past but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condition or equal connection and Complement support meaning of condition, equal connection in the as amended.

      As above, this paper proposed to specify rule of Predicate of Object and added to recognition, comparison and designation in the action items. Also, omit 'behavior' item in the statement of Predicate of Object and rule of concepts proposed to move definition items 'existence or possess -ion' in the rule of Object and proposed to add to describe be verb which represent 'equal connection'.

      Nowadays, Chinese grammar is not Object for using in language's life, it is tool for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describing systematic pheno -mena school as recorded. Therefore School grammar must be described the basis on Scholarship grammar. Above all, considering to school on site, it need to develop for learning which could be explained and under -stood.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d Object and definition of Complement concepts of Chinese grammar as show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Th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was represented validity of amen...

      This paper studied Object and definition of Complement concepts of Chinese grammar as shown the 7th middle school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The curriculum of Chinese Education was represented validity of amend which is fitting in general system in the grammar as grammar parts, contents, naming and concepts of terminologies, also naming of terminologies was represented well. But rule of concepts of Object and Complement as show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have been ambiguous, superficial. Also, example sentence which can be chaos in the education on site to novice. A chaos of Object and Complement of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came from ambiguity of statements. So, this paper proposed to correct rule of concepts as follows ;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existence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past but Object is 'Predicate represent recognition, comparison, designation, thinking and Object became the object in the as amended.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behavior or condition and Comple -ment support meaning fully in the past but Complement is 'Predicate represent condition or equal connection and Complement support meaning of condition, equal connection in the as amended.

      As above, this paper proposed to specify rule of Predicate of Object and added to recognition, comparison and designation in the action items. Also, omit 'behavior' item in the statement of Predicate of Object and rule of concepts proposed to move definition items 'existence or possess -ion' in the rule of Object and proposed to add to describe be verb which represent 'equal connection'.

      Nowadays, Chinese grammar is not Object for using in language's life, it is tool for reading comprehension which is describing systematic pheno -mena school as recorded. Therefore School grammar must be described the basis on Scholarship grammar. Above all, considering to school on site, it need to develop for learning which could be explained and under -sto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정 7차 한문과 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빈어와 보어개념설정문제에 관한 연구다.
      개정교육과정은 문법범위나 내용, 용어의 명칭과 개념 등 문법방면에 있어서 타 교과와 보편적 체계에 맞추어 개정의 타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용어의 명칭도 한문의 어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중학교교육과정에 보이는 빈어와 보어의 영역구분 그리고 개념규정이 불분명하고, 피상적으로 되어있으며, 예시문도 현장교육에서 초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교육과정의 빈어와 보어의 혼란은 개념규정을 모호하게 진술한데서 비롯되었으므로 필자는 빈어와 보어의 개념규정을 아래와 같이 수정할 것을 제언 한다.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에서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인식, 비교, 칭위, 사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

      보어-‘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준다.’에서
      보어-‘서술어는 상태나 동일관계를 나타내고, 보어는 주어의 상태 또는 존재, 소유나 동일관계의 의미를 보충하여 준다.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빈어의 서술어 규정을 더욱 구체화하여 행위 항목에 ‘인식, 비교, 칭위, 사유’ 등의 항목을 추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보어의 서술어 진술에서 ‘동작 행위’ 항목을 생략하고, 빈어의 규정에서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의 항목을 보어의 개념규정 항목으로 이동하여 진술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동일관계’를 나타내는 계사동사를 추가설정 할 것을 제언한다. 서술어의 지배대상이 되지 않는 비 동작성의 상태, 존재, 소유, 연계를 나타내는 서술어 다음에 오는 성분은 빈어의 위치에 있지만, 지배관계를 갖지 않고 주어의 상태 또는 동일관계를 나타내므로 보어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교 한문문법은 지금 언어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상은 아니다. 한문문법은 기록되어 있는 문언문에 대한 체계적 현상을 기술하는 것으로 독해를 위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학교문법은 학문문법 체계를 근거로 기술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쉽게 설명되고 이해될 수 있는 학습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개정 7차 한문과 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빈어와 보어개념설정문제에 관한 연구다. 개정교육과정은 문법범위나 내용, 용어의 명칭과 ...

      본 논문은 개정 7차 한문과 중학교 교육과정해설서에 나타난 “한문지식영역”에서 한문문법의 빈어와 보어개념설정문제에 관한 연구다.
      개정교육과정은 문법범위나 내용, 용어의 명칭과 개념 등 문법방면에 있어서 타 교과와 보편적 체계에 맞추어 개정의 타당성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용어의 명칭도 한문의 어법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중학교교육과정에 보이는 빈어와 보어의 영역구분 그리고 개념규정이 불분명하고, 피상적으로 되어있으며, 예시문도 현장교육에서 초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예문을 제시하고 있다. 개정교육과정의 빈어와 보어의 혼란은 개념규정을 모호하게 진술한데서 비롯되었으므로 필자는 빈어와 보어의 개념규정을 아래와 같이 수정할 것을 제언 한다.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 또는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에서
      빈어-‘서술어는 동작이나 행위(인식, 비교, 칭위, 사유)를 나타내고, 빈어는 그 대상이 된다.’

