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불상 - 동아시아 불교조각과의 비교연구 - =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the Capital of Balha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Yongchunbu(上京龍泉府), the last capital of Balhae(渤海) period from 794 A.D. to 926 A.D. when Balhae dynasty was collapsed. Sanggyong is located in present-day Bohaizhen(渤海鎭), south...

      This paper investigates Buddhist sculpture at Sanggyong Yongchunbu(上京龍泉府), the last capital of Balhae(渤海) period from 794 A.D. to 926 A.D. when Balhae dynasty was collapsed. Sanggyong is located in present-day Bohaizhen(渤海鎭), south of Yongan City of Heirongjiang(黑龍江省). Hundreds of small Buddhist images, discovered at temple-sites of Sangyong since 1930's on, are now in the colle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okyo National University Museum, Heirongjang Province Museum and Bohai Sancheng Museum at Bohaizhen. These images are made with clay, gilt-bronze, gold and iron, and no stone image was found except the large stone Seated Buddha image at Xingrongsi, a temple of Qing Dynasty erected on the temple-site of Balhae period. Close examination of this stone image shows that it was made with basalt, which is too hard and rough for exquisite carving of Buddhist image.
      Among small terrcotta images, seated Buddha images, unearthed at the inner section of temple-sites, have been presumed to be 'Thousand Buddhas' decorated walls of a temple hall. In addition to this assumption, it is also assumed that some smallest seated Buddha images are likely to have been incarnated Buddha images attached on the halo of the Vairocana Buddha, just as those at the halo of the Seated dry-lacquer Vairocana Buddha image of Toshodaiji temple at Nara.
      A male-figure image in Seoul National Museum, showing facial feature of black race, indicates that he might be the attendant figure(崑崙奴) to Manjusri Bodhisattva(文殊菩薩), impounding his lion-pedestal. Since a standing Meditating Bodhisattve image in the collection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shows a similarity to seated meditating Bodhisattva images found in some scenes of West Paradaise sutra of Amitabha Buddha of early and middle Tang period at Donhuang, it is quite probable that temple wall at Sanggyong was also been decorated with West Paradise Scence as we can see at the niche 245 of Beishan(北山), Dazu(大足) Caves in Sichuan Province.
      There are some iconography of esoteric Buddhism. The gilt-bronze image of one-head and six-armed Avalokitesvara, having no exact precedent of Tang sculpture, seems to have much to do with eleven-headed Avalokitesvara of middle Tang period or with Amoghapasa(不空羂索觀音) image of Nara period at Todaiji temple, and could be one of transformations of Avalokitesvara. Seated Amitabha Buddha image shows Amitabha mudra(阿彌陀定印), which was prevalent in Tang from ninth century and also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sculptures of the later half of ninth century.
      Buddhist sculptures at Sangyong demonstrate that Buddhist culture of Balhae period was quite international and unique. They reveal a variety of iconography and style, which were on the par with Tang sculpture in their variety and crea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치한 발해 최후의 수도 상경성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이다. 이미 1930년대에 발굴이 시작되어 다량의 소조불상을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

      본 연구는 흑룡강성 영안시 발해진에 위치한 발해 최후의 수도 상경성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이다. 이미 1930년대에 발굴이 시작되어 다량의 소조불상을 비롯한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1960년대에 다시 조사가 이루어져 금동상등, 다수의 불상들이 수습되었다. 이 유물들은 현재 서울대학교박물관, 동경대학교박물관, 흑룡강성박물관, 발해상경유지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불상들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전체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국내에서의 연구는 1930년대 출토품만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각 소장처의 불상들을 조사하여 그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였다. 그 동안 서울대학교와 동경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소조불상들과 동일한 틀(范)로 제작된 불상들이 중국측의 조사로 발굴되어 현재 흑룡강성박물관과 발해상경유지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 새로 발견된 불상들 가운데는 여러 구의 금동상들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그 가운데 일부는 발해시기로 편년되기 어려운 표현요소를 보이고 있어, 발해의 사원이 遼金代에 이르러서도 계속 존립해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상경출토의 불상들은 거의 대부분 소형이며 재료면에서 소조불상이 가장 숫적으로 많다. 이에 반해서 석조불상은 드물어 현재 흥륭사에 봉안된 석불좌상이 유일한데, 석불상이 소조나 금속제 불상처럼 활발하게 조성되지 못한 것은 필시 상경의 석재가 섬세한 조각에 적합하지 않은 화산암계 현무암인데도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소형의 소조불상들은 기본적으로 불당 내부를 장엄하는 용도로 제작되었다고 추정되어왔는데, 사원지 내진에서 발견된 최소형의 소조불상들의 경우는 노사나불(비로자나불) 광배에 달려있던 化佛일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밖에 서울대학교박물관의 소조인물상은 흑인종의 외모를 한 모습에서 문수보살의 사자를 모는 곤륜노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문수보살도가 불전의 벽면을 장식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찬가지로 소조사유보살상은 상체 1구와 하체 1구만이 출토되었는데, 당대의 관무량수경변상도나 서방정토변상도에 사유보살이 표현된 점으로 미루어 상경의 사찰 벽면에 소조상들로 이루어진 정토계 변상이 장식되어 있었을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마치 사천성 대족 북산 제 245감에서 서방정토의 변상을 석감내의 부조로 새긴 것과 유사한 경우일 것으로 생각한다.
      상경의 불상들은 기본적으로 팔련성의 불상들에서 보이는 고식의 표현을 계승하고 여기에 당대의 새로운 요소가 가미된 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이점은 상경출토의 소조관음보살입상을 비롯해서 몇 구의 금동보살상에서 잘 드러나고 있는데, 중당기 조각에 보이는 인간적이고 사실적이면서도 세속화된 특징이 잘 보이고 있다.
      또한 일면육비보살입상과 아미타정인을 결한 소조아미타불좌상은 밀교적인 도상을 보여준다. 일면육비보살입상은 발해조각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는 우수한 보살상으로 사실적인 조각기법이 잘 나타나는 상인데, 이 보살상의 일면육비의 도상은 정확하게 일치하는 예를 당이나 일본조각에서 찾을 수 없다. 다만, 당시 유행하였던 십일면육비 관음보살입상이나 일면팔비의 불공견삭관음입상과 같이 하나의 변화관음으로 발해에서 형성된 독특한 도상이라고 해석된다. 한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동성국 발해" 서울대학교박물관·도쿄대학문학부 2003

