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 상경성 출토 사리구의 구성과 특징 =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Sanggyong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3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발해의 사리구는 모두 6 세트가 확인되었다. 발해 사리구들은 작은 수량은 아니지만, 출토지에 대한 성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어 체계적인 연구에 어려움이 ...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발해의 사리구는 모두 6 세트가 확인되었다. 발해 사리구들은 작은 수량은 아니지만, 출토지에 대한 성격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어 체계적인 연구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 글에서는 발해 상경성의 1975년 봄 흑룡강성 영안현 발해진 토대자촌에서 발견된 석제함, 평탈칠함, 동제함, 금동제함, 은제함, 금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함과 1997년 발해진 백묘자촌에서 출토된 석제함, 철제함, 동제함, 평탈칠함, 금동제함, 은제함, 유리제병으로 구성된 7중 사리기의 2 세트를 중심으로 발해 사리기의 성격과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발해의 사리와 사리구에 대한 기록이 희박하여 발해인들의 사리 신앙과 사리관을 파악하기 어렵다. 더욱이 발해 사리기의 전모가 공개되지 않아 발해 사리기의 구성을 온전히 복원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의 사리구와 중국 수당대 사리구 그리고 발해 사리구를 교차 비교하여 동아시아에서 발해 사리구가 차지하는 의의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낸 발해 사리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안쪽으로 갈수록 귀한 재료가 사용하면서 중첩하는 방식을 따라 구성된 발해 상경성의 사리구는 사리가 담긴 유리병을 제외하고는 모두 녹정형함의 기형이며 모두 7중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 주목된다. 이러한 중첩 구조는 『大般涅槃經』,『長阿含經』등의 경전을 따른 것이다. 녹정형의 함의 형식이 중첩된 예는 9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는 법문사 후실지궁에서 출토된 금동제함과 비교할 수 있다.
      한편 석함이 외함의 기능을 하는 고식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인도의『마하밤사(Mahāvamsa, 大史)』의 6매의 큰 돌로 짠 석함에 菩提樹, 香水甁, 金佛像을 넣으라는 내용에서 석함을 외함으로 규정한 것으로 알 수 있다. 중국에서도 북위 이래 수대까지 석함이 외함으로 사용되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백제 왕흥사지, 미륵사지, 분황사지에서도 석함이 확인된 바가 있다,.
      또한 백묘자촌의 사리기의 경우 철제함이 사용된 예가 주목된다. 이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구성이다. 돈화, 화룡, 寧安, 東寧 등 발해의 유적지와 무덤에서 많은 수량의 철기가 출토된 바가 있다.
      다음으로는 상경성 출토 발해사리기의 편년을 토대자촌의 선조사천왕문은제합을 살펴보았다. 이 사리기의 4면에 새겨진 천왕상은 8세기 후반과 9세기 전반 사이에 중국에서 유행한 도상으로 생각된다. 693년에 한역된『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에 명시된 지물을 통해 4명의 천왕이 사천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토대자촌의 사천왕상은 모두 두 마리의 악귀에 걸터앉아 있는데, 두 상은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은 반면 나머지 두 상은 두 다리를 다 내리고 있다. 이에 앉은 자세에 주목하여 좌상으로도 부르지만 한쪽 다리를 내리고 앉는 경우는 반가의 자세라고도 한다. 두 마리의 악귀에 앉아 있는 사천왕의 모습은 679년(문무왕 19)에 창건된 신라 사천왕사 목탑지의 기단부를 장식하였던 녹유사천왕상에서 그 계보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사천왕이 들고 있는 지물은 신라 사천왕사지의 상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지물과 자세 면에서 근접한 예로는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 중국 안서 유림굴 제 15굴 전실 남벽에 그려진 천왕상이 주목된다. 이 상은 두 마리의 악귀 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eatures of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Sangkyungsung, the capital of Balhae. Until now there has been 6 sets of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Among these those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was a 7 dimensio...