      보어-‘서술어는 동작, 행위, 상태 등을 나타내고, 보어는 서술어를 보충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해준다.’에서
      보어-‘서술어는 상태나 동일관계를 나타내고, 보어는 주어의 상태 또는 존재, 소유나 동일관계의 의미를 보충하여 준다.

      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빈어의 서술어 규정을 더욱 구체화하여 행위 항목에 ‘인식, 비교, 칭위, 사유’ 등의 항목을 추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보어의 서술어 진술에서 ‘동작 행위’ 항목을 생략하고, 빈어의 규정에서 ‘존재나 소유를 나타내고’ 의 항목을 보어의 개념규정 항목으로 이동하여 진술할 것을 제언한다. 그리고 ‘동일관계’를 나타내는 계사동사를 추가설정 할 것을 제언한다. 서술어의 지배대상이 되지 않는 비 동작성의 상태, 존재, 소유, 연계를 나타내는 서술어 다음에 오는 성분은 빈어의 위치에 있지만, 지배관계를 갖지 않고 주어의 상태 또는 동일관계를 나타내므로 보어로 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학교 한문문법은 지금 언어생활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상은 아니다. 한문문법은 기록되어 있는 문언문에 대한 체계적 현상을 기술하는 것으로 독해를 위한 수단이다. 그러므로 학교문법은 학문문법 체계를 근거로 기술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쉽게 설명되고 이해될 수 있는 학습 방법의 개발이 절실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容傑, "한문해석방법" 교학사 2003

      2 국립국어원 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학습사전" 신원프라임 2006

      3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5

      4 "문교부 고시 제87-7호(1987,3.31),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해설"

      5 김종호, "도표로 보는 정통 중국어 문법" 한티미디어 2007

      6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에 따른 2007개정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외국어(영어), 재량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7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해설(Ⅴ)-외국어(영어), 재량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8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92.6.30)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해설-한문?컴퓨터?환경-"

      9 에드윈풀리블랭크, "고전중국어 문법강의" 궁리 2005

      10 馬建忠, "馬氏文通" 商務印書館 1998

      1 金容傑, "한문해석방법" 교학사 2003

      2 국립국어원 한국어세계화재단, "한국어 학습사전" 신원프라임 2006

      3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5

      4 "문교부 고시 제87-7호(1987,3.31),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해설"

      5 김종호, "도표로 보는 정통 중국어 문법" 한티미디어 2007

      6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에 따른 2007개정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외국어(영어), 재량활동, 한문, 정보, 환경, 생활 외국어-"

      7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해설(Ⅴ)-외국어(영어), 재량활동, 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8 "교육부 고시 제1992-11호(’92.6.30)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해설-한문?컴퓨터?환경-"

      9 에드윈풀리블랭크, "고전중국어 문법강의" 궁리 2005

      10 馬建忠, "馬氏文通" 商務印書館 1998

      11 鄭晩浩, "賓語와 補語의 區分에 관한 小考" 한국한문교육학회 (23) : 2004

      12 王 力, "語法學 詞典" 산동교육출판사 1995

      13 劉誠?王大年, "語法學" 湖南人民出版社 1981

      14 高名凱, "言語學槪論" 中華書局 1995

      15 黃六平, "漢語文言語法綱要" 臺灣 華正書局有限公司 1981

      16 劉景農, "漢語文言語法" 中華書局 1998

      17 牛島德次, "漢語文法論(古代編)" 大修館書店 1967

      18 高橋君平, "漢語形體文法論" 東京 大安株式會社. 1963

      19 鄭晩浩, "漢文의 文章成分 分類"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6) : 2006

      20 鄭愚相, "漢文構造文法硏究" 東亞出版社 1990

      21 李家源, "漢文新講" 新丘文化社 1987

      22 洪寅杓, "漢文文法" 新雅社 1981

      23 權重求, "漢文大綱" 通文館 1980

      24 鄭順泳, "漢文 學校文法의 品詞分類와 名稱"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6 : 2006

      25 安載澈, "學校 漢文文法의 品詞分類와 그 내용에 관한 문제" 한국한문교육학회 (17) : 2001

      26 高麗大學校漢文學敎室, "基礎漢文" 고대출판 1999

      27 鄭晩浩, "四書의 文章構造와 懸吐法 硏究" 단국대학교 2004

      28 楊伯峻?何樂士, "古漢語語法及其發展" 語文出版社 1992

      29 寥振佑, "古代漢語特殊語法" 內蒙古人民出版社 1979

      30 易孟醇, "先秦語法" 湖南敎育出版社 1990

      31 呂叔湘, "中國文法要略-呂叔湘文集" 商務印書館 1993

      32 周法高, "中國古代語法-造句編(上)" 台聯國風出版社 1972

      33 鄭順泳, "三國遺事』의 虛詞 硏究" 성신여대 2003

      34 禹政夏, "‘賓語’의 개념에 대하여,어문학"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5-19 통합 KCI등재
      2022-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漢文敎育硏究 -> 漢文敎育論集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5-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Journal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Korea KCI등재
      2015-04-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 Classical Chinese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8 0.76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