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세기 중엽 이후 거제 통영 지역의 별신굿 연행과 기록 문화 전통의 창출 = A Study of the Invention of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and the Performance of Byeolsin Gut in Geoje․Tongyeong Areas From 19th centu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5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and the performance of Byeolsin gut in Geoje․Tongyeong Areas before 1970’s. The abundant amounts of old records kept in several villages of Geoje․Tongyeong Area...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and the performance of Byeolsin gut in Geoje․Tongyeong Areas before 1970’s. The abundant amounts of old records kept in several villages of Geoje․Tongyeong Areas have been excavated in resent times. My research shows that theses records were mostly composed of tax document, household registers and accounting books of Byeolsin gut performance since the 19th century until the 1970’s. Analysis of these records shows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started approximately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This tradition also was enforced and diffused by the Byeolsin gut performed by local hereditary shamans.
      In order to explai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tradition and the shamanic performance of many seashore villages, new approaches to collect oral tradition and the conversation with performance theory are required. Through these new approaches in historical arena, I suggest that Byeolsin gut of these areas joining Confucian ancestor worship with shamanic rituals would had performed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is syncretism had helped to keep the all kinds of records that ancestors produced.
      It is surprising that one of the most marginalized areas in Joseon Dynasty had invented the tradition of record culture. Byeolsin gut also needs new evaluatio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eeping records by providing chances to co-share all the informations and the right to the village people. the record culture linked with the performance of Byeolsin gut should be listed as one of the important popular culture that appeared from the 19th century of Joseon Dynas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거제와 통영 지역의 어촌들에서 주민들이 자신들의 촌락의 각종 기록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록 문화 전통을 창출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이 전통이 별신굿 연행과 연동되어 있음...

      이 연구는 거제와 통영 지역의 어촌들에서 주민들이 자신들의 촌락의 각종 기록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록 문화 전통을 창출한 사실에 초점을 맞추어 이 전통이 별신굿 연행과 연동되어 있음을 밝히고 그 내용과 의미를 논의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유교적 규범의 확산에 대응하여 조상 제례를 巫敎 의례로 전유한 사실도 드러냈다. 한편 이러한 작업은 지동궤와 전승 기록물이 남아 있는 일곱 마을을 대상으로 관련 기록물을 발굴-분석하는 한편 구전 채록과 연행 현장에 대한 참여 관찰도 시도하는 바탕 위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문헌 기록을 찾을 수 없어 역사적 접근을 기대할 수 없었던 무교 의례 등을 역사 연구의 장으로 끌어들일 수 있었다.
      이렇듯 문헌 기록과 구술 그리고 연행론을 토대로 거제와 통영 지역에 19세기 중엽 이후 어촌 주민들이 자신들의 촌락의 각종 기록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록 문화 전통을 창출한 사실과 1970년대 이후 국가 정책으로 별신굿을 중지하려한 국가적 억압 속에서 이러한 전통도 해체되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이 지역의 기록 문화 전통은 최소 120년 이상 걸쳐 지속된 셈인데, 이 과정에서 별신굿은 한말의 격동기와 식민지로의 전락 그리고 한국 전쟁기에도 변함없이 지속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어 별신굿의 연행이 기록 문화 전통과 연동되는 새로운 변화를 기록 문화 전통의 상징이라 할 지동궤와 이를 놓고 연행되는 지동굿을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조상 제례를 무속 의례로 풀어간 이 굿거리는 이제까지 별신굿에서 주목하지 않았는데, 필자는 이것이 마을 주민들의 조상들에 대한 추모의 한 형식으로 전유됨으로써 장기간 생명을 유지하였다고 본 것이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필자는 별신굿 연행과 기록 문화 전통 사이의 상호 공생 관계를 상정하고 이어 거제와 통영 지역을 묶는 지역 내지는 기록 문화권도 상정하였는데, 인접한 지역이나 제주도에도 유사한 사례가 찾아지고 있어 이 문화권은 앞으로 더 확장될 것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새로운 문화적 층위가 19세기 중엽 이후 가장 주변적인 지역에서 모습을 드러낸 것과 관련하여 이것을 탈춤이나 판소리, 관우 신앙과 같이 동시대에 확산된 포퓰러popular 문화의 범주에 포섭하여 이 시기 이후 새로운 문화적 역동성의 지표로 설정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경, "한국의 당골을 찾아서⑤: ‘대산산이’ 정영만" 8 : 2010

      2 하효길, "한국의 굿" 민속원 2002

      3 김인회, "한국무속사상연구" 집문당 1987

      4 황루시, "한국 민속문화의 탐구" 민속원 1996

      5 김성례, "한국 무교 연구의 역사적 고찰" 1 : 1998

      6 이훈상, "탈근대기 무형문화재 정책과 민속 문화의 정치학: 가산오광대의 ‘복원’과 창출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 비교문화연구소 16 (16): 31-69, 2010