      This paper seeks to explore the features of buddhist reliquaries excavated from Sangkyungsung, the capital of Balhae. Until now there has been 6 sets of buddhist reliquaries from Balhae. Among these those that can be used for research was a 7 dimension buddhist reliquaries was composed of a stone box, a wooden box, a copper casket, a gilt-bronze casket, a silver casket, golden caske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from Heukryonggangsung, Younganhyung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spring, 1975. Also, another 7 set relic reliquaries consisted of a stone box, a iron casket, a wooden casket, a copper casket, a gilt bronze casket, a silver chest and a glass bottle excavated in Baekmyojachon of Balhae in 1997 were crucial role in understanding of buddhist reliquaries of Balhae.
      The uncovering of pertinent archaeological and textual evidence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characterize the excavation site, posing numerous problems for research. In addition, since the buddhist reliquaries are not disclosed, it is not possible to actually demonstrate the full composition of the buddhist reliquaries. However,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eliquari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Sui and Tang Dynasty of China with those of the Balhae reliquaries' composition and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were designated by defining the reliquaries' traits that have reflected the craft of Balhae.
      The characteristics of Balhae reliquaries that have found a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many other unique elements of style and iconography of Balhae reliquaries. Apart from the glass bottle that holds the relic, all reliquaries have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and they are all super positioned in seven folds. This is the form that follows the books of Buddhist Sutra. The chests in the form of frustum of pyramid can be compared to the gilt-bronze chest excavated from Famensi(法門寺)In relation to this stone chest was found to do the role of a outer chest. The use of stone casket as outer chest can be proved by ploding through India's sutra, Mahāvamsa, where it asserts that in a stone casket made up of 6 pieces of stones. China also have used stone chests as outer casket since the Northern Dynasty for many dynasties and in Korea stone box were found in Wangheung Temple(王興寺) Ground, Mireuk Temple(彌勒寺) Ground of Baekje. and Bunhwang Temple(芬皇寺) Ground of Shilla.
      In addition, a iron casket the case of reliquaries from Baekmyojachon should be noted. This is a unique composition that cannot be found in China or Korea. In other Balhae ruins, there has been numerous stone sarira caskets excavated.
      Next is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Former Four Devas Silver casket of the Todaejachon for the chronical recording of Balhae relic dishes excavated in Sangkyungsung. The Four Devas inscribed in this casket thought to be a then popular icon in China during the late 8th century and early 9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se icons were Four Devas since the 693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Pu k'ung chüan so t'o lo ni tzu tsai wang chou ching(不空絹索陀羅尼自在王呪經)』 points this out.
      The all of Four Devas figure of Todaejachon sit on two devils and two of the figures have one leg down whereas the other two have both legs down. Regarding the sitting position these statutes are sometimes categorized as seated figures but in case of one leg down position it is also categorized as one leg half crossed position. The Four Devas sitting on two devils can find its lineage from the Four Devas figures that decorated the tiles on a coated green-glass of Gameun Temple which was built in 679(King Moonmu 19). But the items that the Four Devas are carrying do not match.
      Similarity in items and positions of Four Devas can be found with the Deva drawn on the southern wall of 15th cave in Ansu Yurim Cave of China, which seem to be drawn between late 8th century and the early 9th century. This figu...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휘준, "한일회화관계 1500년. in: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2 沈盈伸, "통일신라시대 四天王像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16) : 1997

      3 채해정, "통일신라 금속 및 칠공예품의 기법과 문양 연구" 미술사연구회 (15) : 2001

      4 주경미, "중국 불사리 장엄의 연구 현황과 과제" 중국사학회 26 : 2003

      5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2003

      6 강승남, "유적, 유물을 통하여 본 발해 제철, 제강 기술에 대하여" (2) : 1994

      7 이난영, "어자문기법" 71 : 1991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왕경 발굴조사보고서" 2002

      9 박대남, "사찰구조와 출토유물로 본 분황사 성격 고찰" 2009

      10 송기호, "발해정치사연구" 일조각 1995

      1 안휘준, "한일회화관계 1500년. in: 한국회화의 전통" 문예출판사 1988

      2 沈盈伸, "통일신라시대 四天王像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16) : 1997

      3 채해정, "통일신라 금속 및 칠공예품의 기법과 문양 연구" 미술사연구회 (15) : 2001

      4 주경미, "중국 불사리 장엄의 연구 현황과 과제" 중국사학회 26 : 2003

      5 주경미, "중국 고대 불사리장엄 연구" 일지사 2003

      6 강승남, "유적, 유물을 통하여 본 발해 제철, 제강 기술에 대하여" (2) : 1994

      7 이난영, "어자문기법" 71 : 1991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왕경 발굴조사보고서" 2002

      9 박대남, "사찰구조와 출토유물로 본 분황사 성격 고찰" 2009

      10 송기호, "발해정치사연구" 일조각 1995

      11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발해의 유적과 유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12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 2007

      13 조대일, "발해의 공예. in: 조선공예사1(고대 중세편)"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8

      14 王承禮, "발해간사"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87

      15 이병건, "발해 사찰 유적의 건축형식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22 : 29-49, 2006

      16 송기호, "발해 불교의 전개 과정과 몇 가지 특징. in: 『韓國佛敎文化思想史』 上" 伽山 李智冠스님 華甲紀念論叢刊行委員會 1992

      17 이송란, "미륵사지 金銅舍利外壺의 제작 기법과 문양 분석" 신라사학회 (16) : 287-331, 2009

      18 다무라 고이치, "동아시아의 도성과 발해" 동북아역사재단 2008

      19 리화선, "고구려 평양성외성안의 리방의 형태와 규모 그 전개에 대하여" (1) : 1989

      20 龍井縣文物志編寫組, "龍井懸文物志"

