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termediary Role of LMS Learning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10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LMS learning effect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college of J city. The collected data we...

      This stud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LMS learning effect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students enrolled in the nursing college of J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study results show that digital literacy of nursing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MS learning effect (B=.65, p<.001) and major satisfaction (B=.62, p<.001), and the LMS learning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There was a positive (B = .19, p < .001)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and it was found that the LMS learning effect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not only digital literacy but also LMS learning eff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 간의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를 파악하고자 J시의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 간의 LMS 학습효과의 매개역할를 파악하고자 J시의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24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LMS 학습효과(B=.65, p<.001)와 전공만족도(B=.62, p<.001)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LMS 학습효과는 전공만족도에 정적인(B=.19, p<.001) 상관관계가 있어 간호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공만족도의 사이의 관계에서 LMS 학습효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뿐만 아니라 LMS 학습효과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영환 ; 홍아름 ; 황준석, "이용자의 성격특성과 접근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18 (18): 33-64, 2017

      2 이민경, "이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48 (48): 89-112, 2021

      3 유지원, "이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수업 성취목표구조, 학업정서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1-77, 2012

      4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5 박예영 ; 이동형,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85-101, 2014

      6 이종연 ; 이은진,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19-147, 2010

      7 임선영 ; 김소영 ; 최혜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전문직관과의 관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45-51, 2015

      8 박선화 ; 한승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17-526, 2016

      9 한승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3-363, 2018

      10 박현미 ; 석자영 ; 박소연 ; 이소영,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 (37): 1151-1158, 2020

      1 문영환 ; 홍아름 ; 황준석, "이용자의 성격특성과 접근성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사회학회 18 (18): 33-64, 2017

      2 이민경, "이러닝 환경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의 인지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교육개발원 48 (48): 89-112, 2021

      3 유지원, "이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수업 성취목표구조, 학업정서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61-77, 2012

      4 박지혜 ; 이영선,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5-227, 2018

      5 박예영 ; 이동형,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효능감의 역할"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85-101, 2014

      6 이종연 ; 이은진,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41 (41): 119-147, 2010

      7 임선영 ; 김소영 ; 최혜미,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및전문직관과의 관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1 (1): 45-51, 2015

      8 박선화 ; 한승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17-526, 2016

      9 한승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353-363, 2018

      10 박현미 ; 석자영 ; 박소연 ; 이소영,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7 (37): 1151-1158, 2020

      11 최현주,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보건의료산업학회 10 (10): 225-237, 2016

      12 강경숙 ; 고영숙, "간호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1 (11): 179-189, 2016

      13 Namin Shi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Informa UK Limited 24 (24): 69-86, 2003

      14 D. Barron, "Tied to the job affective and relational components of nurse retention" 12 : 46-51, 2007

      15 D. J. Le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Yonsei University 2004

      16 G. S, Kim, "The Influence of the Babyboom Generation’s Digital Media Literacy on the Use Satisfaction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7

      17 W. J. Kim,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Strategic Orientation on the Firm Performance: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Orien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2016

      18 S. R. Lee,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effect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students in nursing" Ajou university 2011

      19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A Regression-Based Approach" The Guilford Press 2013

      20 K. H. Lee,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and eto-resilience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6 (6): 29-38, 2016

      21 A. Ronka, "Accumulation of problems in social functioning in young adulthood. A developmental approach" 69 (69): 381-392, 1995

      22 M. S. Yang,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ffecting on the Knowledge Creation Process of University e-Learning Student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6

      23 Y. W. Jo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Learner’s Digital Literacy and Learning satisfaction" Konkuk University 2018

      24 C. H. So, "A Study A Study on the Digital Digital Digital Literacy Literacy Literacy of Industrial Industrial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Hanyang University 2004

      2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20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NIA VIII-RSE-C-19055).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Promotion Agency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