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책을 이용한 교육은 유아들의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동화책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이처럼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책을 활용한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43357
광주 :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2024
학위논문(석사) --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 언어치료학과 , 2024. 8
2024
한국어
광주
51 ; 26 cm
지도교수: 박은실
I804:24005-2000008109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화책을 이용한 교육은 유아들의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동화책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이처럼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책을 활용한 연구...
동화책을 이용한 교육은 유아들의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동화책을 활용한 교육의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이처럼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책을 활용한 연구는 다양하다. 본 연구는 생활동화와 전래동화의 의미 및 구문 특성에 초점을 두고, 생활동화와 전래동화의 품사별 비율, 품사별 어휘다양도(TTR: Type-Token Ratio, 복문 비율, 복문 유형별 비율, 절 유형별 비율의 특성을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동화의 의미와 구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3-5세 유아용 생활동화 10권과 전래동화 10권을 선정하였다. 품사는 9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로 분류하였고, 복문 유형은 접속문, 내포문, 혼합문으로 분류하였으며, 절 유형은 관형절, 명사절, 부사절, 인용절, 서술절로 분류하였다.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품사별 비율, 품사별 어휘다양도, 복문 비율, 복문 유형별 비율, 절 유형별 비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내 품사별 비율, 품사별 어휘다양도, 복문 유형별 비율, 절 유형별 비율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품사별 비율에서 동사의 비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생활동화 내 품사별 비율에서는 명사가 조사와 동사를 제외한 모든 품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래동화 내 품사별 비율에서는 명사가 모든 품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품사별 어휘다양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동화 내 품사별 어휘다양도에서는 형용사 어휘다양도, 부사 어휘다양도, 감탄사 어휘다양도가 조사 어휘다양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래동화 내 품사별 어휘다양도에서는 대명사 어휘다양도, 수사 어휘다양도, 형용사 어휘다양도, 부사 어휘다양도가 조사 어휘다양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복문 비율은 전래동화가 생활동화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복문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면 혼합문, 내포문은 동화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접속문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혼합문의 비율은 전래동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내포문의 비율은 생활동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동화 내 복문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면 내포문 비율이 혼합문 비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래동화 내 복문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면 혼합문과 접속문이 내포문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간 절 유형별 비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동화 내 절 유형별 비율을 살펴보면, 생활동화와 전래동화 모두 다른 절 유형보다 관형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3-5세 유아용 생활동화와 전래동화의 의미 및 구문 특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화책을 활용한 교육 현장 및 언어재활 임상현장에서 아동의 의미 및 구문발달 수준과 동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한다면 언어발달에도 긍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