      21 王輝, "黑龍江考古文物圖鑑" 黑龍江人民出版社 2000

      22 丹化沙, "黑龍江寧安出土的舍利函" (2) : 1978

      23 龜田博, "黃龍寺附近の坊. in: 日韓古代宮都" 2000

      24 東野治之, "魚子打ちの技術. in: 正倉院" 岩波書店 1988

      25 임지윤, "高麗時代 魚子文工藝品 硏究" 홍익대학교 2007

      26 이난영, "韓國古代金屬工藝硏究" 一志社 1992

      27 段鵬埼, "陝西省何家村唐代金銀器小議" (6) : 1980

      28 朱國忱, "近年渤海上京及其附近發見重要遺跡·遺物" (2) : 1988

      29 于建設, "赤峰金銀器" 遠方出版社 2006

      30 何明, "論唐代渤海的佛敎" (3) : 1983

      31 陝西省博物館, "西安何家村發見唐代窖藏文物" (1) : 1972

      32 陝西歷史博物館, "花舞大唐春" 文物出版社 2003

      33 신숙, "統一新羅 平脫工藝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42) : 2004

      34 甘肅省文物工作隊, "甘肅省涇川縣出土的唐代舍利石函" (3) : 1966

      35 崔茂藏, "渤海의 古墳·土器 및 裝身具" 국사편찬위원회 19 : 1989

      36 方學鳳, "渤海의 佛敎 遺蹟과 遺物" 書景文化史 1998

      37 宋玉彬, "渤海都城址硏究" (6) : 2009

      38 魏存成, "渤海考古" 文物出版社 2007

      39 魏存成, "渤海的建築" (4) : 1984

      40 崔順子, "渤海的佛敎與蓮花紋裝飾圖案. in: 渤海文化硏究" 吉林人民出版社 2000

      41 徐秀云, "渤海故地再次發現舍利函" (2) : 2008

      42 崔聖銀, "渤海(698-926)의 菩薩像 樣式에 대한 考察. in: 渤海美術의 國際性과 韓國的 特徵" 1999

      43 李康根, "渤海 上京龍泉府의 寺院建築. in: 渤海美術의 國際性과 韓國的 特徵" 韓國美術史硏究所 1999

      44 樊瑞平, "河北正定舍利寺塔基地宮淸理簡報" (4) : 1999

      45 定縣博物館, "河北定縣發現兩座宋代塔基" (8) : 1972

      46 河北文化局文物工作隊, "河北定縣北魏石函" (5) : 1966

      47 林良一, "東洋美術の裝飾文樣-植物編" 同朋社 1993

      48 中野政樹, "日本の魚子文-受容と展開" 東京國立博物館 393 : 1983

      49 京都國立博物館, "平城京展" 1989

      50 邱玉鼎, "山東平陰發現大隋皇帝舍利寶塔石函" (4) : 1986

      51 梓筠, "寧安縣發現的唐代舍利函" (4) : 1979

      52 安圖縣文物志編寫組, "安圖縣文物志"

      53 張太灀, "大城子古城調査記" (4) : 1981

      54 "唐皇帝からの贈り物" 新瀉縣立近代美術館 1999

      55 齊東方, "唐大金銀器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1994

      56 孫秀仁, "唐代渤海的佛像和舍利函. in: 黑龍江古代文物" 黑龍江人民出版社 1979

      57 長谷川道隆, "北魏, 隋代の塔基と出土舍利容器-インドのストゥパを導入して" 28 : 1992

      58 강우방, "佛舍利莊嚴論-經典, 佛塔, 佛像의 상관관계. in: 法空과 莊嚴" 열화당 2000

      59 奈良國立博物館, "佛舍利の莊嚴" 同朋社 1983

      60 周迅, "中國衣冠服飾大辭典" 上海辭書出版社 1996

      61 中國文物精華 編輯委員會, "中國文物精華" 文物出版社 1997

      62 宿白, "中國大百科全書"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86

      63 小衫一雄, "中國佛敎美術史の硏究" 新樹社 1980

      64 "中國の金銀ガラス展" 大阪市立博物館 1992

      65 殷稼, "中國て發見された古代のガラス. in: 中國の金銀ガラス展" NHK 大阪放送局 1992

      66 由水常雄, "中國·朝鮮の古代ガラス" 九龍堂 1992

      67 楊泓, "中國 隋, 唐代 舍利容器. in: 佛舍利信仰과 그 莊嚴 ― 韓·中·日 舍利莊嚴具의 綜合的 檢討" 통도사성보 박물관 2000

      68 曾布川寬, "世界美術大全集" 小學館 2002

      69 金太順, "上京龍泉府와 새로 발굴된 舍利函" 高句麗硏究會 6 : 1998

      70 東京國立博物館, "シルクロ-ドの遺寶-古代·中世の東西文化交流" 1985

      71 "の女帝·則天武后とその時代展" 東京都美術館 1998

      72 Schafer, Edward H., "The Golden Peaches of Samarkan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3

      73 Rawson, Jessica, "Chinese Ornament The Lotus and The Dragon" The Trustee of the British Museum 1984

      74 최연식, "8세기 신라 불교의 동향과 동아시아 불교계" 불교학연구회 (12) : 241-273,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