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상징의 궁극적 목적과 역할은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른 국가와 구별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분 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고는 뉴질랜드의 정체성과 관련한 5가지의 상징 체계를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0929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1-100(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가 상징의 궁극적 목적과 역할은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른 국가와 구별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분 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고는 뉴질랜드의 정체성과 관련한 5가지의 상징 체계를 대...
국가 상징의 궁극적 목적과 역할은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다른 국가와 구별할 수 있는 상징체계를 분 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고는 뉴질랜드의 정체성과 관련한 5가지의 상징 체계를 대상으로 그 나라의 역사적·지리적 특성이 어떻게 상징체계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조사·분석한 국가 정체성 상징체계 연구이다. 분석의 결과, 뉴질랜드 국기(國旗)는 영국 연방국 가임을 상징하는 이미지와 지리적 표시인 남십자성이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었다. 국장(國章)은 문장의 구 성요소를 중심으로 뉴질랜드의 건국이념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었으며, 국가(國歌)는 영국 연방국가로서 뉴질랜드의 임무와 지리적 위치에 대한 염원이 가사 에 담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수(國獸)는 지역에서만 존재하는 키위(Kiwi)새로 국민의 온화한 성격을 상징하는 동물로 표현하였다. 또한, 키위란 명 칭은 키위 새 이외에도 뉴질랜드 국민을 일컫는 상징 성 및 과일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가 상징 식물인 은고사리 식물은 이미지 형상이 국 가가 인증하는 대표적인 상징물에 적용하여 매우 활 발히 활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총합적인 결론은 뉴질랜드 정체성 상징 체계는 뉴질랜드의 역사적·지리적 특성이 결합되어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의 발견이다. 본 연 구의 내용이 향후 국가 정체성 상징체계 연구 혹은 국가 브랜드 이미지 활성화 정책에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ultimate goal and role of national symbols is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and make the symbolic system that can clearl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o analyses elements of the symbol system in relation to the identity...
The ultimate goal and role of national symbols is to establish a national identity and make the symbolic system that can clearly be distinguished from other countries. This study is to analyses elements of the symbol system in relation to the identity of New Zealand, and to investigate how historical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symbol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ational flag of New Zealand is clearly expressed the symbolic image of the Commonwealth of Nations and the Southern Cross as a geographical landmark. The national anthem articulated the identity of the Commonwealth of Nations and the wish for the geographical location was considered in the lyrics. The national animal is a Kiwi bird, which exists only in the region of New Zealand, and is expressed as an animal that symbolizes the gentle personality of the people. In addition the name of Kiwi has been used as a symbol object that represents as the fruit of Kiwi as well as the New Zealand people. The silver fern, which is a national floral, has been utilized significantly as its image shape was applied to representative symbolic objects certified by the nation. These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e national identity was taken into account the historical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ional identity symbol system, and as the result it can be used significantly in promoting the national brand image in the near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윤태, "호주(Australia) 정부 상징체계(Symbol System) 탐구(探究) -호주 6개 주(州)와 3개 준주를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3 (23): 192-200, 2020
2 남윤태, "호주(Australia) 국가 상징물 상징체계 분석 - 국기, 국장, 국가, 국수, 국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1 (21): 87-95, 2020
3 이지순,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문화 예술적표상과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9
4 이희재, "번역의 탄생" 교양인 2009
5 고봉신,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활용상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 방향" 한국디자인학회 31 (31): 133-149, 2018
6 "대한민국 정부 상징체계 10문 10답"
7 "대한민국 정부 상징 체계" 디자인하우스
8 "뉴질랜드의 국기 변경, 국민 투표로.."
9 임진택, "국가의전의 문화적 개선 방안연구" 문화관광부 2006
10 박현용, "국가상징체계 적용전략 및적용방안 수립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인포마스터 2015
1 남윤태, "호주(Australia) 정부 상징체계(Symbol System) 탐구(探究) -호주 6개 주(州)와 3개 준주를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3 (23): 192-200, 2020
2 남윤태, "호주(Australia) 국가 상징물 상징체계 분석 - 국기, 국장, 국가, 국수, 국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1 (21): 87-95, 2020
3 이지순, "우리 국가제일주의의 문화 예술적표상과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9
4 이희재, "번역의 탄생" 교양인 2009
5 고봉신, "대한민국 정부상징문양의 활용상 문제점과 디자인 개선 방향" 한국디자인학회 31 (31): 133-149, 2018
6 "대한민국 정부 상징체계 10문 10답"
7 "대한민국 정부 상징 체계" 디자인하우스
8 "뉴질랜드의 국기 변경, 국민 투표로.."
9 임진택, "국가의전의 문화적 개선 방안연구" 문화관광부 2006
10 박현용, "국가상징체계 적용전략 및적용방안 수립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인포마스터 2015
11 이진구, "국가상징의 융합적인 활용을 통한 홍보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3 : 259-269, 2016
12 "Zespri"
13 "Treaty of Waitangi"
14 "The mighty New Zealand passpor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15 "Qualmark"
16 "New Zealand to Australia: Get Your Own Flag"
17 Emma Tucker, "New Zealand announces 40 potential new flag designs"
18 "New Zealand Flags"
19 "New Zealand Flag Description and Dimensions"
20 "New Zealand Coat of Arms 1911-1956"
21 "New Zealand"
22 "Kiwi – the national symbol of New Zealand"
23 "How Qualmark Works"
24 "How Qualmark Works"
25 "Flags of New Zealand"
26 "Flag Aspect Ratios"
27 "Coat of arms"
28 Simon Anholt, "Brand New Justice(국가브랜드 국가 이미지)"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03
29 ""뉴질랜드 국기 변경 없다" 국민투표로 논란마무리(종합)"
홈트레이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 - 과업 분석과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
캐릭터 상품에서 나타난 힐링 체험에 관한 연구 - 번 슈미트 체험 모듈을 중심으로 -
중국 전통주 포장디자인에 나타난 길상문양의 표현기법 연구 - 2020년도 제12회 ‘화준 컵(華樽杯)’에 나타난 중국 5대 명주를 중심으로 -
월터 크레인의 『어린이 오페라』의 편집디자인과 일러스트레이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1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일러스트레이션 포름 ->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8-1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일러스트레이션학회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영문명 : The Society Of Illustration -> The Korean Society of Illustr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5 | 0.25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55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