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분당부산물의 급여가 비육후기 한우의 생산성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tarch sugar by-product on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te-finishing Hanwoo ste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032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전분당부산물의 in situ 소실율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분당 부산물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NDF, ADF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62.15, 15.29, 24.68, 0.63, 33.36, 5.71 및 12.96 %로 나타났다. 옥수수와 전분당부산물을 0, 2, 4, 8, 16,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여 in situ 소실율을 측정하였다. 0-16시간까지는 전분당부산물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실율을 보였지만, 24-48시간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72시간대에서는 옥수수의 소실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전분당부산물의 TMR 사료 이용성 평가를 위한 사양실험은 평균체중이 807.5±47.4 kg인 한우 비육후기 거세우(평균 28.2개월령) 30두를 공시하였다. 대조구 14두, 처리구 16두를 처리구 당 3개의 우방에 배치하였다. 총 80일의 사양실험 결과, 종료체중은 대조구, 처리구에서 각각 841.5, 865.7 ㎏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도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도 육량등급과 육질등급의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지만, 1++등급 출현율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전분당부산물의 비육후기 TMR 사료 내 4.4% 첨가는 한우 거세우의 성장 성적과 도체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유의차를 보이는 지방산 성분은 없었다. 대조구와 전분당부산물 처리구의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함량은 42.15, 46.17%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대조구와 처리구의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는 각각 57.85, 53.83%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전분당부산물은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의 대체사료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전분당부산물의 in situ 소실율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분당 부산물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이 연구는 전분당부산물의 in situ 소실율 및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분당 부산물의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NDF, ADF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62.15, 15.29, 24.68, 0.63, 33.36, 5.71 및 12.96 %로 나타났다. 옥수수와 전분당부산물을 0, 2, 4, 8, 16, 24, 48 및 72시간 동안 배양하여 in situ 소실율을 측정하였다. 0-16시간까지는 전분당부산물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소실율을 보였지만, 24-48시간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72시간대에서는 옥수수의 소실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P<0.001). 전분당부산물의 TMR 사료 이용성 평가를 위한 사양실험은 평균체중이 807.5±47.4 kg인 한우 비육후기 거세우(평균 28.2개월령) 30두를 공시하였다. 대조구 14두, 처리구 16두를 처리구 당 3개의 우방에 배치하였다. 총 80일의 사양실험 결과, 종료체중은 대조구, 처리구에서 각각 841.5, 865.7 ㎏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일당증체량과 사료효율에서도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도 육량등급과 육질등급의 처리구 간 차이가 없었지만, 1++등급 출현율이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 전분당부산물의 비육후기 TMR 사료 내 4.4% 첨가는 한우 거세우의 성장 성적과 도체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유의차를 보이는 지방산 성분은 없었다. 대조구와 전분당부산물 처리구의 포화 지방산(Saturated fatty acid) 함량은 42.15, 46.17%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대조구와 처리구의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는 각각 57.85, 53.83%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위 결과들을 종합하면 전분당부산물은 비육후기 한우 거세우의 대체사료원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starch sugar by-product (SSBP)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on in situ degrada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te-finishing Hanwoo steers. The DM, CP, EE, crude fiber, NDF, ADF and ash concentrations in the SSBP were 62.15, 15.29, 24.68, 0.63, 33.36, 5.71 and 12.96% DM, respectively.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corn and SSBP was recorded on the different incubation time of 0, 2, 4, 8, 16, 24, 48, 72 h.