      7 이소라, "치리섬 別神祭" 국립문화재연구소 (17) : 187-217, 1984

      8 김현구, "조선후기 연해민의 생활상 : 18~19세기 거제부를 중심으로" 8 : 2001

      9 이훈상, "조선후기 동래 지역사회의 엘리트와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 부산교회사연구소 1995

      10 秋葉隆, "조선민속지" 동문선 1993

      1 안상경, "한국의 당골을 찾아서⑤: ‘대산산이’ 정영만" 8 : 2010

      2 하효길, "한국의 굿" 민속원 2002

      3 김인회, "한국무속사상연구" 집문당 1987

      4 황루시, "한국 민속문화의 탐구" 민속원 1996

      5 김성례, "한국 무교 연구의 역사적 고찰" 1 : 1998

      6 이훈상, "탈근대기 무형문화재 정책과 민속 문화의 정치학: 가산오광대의 ‘복원’과 창출에 대한 자전적 민족지적 접근" 비교문화연구소 16 (16): 31-69, 2010

      7 이소라, "치리섬 別神祭" 국립문화재연구소 (17) : 187-217, 1984

      8 김현구, "조선후기 연해민의 생활상 : 18~19세기 거제부를 중심으로" 8 : 2001

      9 이훈상, "조선후기 동래 지역사회의 엘리트와 천주교 수용자들 그리고 이에 관한 고문서" 부산교회사연구소 1995

      10 秋葉隆, "조선민속지" 동문선 1993

      11 김성례, "제주 무속: 폭력의 역사적 담론" 4 : 1991

      12 이소라, "제170호 풍어제-남해안별신굿" 문화재관리국 1998

      13 황루시, "비교민속학과 비교문화" 민속원 1999

      14 김동노,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국학연구원 (150) : 319-353, 2010

      15 정수진, "무형문화재의 탄생" 역사비평사 2007

      16 노성미, "마산 성신 대제연구" 2008

      17 오진호, "남해안별신굿의 변화양상 연구-거제시 죽림마을 <부락 위신제 경비일지>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12 : 305-329, 2008

      18 "남해안별신굿 종합보고서" 문화재관리국 1996

      19 오진호, "남해안별신굿 연행구조 연구" 실천민속학회 9 : 333-351, 2007

      20 "남해안별신굿"

      21 김선풍, "남해안별신굿" 박이정 1997

      22 김형근, "남해안굿 연구" 민속원 2012

      23 김형근, "남해안 별신굿과 공연문화: 남해안 별신굿의 구조적 특징과 연행 요소" 한국공연문화학회 (29) : 47-80, 2014

      24 정순우, "고문서집성" 35-거제 구조라리편 1998

      25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문서집성" 35-거제 구조라리편 1998

      26 "경남어촌 민속지"

      27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경남 서부지역의 고문헌 3" 가람출판사 2008

      28 김수남, "거제도별신굿" 열화당 1993

      29 오진호, "거제 죽림마을 <위신제(位神祭) 경비일지>" 한국음악문화학회 3 : 2011

      30 정성일, "朝鮮의 對日關係와 巨濟 사람들 - 1830~80년대 巨濟府 舊助羅里[項里] 주민의 대마도 난파선 구조를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학회 (49) : 175-206, 2014

      31 이종길, "戶籍資料를 통해 본 漁村社會의 家族關係 - 巨濟島 舊助羅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57) : 1-52, 2012

      32 이훈상, "19세기 후반 향리 출신 노년 연령집단과 읍치의 제의 그리고 포퓰러 문화의 확산" 국립민속박물관 (27) : 5-34, 2010

      33 손숙경, "19세기 후반 식민지기 관우 숭배의 확산과 쇠퇴" 석당학술원 (65) : 225-259, 2016

      34 여박동, "19세기 통영․거제지역의 일본인이주어촌 형성과 어업조합" 14 : 1994

      35 송양섭, "19세기 거제도 舊助羅 촌락민의 職役變動과 家系繼承 양상 -『項里戶籍中草』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7) : 119-161, 2014

      36 전민영, "18세기 말~19세기 海村의 共同納 운영 방식 -巨濟 舊助羅里 고문서를 중심으로-" 한국고문서학회 48 : 133-164, 2016

      37 이훈상, "18세기 말 이후 통영 죽도의 기록물 전승과 별신굿의 연행 I: 남해안의 기록문화전통과 무형문화유산 총서 1"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2 2.45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