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The)effects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330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며, 특히 고차적 인지적 능력의 함양은 실제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진정한 능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구성주의 견해에 의거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 영역의 지식 및 지적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보다 실제적 맥락에 가까운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하며, 그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이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넷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G초등학교와 부산광역시의 K초등학교에서 표집된 3학년 아동 11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수업처치로서 주제중심 통학학습과 일반학습으로 구분되며,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이다. 또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4주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주제중심 통합학습 처치는 「관계 속에서」주제에 의해 구안된 주제중심 통합학습안에 의거해 수업이 실시되었고, 일반학습 처치는 각 교과별로 분과화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중다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도, 선호도,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과 일반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여, 모든 수준의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며, 특히 고차적 인지적 능력의 함양은 실제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진정한 능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며, 특히 고차적 인지적 능력의 함양은 실제적 상황에서 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진정한 능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구성주의 견해에 의거해,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 영역의 지식 및 지적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보다 실제적 맥락에 가까운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하며, 그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이들의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넷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들의 전체 및 하위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G초등학교와 부산광역시의 K초등학교에서 표집된 3학년 아동 112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수업처치로서 주제중심 통학학습과 일반학습으로 구분되며,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이다. 또한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효과가 아동들의 선행학습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4주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주제중심 통합학습 처치는 「관계 속에서」주제에 의해 구안된 주제중심 통합학습안에 의거해 수업이 실시되었고, 일반학습 처치는 각 교과별로 분과화된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처리는 중다변량분석과 이원변량분석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일반학습보다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학습태도 향상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아동들의 학습에 대한 흥미도, 선호도,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바람직한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셋째, 주제중심 통합학습과 일반학습이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하여, 모든 수준의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제중심 통합학습은 선행학습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수업방안이 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the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learning. It also looked at how this effect changes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Followings are the specific questions to be dealt with in the study.
      First,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ird,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fourth,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112 third graders. As for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tudents took classes according to relation-specific theme-base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chedules. For general learning, on the other hand, classes divided by curriculum were given to student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os of Variance(ANOVA) were used to draw statistics for analyz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onclusion was reached as follows.
      First,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icient than general learning in terms of improving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method for better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Secon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learning in enhancing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tool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interest, preference and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general learning have the same effect on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can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of children at every academic performance level. Accordingly,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can effectively better every child'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the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learning. It also looked at how this effect changes depending on the prior learn...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the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learning. It also looked at how this effect changes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Followings are the specific questions to be dealt with in the study.
      First,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Second, what effect does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have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ird,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fourth, how does the effect of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on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change depending on the prior learning leve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112 third graders. As for th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tudents took classes according to relation-specific theme-base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schedules. For general learning, on the other hand, classes divided by curriculum were given to students.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Analysos of Variance(ANOVA) were used to draw statistics for analyz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conclusion was reached as follows.
      First,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icient than general learning in terms of improving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method for better academic performance of children.
      Secon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learning in enhancing children's learning attitudes. Therefore,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can become a desirable teaching tool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interest, preference and confidence in learning.
      Third,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and general learning have the same effect on third grader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and can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of children at every academic performance level. Accordingly, thematic integrated learning, regardless of the prior learning level, can effectively better every child's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용어의 정의 = 6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6
      • 3. 용어의 정의 = 6
      • Ⅱ. 이론적 배경 = 8
      • 1. 구성주의와 통합교육과정 = 8
      • 2. 통합교육과정으로서의 주제중심 통합 접근법 = 14
      • 3. 관련 선행연구 = 22
      • Ⅲ. 연구 방법 = 27
      • 1. 연구대상 = 27
      • 2. 실험설계 = 27
      • 3. 측정도구 = 28
      • 4.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 30
      • 5. 연구의 진행 = 42
      • 6. 자료처리 = 43
      • Ⅳ. 결과 및 논의 = 44
      • 1.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44
      • 2.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45
      • 3.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선행학습 수준에 따른 아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47
      • 4.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선행학습 수준에 따른 아동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 49
      • 5. 논의 = 51
      • Ⅴ. 결론 = 56
      • 부록 = 58
      • 참고문헌 = 78
      • ABSTRACT = 8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Vygotsky, Lev S., "Mind in Society", 1978

