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 본궐 만월대 주요전각 위치와 배치체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1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행된 만월대(고려 본궐) 서부건축군의 발굴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려황궁의 배치체계와 주요 전각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북한 개성시에 위치한 만월대는 고려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시행된 만월대(고려 본궐) 서부건축군의 발굴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고려황궁의 배치체계와 주요 전각의 위치를 살펴보았다. 북한 개성시에 위치한 만월대는 고려의 황제와왕조를 상징하는 황궁터이다. 만월대는 전쟁, 내전, 화재 등 잦은 재난에도 불구하고, 강화천도를 제외한 919년부터 1392년까지 470여 년 동안 고려의 본궐로서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였다. 남북한은2007년부터 2018년까지 공동으로 만월대에 대한 8차에 걸친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중심건축군 일부를 비롯한 서부건축군 건물지와 배치를 확인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고려 본궐 제2정전인 건덕전의 위치는 정전이 갖는 위상과 지형조건 등을 고려하였을때 서부건축군의 가장 남쪽에 위치한 A건물지로 판단되며, 그 북쪽으로 편전 일곽과 침전 일곽이 지형에 순응하며 자리잡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금원과 인접한 곳에는 왕실원묘인 경령전을 비롯해 궁궐내사찰인 내제석원 등이 위치할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기존에 임천각터로 알려진 T건물지는 선정전일 가능성이 있으며, 임천각은 회경전 서쪽 U건물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 본궐 만월대는 지형에 순응하면서도 동시에 황궁으로서의 권위와 격식에 맞는 합리적인 배치체계를 구현하였다. 정전-편전-침전으로 그 권역이 구분되어 있는 중심건축군과 서부건축군은 남북방향과 동서방향으로 연결되는 유기적인 동선체계를 통해 두 영역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도록하였다. 또한 중심건축군과 서부건축군 사이에는 두 영역의 서비스공간이자 완충공간으로 보이는부속전각들이 배치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전-편전-침전영역으로 구성된 삼전체제의 2원 구성은 고려 본궐만의 배치특성으로 동아시아궁궐건축에서 그 유래를 찾기 어려운 독특한 고려만의 궁궐건축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는고려 본궐이 초창부터 최성기까지 약 100여년에 걸친 점진적 조영 과정과 창건당시의 궁궐영역인서부건축군 배치질서의 존중, 주어진 대지 조건에 순응한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siders its layout system and location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imperial palace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based on the recent excavations on building group west of Manwoldae and previous studies on Manwoldae. Located in the Gor...

      This paper considers its layout system and location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imperial palace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based on the recent excavations on building group west of Manwoldae and previous studies on Manwoldae. Located in the Goryeo capital of Gaeseong, North Korea, Manwoldae is an imperial palace symbolizing Emperors and Dynasty of Goryeo. Although frequent disasters such as war, civil war, and fire, Manwoldae had faithfully served as the main palace of Goryeo (Goryeo bongwol) for more than 470 years from 919 through 1392, except when the capital of Goryeo was briefly on Ganghwa Island. North and South Korea have jointly conducted excavations of Manwoldae from 2007 to 2018. The location of Geondeokjeon Hall, the second main Hall of the Goryeo imperial palace, is determined to be the building site A located to the southernmost part of the western building group of Manwoldae, considering topographical conditions and its status as the second main Hall. To the north of Gundeokjeon, it is believed that the area of Pyeonjeon Hall, emperor’s everyday office space, and Chimjeon Hall, building for the emperor’s rest, are located following the terrain. It is also believed that Gyeongryeongjeon Hall, where imperial ancestral rites were held, and Naejeseokwon, a Buddhist temple in the palace, were located in the vicinity of Geumwon. Meanwhile, it is possible that the building site T, known so far as the Imcheongak Pavilion site, will be Seonjeongjeon Hall. Besides, Imcheongak is likely to be located at the building site U west of Hoegyeongjeon Hall. Manwoldae implemented a layout system that conforms to the topography and, at the same time, conforms to its authority and formality as an imperial palace. In particular, the central building group and the western building group, which were divided into three zones of Jeongjeon-Pyonjeon-Chimjeon respectively,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reas through a flow system connecting the north-south and east-west direc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uxiliary buildings, which appeared to be service areas and buffer spaces, were located between the central building group and the western building group. The two-way configuration of the three halls, consisting of JeongjeonPyonjeon-Chimjeon, exhibi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oryeo, which is hard to find in other palaces in East Asia. This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Goryeo imperial palace are regarded as a result of the gradual development process spanning about 100 year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undation to its peak period, respect for the layout of the western building group, which was the palace area at the time of its founding, and efforts to adapt to the given topographical cond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머리말
      • II. 고려 본궐의 영역구성과 유구현황
      • 1. 고려 본궐의 영역변화와 권역
      • 2. 건물지 현황과 운영시기
      • 국문요약
      • I. 머리말
      • II. 고려 본궐의 영역구성과 유구현황
      • 1. 고려 본궐의 영역변화와 권역
      • 2. 건물지 현황과 운영시기
      • 3. 지형과 축대 현황
      • III. 고려 본궐 주요 전각 위치 재검토
      • 1. 서부건축군 주요 전각 위치에 대한 선행연구
      • 2. 고려 본궐 주요 전각 위치 재검토
      • IV. 고려 본궐 배치체계와 동선체계
      • 1. 배치체계
      • 2. 동선체계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한국겨레문화연구원, "한국고전용어사전"

