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report aims to Rugeonggi(樓亭記)'s individuality in 17th century by researching Gyegok(谿谷) Chang, Yu(張維)'s Rugeonggi(樓亭記) . And this report researched Yi, sik(李植)․Ryu, Mong in(柳夢寅)․Lee, Cheong gu(李廷龜)․Shin,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95409
안득용 (고려대학교)
2007
-
Chang Yu(張維) ; individuality ; rugeonggi(樓亭記) ; Yi sik(李植) ; Ryu Mong in(柳夢寅) ; Lee Cheong gu(李廷龜) ; Shin Heum(申欽) ; Heo gyun(許筠) ; imagination ; the sprit of play ; shinrugi(<蜃樓記>) ; Book of change(周易) ; usefulness ; 張維 ; 개성 ; 樓亭記 ; 李植 ; 柳夢寅 ; 李廷龜 ; 申欽 ; 許筠 ; <蜃樓記> ; 周易 ; 상상력 ; 유희정신 ; 효용성
KCI등재
학술저널
373-409(37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port aims to Rugeonggi(樓亭記)'s individuality in 17th century by researching Gyegok(谿谷) Chang, Yu(張維)'s Rugeonggi(樓亭記) . And this report researched Yi, sik(李植)․Ryu, Mong in(柳夢寅)․Lee, Cheong gu(李廷龜)․Shin, ...
This report aims to Rugeonggi(樓亭記)'s individuality in 17th century by researching Gyegok(谿谷) Chang, Yu(張維)'s Rugeonggi(樓亭記) . And this report researched Yi, sik(李植)․Ryu, Mong in(柳夢寅)․Lee, Cheong gu(李廷龜)․Shin, Heum(申欽)․Heo, gyun(許筠)'s works for wide vision.
Chang yu's rugeonggi has following features. First, his works are allegorical. Second, he write his work characteristically. Especially, <shinrugi蜃樓記> is very characteristical. Third, he borrowed Book of change(周易)'s principal for comfort. Forth, his works are under bias toward usefulness.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some features in vicinity of 17th century's rugeonggi. First, there are imagination and the spirit of play. And then the spirit of art is based on these two features, so we suppose that these era's works may be characteristic. Second, the restful mind is humorous and light, so rugeonggi's character is apt to be humorous and light.
In spite of his environment, he made his works characteristic, and he pursued usefulness. These features have important meaning, because he got down to brass tacks, he had literary taste in the same breath.
국문 초록 (Abstract)
張維는 17세기 대표적 문인 중 한 명이며, 누정기는 작가적 개성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장르이다. 이러한 작가의 무게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하여 본고는 장유의 누정기를 주목하게 되었다. ...
張維는 17세기 대표적 문인 중 한 명이며, 누정기는 작가적 개성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장르이다. 이러한 작가의 무게와 장르적 특성으로 인하여 본고는 장유의 누정기를 주목하게 되었다.
장유의 작품이 지닌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寓言的 작품은 이해와 실천을 요구한다는 측면에서 哲理와 經世濟民을 추구하는 측면에 가깝다. 이러한 장유의 기본적 성향이 정신적 유희를 위한 상상력의 발현보다 교훈적, 실용적 목적을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였다. 둘째, 장유는 당대 누정기 서술의 보편적 투식을 따르기도 하지만 개성적 글쓰기 또한 적지 않게 고려했다. 이것은 <蜃樓記>의 분석을 통해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셋째, 장유의 경우 불우에 대해 위로하고자 하거나, 鑑戒를 위해 周易을 인용하기도 한다. 주역의 인용은 天道의 합리성을 人事에 적용하였다는 측면에서 인간세상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의 제시로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인간세상의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논리적 의론을 통한 실천의 촉구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장유의 누정기 중에는 의론적 작품이 많다. 이러한 특징은 당대적 효용성, 즉 부조리에 대한 비판과 모범의 제시 등의 효용성을 추구하기 위한 서술의식의 발현이다. 이 점이 장유 누정기의 마지막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개성과 효용성 추구로 크게 대별할 수 있다.
17세기 전후 누정기의 특징을 의식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17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일부 누정기에서 상상력과 자유로운 유희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상상력과 자유로운 유희정신은 예술정신의 근본이며, 문학적 개성창출에 어느 정도 기여한다. 둘째, 철리적․경세제민의 태도와 달리 閑寂精神은 희화적이고, 가벼우며, 유적하다. 이러한 특징이 소품적 성향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장유의 누정기는 효용성을 추구하면서도 비교적 개성적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따라서 당대 문인지식으로서 외면해서는 안 될 사회적 부조리의 해결과 모범의 제시라는 난제를 해결하고자 하면서도 문학적 개성을 어느 정도 유지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 시문학 연구-장자적 천기론을 중심으로-」" 1989 65~66면
2 "「許筠의 文學論과 內在的 超越」" 1979 6~21면
3 "?????W" ???????????i?? 1988
4 "중국예술정신" 동문선 92-103, 2000
5 "조선 초기 누정기의 연구" 1990
6 "이계 홍량호 문학의 한 국면-‘觀物取象’의 이해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00 : 384-390, 2005
7 "예술의 사회적 생산" 1988
8 "생활의 발견" 1992
9 "누정제영의 시공간적 분포와 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0 : 57-60, 2004
10 "누정기를 통해 본 조선 전기 산문의 양상" 월인 327-, 2002
1 "「장유 시문학 연구-장자적 천기론을 중심으로-」" 1989 65~66면
2 "「許筠의 文學論과 內在的 超越」" 1979 6~21면
3 "?????W" ???????????i?? 1988
4 "중국예술정신" 동문선 92-103, 2000
5 "조선 초기 누정기의 연구" 1990
6 "이계 홍량호 문학의 한 국면-‘觀物取象’의 이해를 중심으로" 진단학회 100 : 384-390, 2005
7 "예술의 사회적 생산" 1988
8 "생활의 발견" 1992
9 "누정제영의 시공간적 분포와 의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0 : 57-60, 2004
10 "누정기를 통해 본 조선 전기 산문의 양상" 월인 327-, 2002
11 "구체적 보편성에로" 민음사 586-612, 2006
12 "谿谷 張維 散文 硏究" 30-35, 2005
13 "文藝批評의 原理" 1978
14 "散文鑑賞藝術探微" 文史哲出版社 271-295, 1998
15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山水遊記 硏究" 6-28, 2005
16 "16세기 사림의 기문 연구" 170 2003
시조를 통해 본 양명학(陽明學)의 전래(傳來)와 확산(擴散)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7-11-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 |
2017-10-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sociation | |
2017-10-1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lassical Literature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0.9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8 | 0.93 | 2.12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