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선효,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2002
2 민현식, "현대 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1982
3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2002
4 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2002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자용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태학사 2005
6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7 목정수,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23) : 437-470, 2007
8 임홍빈,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49) : 69-106, 2007
9 정희정, "한국어 명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10 안경화,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의의 교수 방안" 29 : 195-223, 2005
1 김선효, "현대 국어의 관형어 연구" 2002
2 민현식, "현대 국어의 격에 대한 연구" 1982
3 이정희, "한국어 학습자의 표현 오류 연구" 2002
4 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문화관광부 2002
5 조남호, "한국어 학습자용 말뭉치의 구축과 활용" 태학사 2005
6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7 목정수, "한국어 조사 {의}의 문법적 지위와 의미 기능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123) : 437-470, 2007
8 임홍빈,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49) : 69-106, 2007
9 정희정, "한국어 명사 연구" 한국문화사 2000
10 안경화,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의의 교수 방안" 29 : 195-223, 2005
11 김정은, "일본어권 학습자의 조사 오용 양상" 국제한국어 교육학회 15 (15): 1-31, 2004
12 신선경, "의의 실현양상에 대한 일고찰" 1091-1113, 2001
13 홍사만, "우리 민법에 남아 있는 일본어식 표현(1)-명사구 표현" 한국문학언어학회 (41) : 57-98, 2004
14 김선효, "어휘화한 관형사" 6 (6): 339-354, 2004
15 이해영, "비교문화적 화용론에 기초한 한국어의 화용 교육" 이중언어학회 (21) : 45-70, 2002
16 김선효, "국어의 분류사와 문법화" 한국어학회 27 : 107-123, 2005b
17 김인균, "국어의 명사 연결 구성 연구" 2002
18 최경봉, "국어 명사의 의미 연구" 태학사 1998
19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 구조 연구" 2004
20 김기혁, "관형구성의 통어 현상과 의미관계" 59-97, 1990
21 김선효, "관형격조사 의의 격 지위와 기능" 태학사 65-84, 2005a
22 이남순, "격과 격표지" 월인 1998
23 김은희, "連?修飾格 ?の? に??する韓?語の ?Ø? について" 2006
24 松澤明子, "現代朝鮮語の助詞‘euy’が現れる環境について" 2003
25 西山佑司, "日本語名詞句の意味論と語用論" ひつじ書房 2003
26 生越直樹, "日本語と日本語?育5" 明治書院 1999
27 日本語?育??, "新版日本語敎育事典" 大修館書店 2005
28 김광해, "‘의’의 연구 문법연구5" 19811984
29 Lambrecht, "and the mental representations of discourse referen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0 Ellis, "The Study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1 L, "New Frontier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1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