      2 임석규, "크라스키노사원지의 불상" 14 : 1999

      3 "중국동북지방의 유적발굴보고(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4 김종혁, "신포시 오매리 절골1호 발해건축지 발굴보고" 2 : 1990

      5 송기호, "불정존승다라니경 跋文. in: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신라2·발해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b

      6 강희정, "발해후기의 불교조각과 신앙" 4 : 2003

      7 "발해의 유적과 유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 王承禮, "발해의 역사" 한림대학교출판부 1987

      9 송기호, "발해의 불교 자료에 대한 검토. in: 崔永禧선생華甲기념韓國史學論叢" 탐구당 1987

      10 부경만, "발해국의 서울 상경성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in: 『발해사연구』 3" 연변대학교출판사 1992

      1 "해동성국 발해" 서울대학교박물관·도쿄대학문학부 2003

      2 임석규, "크라스키노사원지의 불상" 14 : 1999

      3 "중국동북지방의 유적발굴보고(1963-1965)" 사회과학원출판사 1966

      4 김종혁, "신포시 오매리 절골1호 발해건축지 발굴보고" 2 : 1990

      5 송기호, "불정존승다라니경 跋文. in: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Ⅲ-신라2·발해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b

      6 강희정, "발해후기의 불교조각과 신앙" 4 : 2003

      7 "발해의 유적과 유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8 王承禮, "발해의 역사" 한림대학교출판부 1987

      9 송기호, "발해의 불교 자료에 대한 검토. in: 崔永禧선생華甲기념韓國史學論叢" 탐구당 1987

      10 부경만, "발해국의 서울 상경성의 문화유산에 대하여. in: 『발해사연구』 3" 연변대학교출판사 1992

      11 임석규, "발해 소조불상의 성격과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7 : 2005

      12 최성은, "발해 불교조각의 새로운 고찰" 고구려발해학회 26 : 125-146, 2007

      13 "러시아 연해주 발해 유적" 1994

      14 최성은, "나말여초 아미타불상의 도상적 고찰"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213-234, 2006

      15 양은경, "고구려 소조불상과 중국 소조불상의 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4) : 301-361, 2009

      16 趙哲夫, "興隆寺渤海石佛損毁考. in: 渤海上京文集" 渤海上京遺址博物館 2001

      17 方學鳳, "渤海의 佛敎遺蹟과 遺物" 서경문화사 1988

      18 朱國忱, "渤海遺迹" 文物出版社 2002

      19 朱榮憲, "渤海文化" 雄山閣 1979

      20 孫元吉, "渤海故都上京龍泉府發現金佛" 黑龍江省文物管理委員會 1991

      21 송기호, "渤海佛敎의 展開過程과 몇가지 特徵. in: 『伽山李智冠스님 回甲記念論叢 韓國佛敎文化思想史』 下" 1992c

      22 張慶國, "渤海上京寺廟遺址調査. in: 渤海上京文集(第一集)" 渤海上京遺址博物館 2001

      23 최성은, "渤海(698-926)의 菩薩像 樣式에 대한 考察" 14 : 1999

      24 임석규, "渤海 半拉城出土 二佛幷坐像의 硏究" 2 : 1995

      25 문명대, "渤海 佛像의 樣式變遷. in: 韓國佛敎美術史" 한언 1998

      26 문명대, "渤海 佛像彫刻의 流派와 樣式硏究" 14 : 1999

      27 "東寺の曼茶羅圖" 東寺寶物館 1995

      28 임석규, "東京大 所藏 渤海 佛像의 現狀과 性格" 고구려연구회 6 : 1998

      29 "東京城-渤海國上京龍泉府の發掘調査" 1939

      30 허형욱, "崑崙奴 도상에 관한 연구-법주사 석조인물상을 중심으로" 4 : 2006

      31 송기호, "咸和四年銘 渤海碑像 檢討. in: 西巖趙恒來敎授華甲紀念韓國史學論叢" 아세아문화사 1992

      32 양은경, "北韓의 불교사원지 출토 高句麗, 渤海 佛像의 출토지 문제와 계승관계" 고구려발해학회 31 : 179-210, 2008

      33 小野勝年, "入唐求法巡禮行記の硏究" 法藏館 1989

      34 문명대, "元五里寺址 塑佛像의 硏究-高句麗 千佛像 造成과 관련하여" 150 : 1981

      35 "上海博物館-中國古代雕塑館" 上海古籍出版社 1996

      36 "『조선유적유물도감』 4권-고구려편 2" 민족문화 1993

      37 敦煌文物硏究所, "『敦煌莫高窟』 4" 文物出版社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