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SSBP at the incubation time from 0 to 16 h was greater than that of corn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n and SSBP at the incubation time of 24 to 48 h,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corn at the incubation time 72 h was greater than that of SSBP (P<0.001). Thirty Hanwoo steers of 28.2 months (BW; 807.5±47.4 kg) from late fattening period to slaughter (80 days)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and 3 replication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and 2) SSBP 4.4% (TMR containing 4.4% of SSBP, as-fed basis). The final BW of the Hanwoo steers were 841.5 and 865.7 kg (P > 0.05), respectively. The ADFI and ADG of the steers did not differ between the 2 treatments. I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the carcass yield grade and the carcass quality grad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1++ carcass quality grade of the steers fed SSBP were higher (frequency = 31%) than that of control group (frequency = 2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SSBP at fatty acid composition. The SFA ration were 42.15, 46.17% and UFA ration were 57.85, 53.83%(P<0.05). In conclusion, containing of the TMR based on 4.4% of SSBP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for Hanwoo steers in late-finishing period. The SSBP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in TMR diet of late-finishing Hanwoo.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starch sugar by-product (SSBP)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on in situ degrada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te-finishing Hanwoo steers. The DM, CP, EE, crude fiber, NDF, ADF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starch sugar by-product (SSBP)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on in situ degradability,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late-finishing Hanwoo steers. The DM, CP, EE, crude fiber, NDF, ADF and ash concentrations in the SSBP were 62.15, 15.29, 24.68, 0.63, 33.36, 5.71 and 12.96% DM, respectively.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corn and SSBP was recorded on the different incubation time of 0, 2, 4, 8, 16, 24, 48, 72 h. The in situ degradability of SSBP at the incubation time from 0 to 16 h was greater than that of corn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n and SSBP at the incubation time of 24 to 48 h,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corn at the incubation time 72 h was greater than that of SSBP (P<0.001). Thirty Hanwoo steers of 28.2 months (BW; 807.5±47.4 kg) from late fattening period to slaughter (80 days)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and 3 replication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 control (Total mixed ration, TMR) and 2) SSBP 4.4% (TMR containing 4.4% of SSBP, as-fed basis). The final BW of the Hanwoo steers were 841.5 and 865.7 kg (P > 0.05), respectively. The ADFI and ADG of the steers did not differ between the 2 treatments. I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the carcass yield grade and the carcass quality grad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1++ carcass quality grade of the steers fed SSBP were higher (frequency = 31%) than that of control group (frequency = 2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SSBP at fatty acid composition. The SFA ration were 42.15, 46.17% and UFA ration were 57.85, 53.83%(P<0.05). In conclusion, containing of the TMR based on 4.4% of SSBP did not negatively affect th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growth performance for Hanwoo steers in late-finishing period. The SSBP could be used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in TMR diet of late-finishing Hanwo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2. 연구사 3
      • 가. 옥수수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 (1) DDGS 3
      • (2) Corn gluten meal 5
      • 1. 서론 1
      • 2. 연구사 3
      • 가. 옥수수 가공부산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 (1) DDGS 3
      • (2) Corn gluten meal 5
      • (3) Corn gluten feed 5
      • (4) Corn germ meal 6
      • 나. 전분당의 정의, 분류, 생산 공정 7
      • (1) 전분당의 정의 7
      • (2) 전분당의 분류 및 생산 공정 7
      • (3) 전분당부산물의 정의 및 특성 9
      • (4) 전분당부산물의 이용 및 연구 현황 10
      • 3. 재료 및 방법 14
      • 가. 일반 성분 분석 14
      • (1) 공시재료 14
      • (2) 분석항목 및 방법 14
      • 나. 반추위 in situ 소실율 평가 16
      • (1) 공시동물, 실험기간 및 장소 16
      • (2) 실험설계 및 방법 16
      • (3) 실험사료 및 급여 16
      • (4) 계산 16
      • (5) 통계분석 17
      • 다. 사양실험 19
      • (1) 공시동물, 실험기간 및 장소 19
      • (2) 실험설계 및 방법 19
      • (3) 실험사료 및 급여 19
      • (4) 측정항목 21
      • (5) 통계분석 22
      • 4. 결과 및 고찰 23
      • 가. 반추위 in situ 소실율 23
      • 나. 사양실험 27
      • (1) 체중, 일당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효율 27
      • (2) 도체 특성 30
      • (3) 등심 부위 지방산 조성 분석 33
      • 다. 경제성 분석 36
      • 5. 종합고찰 38
      • 참고문헌 40
      • 국문초록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