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간에 FTA가 발효됨에 따라 양국 간의 교역량이 증대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 이다. 특히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산물 등 식품안전분야의 교역은 양 국 간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 간에 FTA가 발효됨에 따라 양국 간의 교역량이 증대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 이다. 특히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산물 등 식품안전분야의 교역은 양 국 간에 ...
한국과 중국 간에 FTA가 발효됨에 따라 양국 간의 교역량이 증대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 이다. 특히 국민의 건강 및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산물 등 식품안전분야의 교역은 양 국 간에 엄격한 검사·검역 체계를 수립하고 양국의 정책 및 제도의 조화를 도모함으로써 신 뢰를 정착시키고 FTA의 긍정적인 효과를 향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식품안전규제제도에서 양국 간의 식품안전정책의 차이점 과 유사점을 분석하여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식품안전정책을 도출하고 제도의 조화 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2장에서는 WTO 및 FTA체제하에서 식품안전과 관련된 국제적인 규범을 고찰하고, 제3장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식품안전정책을 상호 비교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양국이 경험한 식품안전과 관련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FTA발효에 따른 양국 간의 식품안전 및 정책의 조화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진, "한미FTA가 국내 GMO관련 법제도에 미치는 영향" 법학연구소 23 (23): 453-479, 2007
2 김창화, "카르타헤나의정서 및 중국 법제도 연구" 한중법학회 (8) : 2007
3 서운석, "중국정부의 식품안전 정책 분석" 중국연구소 41 : 157-174, 2007
4 이정표, "중국의 식품안전에 관한 정책 및 법제의 검토" 중국연구소 (10) : 165-211, 2011
5 고재모, "중국산 수입식품 현황과 안전관리 연구"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3 (23): 187-214, 2011
6 정기혜, "중국산 수입식품 안전성확보를 위한 수입식품 검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지역 식품의약청안전청 2006
7 배성의, "중국 농식품 안전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1 (21): 13-18, 2009
8 최지현, "주요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1)(2) , KREI세계농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9 이용선, "식품전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0 정기혜, "식품위해정보 교류 선진화 방안" 국무총리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 김은진, "한미FTA가 국내 GMO관련 법제도에 미치는 영향" 법학연구소 23 (23): 453-479, 2007
2 김창화, "카르타헤나의정서 및 중국 법제도 연구" 한중법학회 (8) : 2007
3 서운석, "중국정부의 식품안전 정책 분석" 중국연구소 41 : 157-174, 2007
4 이정표, "중국의 식품안전에 관한 정책 및 법제의 검토" 중국연구소 (10) : 165-211, 2011
5 고재모, "중국산 수입식품 현황과 안전관리 연구"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3 (23): 187-214, 2011
6 정기혜, "중국산 수입식품 안전성확보를 위한 수입식품 검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인지역 식품의약청안전청 2006
7 배성의, "중국 농식품 안전 현황과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1 (21): 13-18, 2009
8 최지현, "주요국의 식품안전관리체계(1)(2) , KREI세계농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0
9 이용선, "식품전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8
10 정기혜, "식품위해정보 교류 선진화 방안" 국무총리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1 정지원,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의 정책개선 방향" 5 (5): 2010
12 류창호, "식품소비자의 피해구제에 관한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7) : 153-171, 2004
13 김민우, "식품소비자의 안전권 확보를 위한 식품안전법제 정비방안"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14 김은이, "식품관련 위기관리와 대응-말라카이드 그린 사례를 중심으로-" 2 : 2009
15 김진수, "바이오안전성의정서 무역조치와 WTO 규범간 관계에 대한 고찰" 23 (23): 2004
16 정경환, "멜라민과 신장" 경희대학교 경희의료원 25 (25): 2009
17 조을룡, "멜라민 분유사건" 한국고무학회 11 (11): 2010
18 이양기, "국내 규제의 자치권과 기술무역장벽협정" 한국무역학회 34 (34): 255-280, 2009
19 王学政, "食品安全法实施条例释义及热点案例分析" 2009
20 王小京, "试析WTO框架下与转基因产品相关的贸易规则--兼论中国转基因产品立法之完善" 22 (22): 2006
21 劉録民, "論我國食品標凖体系改革舆食品技術法規建設" 2009
22 廲, "我國農産品市場信息不對穪問題研究" 山東農業大學 2010
23 李俊江, "中韩农产品貿易自由化及其对策(下)" 2008
24 Sun Juanjuan, "The Evolving Appreciation of Food Safety" 2012
25 J. L. Jouve, "Principles of Food Safety Legislation" 9 : 1998
26 R Taylor Michael, "PREPARING AMERICA'S SAFETY SYSTEM FOR THE TWENTY-FIRSTCENTURY-WHO IS RESPONSIBLE FOR WHAT WHEN IT COMES TO MEETING THE FOOD SAFETY CHALLENGES OF THE CONSUMER-DRIVEN GLOBAL ECONOMY?" 1997
27 Smith Caroline De Waal,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 to Secure the Food Supply" 40 : 921-, 2007
28 H. Leibovitch Emilie, "FOOD SAFETY REGULATION IN THE EUROPEAN UNION: TOWARDAN UNAVOIDABLE CENTRALIZATION OF REGULATORY POWERS" 43 : 429-, 2008
29 김두수, "EU 유전자변형생물체(GMO)규범체계를 통해 본 국제통상에 있어서의 식품안전과 환경보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11 (11): 29-78, 2013
30 Balzano John, "China's Food Safety Law :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Institutional Desigh in Comparative Perspective" 13 (13): 2012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Selected Chinese Traditional Bibliographies
중국 유학생 유치의 연계 유형과 입학 경로에 관한 사례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7 | 0.439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