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한 민간단체의 교육지원 활동: 미국의 Teach For America와 한국의 Dream Touch For All을 중심으로 =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Private Organizations to Alleviate the Educational Gap: Focusing on Teach For America in USA and Dream Touch For All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824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미국의 ‘TFA’와 한국의 ‘드림터치포올’두 단체를 1) 목표 및 핵심 가치, 2) 교사 지원 자격 및 양성 과정, 3) 교육적성과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그 두 단체가 다르게 운영될 수밖에 없는 각국의 교사양성 체제의 성격까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두 단체는 교육 불평등 해소라는 목표 하에 교육 소외계층의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해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였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이를 위해 미국의 TFA가 공교육 내에서 기능할 수 있었던 반면, 한국의 드림터치포올은 공교육의 보완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TFA와 같은 대안 교사 단체에서의 교원 양성을 허용하는 ‘준개방적’ 교원 양성 체제로 변화한 반면, 한국에서는 이러한 대안 교사 단체가 허용되지 않는 ‘폐쇄적’ 교원 양성 체제이기 떄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단체는 핵심 가치, 교사 양성 및 운영 프로그램 등에서 차이를 보였고 그 결과 지향하는 교육 모델 또한 다르게 설정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 부분에서는 두 단체의 활동을 통해 결국 한국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문제는 교사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미국의 ‘TFA’와 한국의 ‘드림터치포올’두 단체를 1) 목표 및 핵심 가치, 2) 교사 지원 자격 및 양성 과정, 3) 교육적성과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그 ...

      본 논문은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설립된 미국의 ‘TFA’와 한국의 ‘드림터치포올’두 단체를 1) 목표 및 핵심 가치, 2) 교사 지원 자격 및 양성 과정, 3) 교육적성과의 측면에서 비교하고 그 두 단체가 다르게 운영될 수밖에 없는 각국의 교사양성 체제의 성격까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두 단체는 교육 불평등 해소라는 목표 하에 교육 소외계층의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해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였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그러나, 이를 위해 미국의 TFA가 공교육 내에서 기능할 수 있었던 반면, 한국의 드림터치포올은 공교육의 보완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TFA와 같은 대안 교사 단체에서의 교원 양성을 허용하는 ‘준개방적’ 교원 양성 체제로 변화한 반면, 한국에서는 이러한 대안 교사 단체가 허용되지 않는 ‘폐쇄적’ 교원 양성 체제이기 떄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단체는 핵심 가치, 교사 양성 및 운영 프로그램 등에서 차이를 보였고 그 결과 지향하는 교육 모델 또한 다르게 설정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논의 부분에서는 두 단체의 활동을 통해 결국 한국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본질적인 문제는 교사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two groups of TFA in U.S. and Dream Touch For All in Korea established with the same goals: 1) goal and core value, 2) qualific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and 3)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y focused on the role of teacher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derprivileged under the goal of solving the inequality of education. However, while TFA in the United States was able to function within public education, Korea’s Dream Touch For All played a complementary role in public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appears to be a ‘quasi-open’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allows teachers from alternative teacher groups such as TFA to be accepted, while in Korea it shows the character of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to be. For this reason,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core value, teacher training, and operating program, and as a result, they also set different educational model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two groups of TFA in U.S. and Dream Touch For All in Korea established with the same goals: 1) goal and core value, 2) qualific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and 3)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two groups of TFA in U.S. and Dream Touch For All in Korea established with the same goals: 1) goal and core value, 2) qualification and training of teachers, and 3) educational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wo groups showed that they focused on the role of teacher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derprivileged under the goal of solving the inequality of education. However, while TFA in the United States was able to function within public education, Korea’s Dream Touch For All played a complementary role in public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appears to be a ‘quasi-open’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allows teachers from alternative teacher groups such as TFA to be accepted, while in Korea it shows the character of ‘closed teacher training system’ to be. For this reason,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core value, teacher training, and operating program, and as a result, they also set different educational mod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Ⅲ. 단체 개관: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와 ‘드림터치포올’(Dream Touch For All) Ⅳ. 미국의 Teach For America와 한국의 Dream Touch For All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Ⅲ. 단체 개관: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와 ‘드림터치포올’(Dream Touch For All) Ⅳ. 미국의 Teach For America와 한국의 Dream Touch For All 비교 Ⅴ.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대학생과 함께 교육 격차 해소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보도자료(2017.8.23.)"

      2 김자미,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49-59, 2017

      3 김병찬, "한국과 미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비교, 연구-서울대학과 미시간 주립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비교" 19 (19): 201-228, 2001

      4 정바울,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의 비판적 재조명: 교사교육의 신자유주의적 재구성 및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77-96, 2016

      5 이은우, "중학생 가정의 소득 및 사교육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47-273, 2006

      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교조 제 13대 집행부 출범 기자회견 보도자료(2007.1.31.)"

      7 웬디 콥, "아이들이 꿈꾸는 희망 교육, 열혈교사 도전기" 에이지21 2009

      8 정미경, "세계 주요국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9 황규호, "새 정부의 교원교육 정책 현안 과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307-330, 2017

      10 장원규, "미국의 교원 양성제도에 관한 연구" 9 : 117-141, 2000

      1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대학생과 함께 교육 격차 해소에 나선다. 현대자동차그룹보도자료(2017.8.23.)"

