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성복합체와 성취목표지향성간의 관계 = Relationship with Trait Complex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9898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ivally,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 domains of cognitive(ablity), affective(personnality), and conative(interest and motivation) to be both distinct and distant from one another. Since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 began to de...

      Historivally, many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 domains of cognitive(ablity), affective(personnality), and conative(interest and motivation) to be both distinct and distant from one another. Since the psychology of individual difference began to develop in early 20th century, researchers traditionally identify themselves as specialists in one or another.
      Recent meta-analytic reviews and new empirical research suggest that there are fundamental communalities among particular measures of cognition, affect, and conation. These communalities, in turn, yield a relatively small set of trait complexes-groups of traits that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that appear to be differentially related to career choices and academic achivement.
      The initial impetus of trait complex was an inductive meta-analysis and review conducted by Ackerman and Heggestad(199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rivation of trait complex and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rait complex scores and motivational traits. Considering motivationl trait, along with trait complex can provide an integrated assesment of the students.
      Ablity tests, personnality, interest, achievement goal scale were administered to 380 high school students. Ablity tests considered of Gf and Gc intelligence. Personality scale considered of five factors of FFM(five factor model). And interest scale considered of six Holland vocational interest construct. Collected data went through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OV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
      First, five types of trait complex were identified( empirical data on trait complex conducted by Ackerman and Heggestad are reviewed).
      Second, trait complex scores for each 380 students were computed by a simple z-score composite(that is, each of the scales that mapped to the trait complexes was first converted to a z score, then added together to yield trait composite scores). 90students showed high Science/Mathematics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Intellectual/Cultural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Artistic complex scores, 61 students showed high Clerical/Conventional complex scores, 93 students showed high Social complex scores.
      Third, expressed comparative tall higher correlation between five types of trait complexe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evels hav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trait complex scores.
      Fifth, trait complex scores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onclusion, trait complexes can reduced the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that need to be considered by the counselor and client. And, there is a synergy among elements within the trait complexes, so that concentrating on trait complexes is more informative than individual trait meas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랜 심리학 역사를 통해 인지적 능력(지능), 의지적 특성(흥미 및 동기), 정서적 특성(성격)의 영역은 따로 분리되어 그 각각의 영역별로 연구되어 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개인차 심리학이 ...

      오랜 심리학 역사를 통해 인지적 능력(지능), 의지적 특성(흥미 및 동기), 정서적 특성(성격)의 영역은 따로 분리되어 그 각각의 영역별로 연구되어 왔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개인차 심리학이 발달하면서 인지, 의지, 정서의 개인차 구인들이 특수한 속성유형을 분화되어 독립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인지영역과 정서영역과 의지 영역의 일부 연구자들은 메타분석연구나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 이들 특성들 간에 공통성이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인 연구가 Ackerman의 특성복합체(trait complex)개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복합체(trait complex)라는 인지적 특성(능력), 의지적 특성(흥미 및 동기), 정서적 특성(성격)간의 유의미한 공통성(상관)을 기초로 고안된 개념을 바탕으로 특성복합체의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 지향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성복합체와 함께 동기 특성(성취목표지향성)을 추가로 고려한다면 통합적 평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80명을 대상으로 하여, 능력검사와 5요인 성격검사, 흥미검사, 성취목표 지향성검사를 실시하였다. 능력검사에서는 언어력, 수열추리, 도형유추, 지각속도, 유창성 측정치를 구하고, 성격에서는 Costa와 McCrae의 5요인 성격 측정치를, 흥미에서는 Holland의 6유형 흥미 측정치를 구하였다. 측정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치,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와 관련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 성격, 흥미의 세 개의 심리검사를 이용해 특성복합체를 구성하기위해Ackerman의 특성복합체모형을 비롯한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우리나라 고등학생 432명을 대상으로 위의 세 검사를 실시하고 특성복합체를 구한(하대현, 신예덕 2004) 통계적 결과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과학/수학 특성복합체,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예술적 특성복합체, 사회적 특성복합체, 사무/관습 특성복합체를 발견 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복합체 유형의 표준점수를 계산해 본 결과, 수학/과학 특성복합체 96명,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61명, 예술적 특성복합체 61명, 사무/관습 특성복합체 69명, 사회적 특성복합체 93명으로 수학/과학 특성복합체와 사회적 특성복합체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사무/관습특성복합체,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예술적 특성복합체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능력, 성격, 흥미 특성들의 영역별 표준점수를 통해 산출된 개인별 복합체점수유형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을 변별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모든 복합체 유형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무/관습 특성복합체에 속하는 학생은 숙달접근과 .45 (p<.01)이상으로 상관되었다. 수행회피 성취목표지향성은 사무/관습(.17) 및 사회적 특성복합체(.23)와 상관되었다.
      넷째, 특성복합체 유형에 따라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결과 수학과학 및 사무/관습복합체에서는 숙달 접근목표지향성이 가장 높았다. 나머지 복합체에서는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특성복합체는 지식습득에 대한 노력 및 동기의 수준을 알려주는 지표로 설명될 수 있었다는 선행연구에 따라 특성복합체와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성취목표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각의 복합체유형에 의해 설명되는 변량은 다음과 같다. 이지/교양 특성복합체는 숙달접근 성취목표 지향성 변량의 약 36%를 설명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상관에서는 숙달회피 목표지향성과 현실형 흥미요인, 신경증의 성격요인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사회성과 진취형이 사회적 특성복합체를 이루어 숙달회피 전체 변량의 16%를 설명해주었다. 이지/교양특성복합체는 수행접근 성취목표변량의 15%, 사회적 복합체는 수행접근 성취목표변량의 16%를 설명해주었다.
      종합하면, 특성복합체는 학생들의 상이한 개인차 특성들의 수를 줄이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특성복합체들에 포함되는 여러 특성 간에 상승효과 즉, 특성복합체들이 개별적인 특성 측정치보다 학업성취나 진로 선택에 있어 더 정보를 많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특성복합체 = 5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문제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특성복합체 = 5
      • 3. 성취목표지향성 = 15
      • 6. 선행연구 = 19
      • Ⅳ. 연구방법 = 22
      • 1. 연구대상 = 22
      • 2. 측정도구 = 22
      • 3. 자료분석 방법 = 24
      • Ⅳ. 연구결과 = 25
      • 1. 기술 통계 = 25
      • 2. 복합체유형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수준의 차이 = 35
      • 3. 특성복합체와 성취목표지향성과의 관계 = 37
      • Ⅴ. 논의 = 41
      • Ⅵ. 결론 및 제언 = 43
      • 참고문헌 = 45
      • ABSTRACT = 51
      • 부록 = 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