      3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10(고려편1)" 외국문종합출판사 1991

      4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한인호, "만월대중심건축군의 원덕전터 발굴보고" 1994

      6 리창언, "만월대의 동지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부 1999

      7 정찬영, "만월대 유적에 대하여Ⅰ" 사회과학출판부 1989

      8 우성훈, "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5 (15): 59-79, 2006

      9 장상렬, "고려왕궁-만월대 건축에 쓴 측도기준"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1 : 1988

      10 박용운, "고려시대 개경 연구" 일지사 1996

      1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한국겨레문화연구원, "한국고전용어사전"

      3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조선유적유물도감10(고려편1)" 외국문종합출판사 1991

      4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5 한인호, "만월대중심건축군의 원덕전터 발굴보고" 1994

      6 리창언, "만월대의 동지에 대하여" 사회과학출판부 1999

      7 정찬영, "만월대 유적에 대하여Ⅰ" 사회과학출판부 1989

      8 우성훈, "고려정궁 내부 배치의 복원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5 (15): 59-79, 2006

      9 장상렬, "고려왕궁-만월대 건축에 쓴 측도기준"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1 : 1988

      10 박용운, "고려시대 개경 연구" 일지사 1996

      11 남창근, "고려 본궐 배치체계와 주요전각 위치 재검토" 고려사학회 2019

      12 홍영의, "고려 궁궐내 경령전의 구조와 운용" 2009

      13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신서원 2002

      14 林孝憲, "경기도읍지(9)"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0-, 2000

      15 박지영, "개성 만월대 출토 청자 유형과 특징" 고려사학회 2019

      16 이상준, "개성 고려궁성(만월대)의 발굴성과와 과제" 한국중세사학회 2009

      17 지성진, "개성 고려궁성(만월대) 회경전 앞 대형계단 현황 및 축조기법"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18 이상준, "개성 고려궁성(만월대) 남북공동발굴조사의 성과와 과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19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Ⅱ" 2015

      20 국립문화재연구소,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Ⅰ" 2012

      21 박성진, "개성 고려궁성 남북공동 발굴조사보고서 Ⅰ" 2012

      22 "高麗圖經"

      23 "高麗史節要"

      24 "高麗史"

      25 남창근, "高麗 本闕 景靈殿 一郭의 性格과 建築遺構를 통한 復原"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2

      26 고유섭, "韓國建築美術史草稿" 考古美術同人會 6 : 1964

      27 국립문화재연구소, "開城 高麗宮城 試掘調査報告書" 2008

      28 前間恭作, "開京宮殿簿" 朝鮮學會 26 : 1963

      29 고유섭, "朝鮮建築美術史 草稿(우현 고유섭 전집 第6卷)" 열화당 2013

      30 "三國遺事"

      31 김동욱, "11, 12세기 고려 정궁의 건물구성과 배치" 6 (6):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