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4학년 아동의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섭취 빈도와 아동 및 보호자의 정책 인식 비교 = Comparison of food frequency with policy recognition of 4th grade children and guardian by administrative divi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73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the status of consumption of favorite food, and the perception of policy related to favorite food in 4th grade childre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surv...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the status of consumption of favorite food, and the perception of policy
      related to favorite food in 4th grade childre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ivisions.
      The survey subjects were 4th grade children and parents of the nationwide.
      The frequency of favorite food intake and their awareness of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recognition, usefulness, necessity, intention to selec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fter dividing 3 groups into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iddle cities, and small towns and villages(Eup, Myeon). The data of 1,971
      children and parents respe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ere analyzed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favorite healthy food
      intake and the frequency of high-calorie and low-nutrient food consumption by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In detail, ‘Soy milk' consumed more in small and
      middle cities' children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children(p<0.05). And
      ‘Fruits'(p<0.05) were consumed by the children of special metropolitan cities
      and small and middle cities compared with the children of towns and
      villages(p<0.05). ‘Chocolates and candies’(p<0.01) and ‘Beverages'(p<0.001) were
      more consumed in small and middle cities tha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
      and ‘Ram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more than children in special
      metropolitan cities(p<0.05). The time spent watching TV, computer, and smartphone
      use was higher in small towns and villages than that of children in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nutrition education at the school was very low, there was no difference by
      administration area.
      In the case of the awareness for favorite food-related policies, whil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had a lower perception rate than the children in
      other areas(p<0.05). Children’s awareness in small towns and villages regarding
      ‘TV advertisement restriction',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areas(p<0.01). In
      terms of policy-specific usability, children in metropolitan cities showed high
      awareness, responding that policies such as ‘Green Food Zone’, ‘Exemplary
      Business Places’, ‘Restrictions on TV advertising’, ‘Restrictions on advertising
      for free offer’,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on food safety and nutrition’,
      ‘Prohibition detrimental to children’s emotional health’ were helpful in having
      healthy eating habits(p<0.05∼0.01). In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policy,
      the children in the small and middle cities were lower than the children in the
      other administrative districts(p<0.01). In the ‘Expansion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of food safety and nutrition education', children in small
      towns and villages showed higher awareness(p<0.05).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favorite food consumption
      frequency and the policy perception by the guardians(r=0.059∼0.290, p<0.05∼
      0.01). Especially, the frequency of food consumption of children with high
      calorie and low nutri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perceived the
      policy usefulness by the guardians'(r=-0.051, p<0.05).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nutrition education in the children's schoo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health food consumption(r=0.111, p<0.01), and there was also a
      correlation in the policy awareness, usefulness and necessity(r=0.097∼0.37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school nutrition education is active,
      children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behavior and policy to
      consume more healthy foods than high-calorie and low-nutrition foods. In
      ad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s policy perceptions and the
      guardians' perceptions, so that nutrition education for the children as well as
      guardians may positively affect the ability of the children to improve healthy
      food selection and eating habi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에 따라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의 섭취 빈도, 기호식품의 섭취 관련 현황 및 기호식품과 관련된 정책 인식을 비교하여, 추후 아동의 기호식품 선택 능력 향상을 위한 방...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에 따라 4학년 아동의 기호식품의 섭취 빈도, 기호식품의 섭취 관련 현황 및 기호식품과 관련된 정책 인식을 비교하여, 추후 아동의 기호식품 선택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조사로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4학년 아동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로 집단을 분류하여 기호식품 섭취 빈도,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식(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선택 의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아동과 학부모 각각 1,971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행정구역별로 아동의 건강기호식품 섭취 빈도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 빈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두유’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p<0.05), ‘과일류’는 특별광역시, 중소 도시 아동들이 읍‧면‧도서벽지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그리고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을 세부적으로 보면 ‘초콜릿‧캔디류'(p<0.01), ‘음료류'(p<0.001)는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으며, ‘라면류’는 중소 도시,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특별광역시 아동들보다 더 섭취하고 있었다(p<0.05).