      2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3 Von Glasersfeld, "Radical constructivism", 1995

      4 Fosnot, "Constrcting constructivism", 1992

      5 Katz, Chard, "Eng ag ing child r en 's mind", Engaging children's mind, 1989

      6 Dick, Walter, "Planning effective instruction", Prentice Hall, 1989

      7 Yager, "The constuctivist learning model", 1991

      8 Stewart, "The making of the primary school", 1986

      9 황윤한, "수업의 구성주의적 접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 열린교육연구소, "열린교육실행연구 제4호, 2001

      10 김대형, "열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1998

      1 Vygotsky, Lev S., "Mind in Society", 1978

      2 김재복,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00

      3 Von Glasersfeld, "Radical constructivism", 1995

      4 Fosnot, "Constrcting constructivism", 1992

      5 Katz, Chard, "Eng ag ing child r en 's mind", Engaging children's mind, 1989

      6 Dick, Walter, "Planning effective instruction", Prentice Hall, 1989

      7 Yager, "The constuctivist learning model", 1991

      8 Stewart, "The making of the primary school", 1986

      9 황윤한, "수업의 구성주의적 접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 열린교육연구소, "열린교육실행연구 제4호, 2001

      10 김대형, "열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열린교육의 이론과 실제, 1998

      11 Gagne, Robert Mills,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Thomson/Wadsworth, 2005

      12 유한구,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교육과학사, 1998

      13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2008

      14 Dutton, "Measuring attitudes toward arithmetics", 1954

      15 Vygotsky, "The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s", 1981

      16 Collings, Ellsworth, "An experiment with a project curriculum", The Macmillian company, 1923

      17 Wolfinger, Donna M,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3

      18 김흥주, 문관용, "통합 교과 및 특별활동 지도론", 1996

      19 Bloom, Benjamin Samuel,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1982

      20 Yager,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ther", 1993

      21 T anner D./ T anner L,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practice",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into practice, 1980

      22 정광순, "초등교육의 통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3 김남정, 황일선, "자기학습력을 기르는 44 주제학습", 1997

      24 김재복, "통합교육과정에서의 통합적 접근", 1993

      25 Wolfinger, Donna M, "Elementary methods : an integrated curriculum", Longman, 1997

      26 Shuell, "T 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context",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context, 1996

      27 Holum, Collins, Brown, "Cognitive apprenticeship: Makingthinking visible", Cognitive apprenticeship: Making thinking visible, 1991

      28 New, "Reggio elmilia: Some lessons for U. S. educators", 1993

      29 Fosnot, "Construtivism: Theory, perspectives, and practice", "Construtivism: Theory, 1996

      30 강충열,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1998

      31 Vorn Glaser sfeld, "Cognition,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teaching", "Cognition, 1989

      32 Forgarty,R,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1991

      33 Gagn?, Paradise, "Abilities and learning sets in knowledge acquisition", 1961

      34 Piaget, Jean,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Orion Press,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1970

      35 Slavin, Robert E, "Cooperative learning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llyn and Bacon, "Cooperative learning: Theory, 1995

      36 Drake,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The Call to Adventure", Planning integrated curriculum: The call to adventure, 1993

      37 Dutton, "Attitude of junior high school pupil toward arithmetic", 1956

      38 Rorty, "Objectivity relativism, and truth: Philosophicalpapers", "Objectivity, 1991

      39 Abbot, Bordens, "Research design and method: A process approach(2nd ed.)", 1991

      40 배건,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통합 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통합유형 분석, 1997