      2 김자미,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 (20): 49-59, 2017

      3 김병찬, "한국과 미국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비교, 연구-서울대학과 미시간 주립대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비교" 19 (19): 201-228, 2001

      4 정바울,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의 비판적 재조명: 교사교육의 신자유주의적 재구성 및 한국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3 (33): 77-96, 2016

      5 이은우, "중학생 가정의 소득 및 사교육이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47-273, 2006

      6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전교조 제 13대 집행부 출범 기자회견 보도자료(2007.1.31.)"

      7 웬디 콥, "아이들이 꿈꾸는 희망 교육, 열혈교사 도전기" 에이지21 2009

      8 정미경, "세계 주요국의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9 황규호, "새 정부의 교원교육 정책 현안 과제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307-330, 2017

      10 장원규, "미국의 교원 양성제도에 관한 연구" 9 : 117-141, 2000

      11 양성관, "미국의 교사양성과정" 한국비교교육학회 16 (16): 77-103, 2006

      12 좋은교사운동,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 티치 포 올 코리아. 월간좋은교사 (2013.8)"

      13 "드림터치포올"

      14 드림터치포올, "드림소식지. 11호"

      15 나동진, "교직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양성 교육과정-한미양국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비교연구" 15 (15): 189-207, 1998

      16 교육인적자원부, "교직발전 종합방안 보도자료(2001.7)"

      17 서정화, "교직단체의 활동 진단 및 새로운 활동 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99-119, 2009

      18 김순남, "교원순환전보제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6

      19 윤기옥, "교사 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 : 한국과 미국" 28 (28): 241-287, 1994

      20 교육부, "경제, 사회 양극화에 대응한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과 과제"

      21 김정원, "“모두를 위한 교육”을 표방하는 미국 교사교육프로그램의 주요 쟁점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27-49, 2011

      22 Kane, T. J., "What does certification tell us about teacher effectiveness? Evidence from New York City" 27 : 615-631, 2008

      23 What Works Clearinghouse, "WWC Intervention Report: Teacher Training, Evaluation, and Compensation"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16

      24 Darling-Hammond, L., "Variation in teacher preparation: how well do different pathways prepare teachers to teach?" 53 (53): 286-301, 2002

      25 Grossman, P. L., "Transitions into teaching : Learning to teach writing in teacher education and beyond" 32 : 631-662, 2000

      26 Reardon, S. F., "The widening income achievement gap" 70 (70): 10-16, 2013

      27 Bali, V. A., "The race gap in student achievement scores :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racially diverse school district" 32 (32): 393-415, 2004

      28 Laczko-Kerr, I., "The effectiveness of Teach for America and other under-certified teacher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 A case of harmful public policy" 10 (10): 1-53, 2002

      29 Antecol, H. Eren, O., "The effect of Teach for America on the distribution of student achievement in primary school : Evidence from a randomized experiment" 37 : 113-125, 2013

      30 Backes, B., "The Impact of Teacher for America on Non-Test Academic Outcome" 13 (13): 168-193, 2018

      31 Decker, P. T., "The Effects of Teach for America on Students: Findings from a National Evaluation" 2004

      32 Feiman-Nemser, S., "Teachers as learners" Harvard Education Press 2012

      33 Raymond, M., "Teach for America: An evaluation of teacher differences and student outcomes in Houston" The Hoover Institution, Center for Research on Education Outcomes 2001

      34 Heilig, J. V., "Teach for America: A review of the evidence" The Great Lakes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 Practice 2010

      35 Johnson, Jenna, "Teach for America 2011 acceptance rate: 11 percent"

      36 Raymond, M., "Teach for America" 2 (2): 1-12, 2002

      37 "Teach For Korea"

      38 Donaldson, M. L., "Teach For America teachers : How long do they teach? Why do they leave?" 93 (93): 47-51, 2011

      39 "Teach For America"

      40 Pilcher, L. C., "Research on Alternative and Nontraditional Education" The Association of Teacher Educators 2005

      41 Chait, R., "Realizing the promise: How state policy can support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s"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2009

      42 Xu, Z., "Making a difference? Effects of Teach For America in high school" 30 (30): 447-469, 2011

      43 Covert, L., "Learning to Teach In Teach For America: A Case Study" University of Minnesota 2014

      44 National Commission on Teaching and America’s Future, "Induction into learning communities" National Commission on Teaching and America’s Future 2005

      45 Zeichner, K.,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Enduring questions in changing contexts" Routledge 269-288, 2008

      46 "Education week"

      47 Shapiro, H. S., "Critical social issues in American education: Democracy and meaning in a globalizing world" Routledge 2004

      48 Choi, H., "An analysis of Critical Issues in Korean Teacher Evaluation Systems" 6 (6): 151-171, 2016

      49 Grossman, P., "Alternative routes to teaching: Mapping the new landscape of teacher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8

      50 Darling-Hammond, L., "A future worthy of Teaching For America" 89 (89): 730-73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94 1.28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