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반격’에서 『내적 체험』에 이르는 시기까지 조르주 바타유가 남긴 글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에 관한 논의를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30년대 바타유는 당대 정치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1667
김우리 (한국외국어대학교)
2024
Korean
공동체 ; 권워 ; 불충분성 ; 비-지 ; 소통 ; 이의제기 ; Communauté ; Authorité ; Insuffisance ; Non-Savoir ; Communication ; Contestation
KCI등재
학술저널
115-142(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반격’에서 『내적 체험』에 이르는 시기까지 조르주 바타유가 남긴 글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에 관한 논의를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30년대 바타유는 당대 정치적 ...
본 연구는 ‘반격’에서 『내적 체험』에 이르는 시기까지 조르주 바타유가 남긴 글에서 드러나는 공동체에 관한 논의를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930년대 바타유는 당대 정치적 상황에 대한 진단 속에서 사회 변화를 논하는 글들을 남겼으며, ‘반격’이라는 단체를 결성하여 정치활동에도 투신했다. 또한 현대 사회가 성스러움을 잃어버렸다는 진단 아래 비밀 공동체 무두인(無頭人) 및 사회학 학회라는 단체를 만들어 실천적·이론적 활동을 이어나가기도 했다. 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이후 바타유는 이러한 기획으로부터 물러난다. 그리고 그는 지극히 비사회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보이는 황홀경의 체험에 몰두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외양의 변화 속에서도 바타유가 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는 가운데 그의 공동체 개념에 접근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tte étude a pour but d’éclaircir la pensée de Georges Bataille sur la communauté, de l’époque de la fondation du groupe « Contre-Attaque » jusqu'à son ouvrage L'Expérience intérieure. Dans les années 1930, Bataille a écrit sur le cha...
Cette étude a pour but d’éclaircir la pensée de Georges Bataille sur la communauté, de l’époque de la fondation du groupe « Contre-Attaque » jusqu'à son ouvrage L'Expérience intérieure. Dans les années 1930, Bataille a écrit sur le changement social en réponse à la situation politique de l’époque et s'est engagé en politique en fondant le groupe « Contre-Attaque ». Par ailleurs, constatant que la société moderne a perdu le sacré, il a créé Acéphale et le Collège de Sociologie, poursuivant ainsi des activités tant théoriques que pratiques. Cependant, après le déclenchement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Bataille s'est retiré de ces projets. Il s'est alors concentré sur une expérience extatique qui semble profondément asociale et personnelle. Cette étude vise à montrer, en cherchant à comprendre sa conception, que, malgré ce changement apparent, Bataille continue à s’intéresser à la communauté.
키치-인간의 일상성에 대한 디오니소스적 고찰: 미셸 마페졸리의 『디오니소스의 그림자』를 중심으로
존재론적 해석학과 비판적 해석학의 비교연구(3): 역사관과 사회관을 중심으로
레비나스의 가족극장과 신성한 희극: 『전체성과 무한』에 대한 비판적 독해
얽힘의 존재론과 책임의 윤리: 카렌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