      41 양미경(梁美暻), "교과 통합지도의 의의 및 방법적 원리 탐색", 한국교육학회, "교육학 연구, 1997

      42 이미숙,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정도와 관련 변인 연구, 1998

      43 Cronbach, "How Can Instruction Be Adap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 1967

      44 Duffy, Jonassen, "Constructivism: New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techonlogy", 1992

      45 김종범, "주제중심 접근에 의한 통합 교수-학습안 개발", 2001

      46 Maddux, Cleborne D., "Educational computing : learning with tomorrow's technologies", Allyn & Bacon, 1997

      47 Wertsch, "Voices of the mind: A siciocultural approach to mediated action", 1991

      48 김영지,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9 정숙경, "근접발달지대에 기초한 교사중재 수업모형 연구", 東亞大學校, "동아논총 제 40집, 2003

      50 Jacqueline, M.G.Brooks,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In search of understanding the case for constructivist classrooms, 1993

      51 김대현, "(열린 교육을 위한) 학교중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양서원, 1995

      52 Rogoff, Barbara, "Apprenticeship in thinking :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1990

      53 Glaser, "Components of a psychology of instruction: Toward a science of design", 1976

      54 Blum M.P, Dutton,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toward arithemetic with a Liker-type test", 1968

      55 Wortham.S.C,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al bases for learning and teaching", 1998

      56 Jacobs, "Interdisciplinary and curriculum: Desig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1989

      57 명정희, "초등 사회과의 주제 중심 통합 단원 개발에 관한 연구", 2002

      58 Dewey, John, "Democracy and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oemmes Press, Democracy and education, 2002

      59 Russell.D, "Vygotskty, Dewey, and externalism: Beyond the stydent/discourse dichotomy", "Vygotskty, 1993

      60 Prawat,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 constuctivist perspective", 1992

      61 Jonassen, Jonassen, D. H., "Objectivism versus constructivism : Do we needa new philosophical paradigm?", Objectivism versus constructivism: Do we need a new philosophical paradigm?, 1991

      62 강인애,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문음사, 2001

      63 Fosnot, "Enquiring teachers, enquiring leearner: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ing", "Enquiring teachers, 1989

      64 Duffy, Savery, "Problem-based learning. All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1994

      65 박수경,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단원 개발 및 효과 분석", 2001

      66 Bruffee, "Social construction, language, and the authority of knowledge: A bibliographic essay", "Social construction, 1986

      67 이남범, "주제 단원 중심 통합학습이 학업성취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2001

      68 장원근, "초등 통합교과 프로젝트 학습이 아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1998

      69 Frazee, Bruc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 theory, classroom applications, and field-based connections", Delmar Publishers, "Integrated teaching methods: Theory, 1995

      70 Cobb, "Where is the mind? Constructivis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development", Where is the mind? Constructivist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mathematical development, 1994

      71 Willis, "A recursive, reflectiv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constructivest-interpretivist theory", "A recursive, 1995

      72 Slavin, Karweit, "Effect of whole class, ability grouped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on mathematics achievement", "Effect of whole class, 1985

      73 심옥령, "초등학교 6학년 통합교육과정 '세계'에 대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설 열린교육연구소, 1998

      74 박한숙,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습관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04

      75 정귀남,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6 Johnson, Humphreys, "Effects of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on students'achievement in science class", "Effects of cooperative, 1982

      77 Tudge, Winterhoff, "Vygotsky Piaget, and Bandura: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world and cognitive development", "Vygotsky, 1993

      78 신헌재, "초등 1-2학년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교수모델 정립과 예시 지도안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1-2학년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교수모델 정립과 예시 지도안 개발에 관한 연구, 1998

      79 윤영칠,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성취에 미치는효과", 1999

      80 Slavin, Karweit, "Mathematics achievement effect of three levels of individualization: Whole class ability grouped and individualized instruction", 1984

      81 Smith, "The effects of using a cooperative learning group strategy in teaching problem solving on the math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1987

      82 Clawson, Dickey, "Enjoyment and value: Math attitudes of business and elementary majors. Papa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Mid-South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