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들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다른 대학들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80989
2021
-
비교과 교육과정 ; 고등교육 ; 핵심역량 ; 사례 분석 ; Extra-Curriculum ; Higher Education ; Core Competency ; Case Analysis
370
KCI등재
학술저널
197-223(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들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다른 대학들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들을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어떠한 특징이 있었는지 살펴보고 다른 대학들에서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 및 운영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탐색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부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충실하게 비교과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으로 평가받는 국내 8개 대학을 선정하여 홈페이지와 대학알리미에 공개 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례 대학들은 핵심역량에 기초하여 비교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틀을 설계하였다. 둘째, 사례 대학들은 비교과 전용 온라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비교과 교육과정의 교육평가는 학습자의 성취나 성장보다는 상대적으로 성과 관리의 측면이 두드러졌다. 넷째, 핵심역량이나 학년에 따른 단계별 심화 설계 방식을 비교과 교육과정에도 적용하거나, 교내 소수 집단을 위한 맞춤형 비교과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 편성, 운영에 있어 핵심역량과 비교과 교육과정의 명확한 연관성, 온라인 시스템의 활용을 통한 데이터 기반 교육의 질 관리, 위계와 연속성을 고려한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교육평가의 관점 전환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um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loring implications that other uni...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extra-curriculum through case analysis, and exploring implications that other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Method: We selected eight universities in South Korea, which are recognized for their excellen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released on their website. Results: First, case universities have designed the overall framework of the extra-curriculum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cond, they have operated an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dedicated to the extra-curriculum. Third, the educational evaluation of the extra-curriculum was more prominent in the aspect of performance management. Fourth, the stepwise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core competencies or grade level was applied to the extra-curriculum. Conclusion: We suggest a clear link between the extra-curriculum and core competencies, evidence-based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e online system, curriculum design that reflects sequence and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perspective of evalu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여관현, "협업능력 및 사고력 개발을 위한 기숙형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5-130, 2018
2 송상호, "한국 대학교육 혁신에 있어 교육공학의 공헌 및 미래방향" 한국교육공학회 32 (32): 677-705, 2016
3 김경자,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2000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8
5 교육부, "제5차 교육과정 해설서" 문교부 1987
6 유지원,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7 (47): 153-178, 2016
7 홍원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7-86, 2011
8 Yin, R.,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21
9 박창남,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71, 2017
10 이정미,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5-375, 2019
1 여관현, "협업능력 및 사고력 개발을 위한 기숙형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5-130, 2018
2 송상호, "한국 대학교육 혁신에 있어 교육공학의 공헌 및 미래방향" 한국교육공학회 32 (32): 677-705, 2016
3 김경자, "학교교육과정론" 교육과학사 2000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8
5 교육부, "제5차 교육과정 해설서" 문교부 1987
6 유지원,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소 47 (47): 153-178, 2016
7 홍원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67-86, 2011
8 Yin, R.,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21
9 박창남,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39-71, 2017
10 이정미,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55-375, 2019
11 배상훈, "데이터로 교육의 질 관리하기 :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18
12 문희정,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59-80, 2019
13 김정민,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73-791, 2017
14 송나리,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15 배상훈, "대학생의 수업 외 활동이 능동적‧협동적 학습 및 대학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53 (53): 323-356, 2015
16 백상현, "대학생의 비교과 교육 활동 경험이 대인관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9-283, 2020
17 이림, "대학교육에서의 비교과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교육문제연구소 31 (31): 155-182, 2018
18 조옥경, "대학교육 격차 지표 개발및 실태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20
19 박지회,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83-1402, 2020
20 김정민,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인식 및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 (8): 321-348, 2019
21 양근우,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의 구축 및 운영"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4 (24): 115-131, 2015
22 홍후조,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002
23 김은주, "교과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체계 및 성과관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95-101, 2020
24 백은아,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글쓰기 교육 방안 -전북대학교 글쓰기 워크숍 운영 현황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9) : 139-168, 2019
25 Frederick, R. W., "The third curriculum, student activities in american education" Appleton-Century Crafts Inc
26 Nieves Arranz, "The effect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competences" Informa UK Limited 42 (42): 1979-2008, 2016
27 Massoni, E., "Positiv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students" 9 (9): 84-87, 2011
28 Broh, B. A., "Linking extracurricular programming to academic achievement : Who benefits and why" 75 : 69-96, 2002
29 Bakoban, R. A.,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ir effect on the student's grade point average: Statistical study" 10 (10): 2737-2744, 2015
30 Lunenburg, F. C., "Extracuricular activites" 1 (1): 1-4, 2010
31 Schubert, W. H., "Curriculum: Perspective, paradigm and possibility" Macmillan 1986
32 Bartkus, K., "Clarify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y : A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5 (5): 693-704, 2012
33 최헌철, "4년제 D대학교의 비교과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1 (41): 937-962, 2019
34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 고등학교" 교육부 2015
35 교육부, "2010년 대학 교육역량강화 사업 시행계획 공고(교육과학기술부 공고 제2010-65호)"
청소년의 수줍음이 외로움 및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성실성과 성별의 조절된 조절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