      대중매체 노출 시간에서 TV시청과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의 사용시간보다 많았다(p<0.01). 기호식품 관련 영양교육을 학교에서 받은 경험으로 행정구역별에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항목별 중 ‘고열량‧저영양 식품’은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경험이 낮게 나타났다(p<0.01).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지도에서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의 경우 중소 도시지역 아동들이 다른 지역의 아동들보다 인지율이 낮았으며(p<0.05), ‘TV광고 제한’의 경우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p<0.01). 정책별 유용성에서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우수판매업소’, ‘TV광고 제한’, ‘무료제공 광고제한’, ‘영양정보 표시’,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 ‘정서저해 식품 판매금지’는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가지고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0.01). 정책별 필요성 인식에서 중소 도시 아동들이 다른 행정구역 아동들보다 인식이 낮게 나타났으며(p<0.01), 항목별로 '학원가를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으로 지정·관리', ‘인터넷 정보노출 관리 방안 마련', ‘TV광고 제한시간 연장’은 특별광역시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p<0.05~0.01), ‘식품안전 및 영양교육을 중‧고등학생 확대’에선 읍‧면‧도서벽지 아동들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p<0.05).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빈도 및 정책 인식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 간의 상관분석에서 아동과 보호자의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 및 선택 의향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9~0.290, p<0.05~0.01). 이 중 아동의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 섭취빈도와 보호자가 정책에 대해 유용하다고 인식하고 있을 때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51, p<0.05). 그리고 아동의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r=0.111, p<0.01), 정책 인지도, 유용성, 필요성에서도 상관성을 보였다(r=0.097~0.376, p<0.01).

      결론적으로 학교 영양교육은 건강기호식품 섭취와 정책 인식들 간에 학교에서 교육을 적극적으로 한다면 아동들이 고열량‧저영양 기호식품보다 건강기호식품을 더 섭취하려는 행동과 정책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아동의 정책 인식들과 보호자의 정책 인식들 간의 상관성이 나타나 아동뿐만 아니라 보호자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한다면 아동의 식품 선택 향상능력과 식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6
      •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10
      • 1. 연구목적 ---------------------------------------- 10
      • 2. 연구대상 ---------------------------------------- 10
      • 3. 연구방법 및 기간 --------------------------------- 11
      • Ⅰ. 서론 --------------------------------------------- 6
      • Ⅱ. 연구내용 및 방법 ----------------------------------- 10
      • 1. 연구목적 ---------------------------------------- 10
      • 2. 연구대상 ---------------------------------------- 10
      • 3. 연구방법 및 기간 --------------------------------- 11
      • 4. 연구내용 ---------------------------------------- 12
      • 4-1. 아동용 설문 ---------------------------------- 12
      • 4-2. 보호자용 설문 -------------------------------- 16
      • 5. 자료분석 ---------------------------------------- 17
      • Ⅲ. 연구결과 ------------------------------------------ 18
      • 1. 조사대상자 일반사항 ------------------------------- 18
      • 2.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관련 현황 ---------------------- 22
      • 1) 기호식품 섭취 관련 현황--------------------------- 22
      • 2) 기호식품 관련 학교 영양교육 내용 ------------------ 31
      • 3) 간식 구입 장소 --------------------------------- 32
      • 3.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정책 인식 ---------------------- 33
      • 1)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인지도 ---------------------- 33
      • 2)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유용성 ---------------------- 35
      • 3)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필요성 ---------------------- 36
      • 4) 기호식품 관련 식품표시에 따른 제품 선택 의향 ------- 37
      • 4. 행정구역별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섭취 현황 및 정책
      • 관련 인식 비교 ----------------------------------- 38
      • 1)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섭취 관련 현황 비교 ------------ 38
      • 2)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관련 학교 영양교육 내용 비교 ---- 49
      • 3) 행정구역별 간식 구입 장소 비교 -------------------- 50
      • 4)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관련 정책 인식 비교 ------------ 52
      • 5. 보호자의 행정구역별 기호식품 정책 관련 인식 비교 ------ 59
      • 1) 행정구역별 보호자의 기호식품 관련 정책 인식 비교 ---- 59
      • 2)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보호자의 정책별 인지도 비교 ---- 60
      • 3)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정책별 유용성에 대한 보호자
      • 의 평가 비교 ----------------------------------
      • 62
      • 4)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보호자의 정책별 필요성 비교 ---- 67
      • 5) 아동의 기호식품 관련 표시 사항을 고려한 보호자의
      • 선택 의향 비교 ---------------------------------
      • 69
      • 6. 아동의 기호식품 섭취 관련 요인 간의 상관성 분석 ------- 71
      • Ⅳ. 고찰 --------------------------------------------- 75
      • Ⅴ. 요약 및 결론 -------------------------------------- 86
      • 참고문헌 ------------------------------------------- 89
      • Abstract ------------------------------------------- 99
      • Appendix ------------------------------------------ 1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