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의 하위구인 및 문항 타당화를 위한 전문가 검증 연구 = A Study on Expert Verification for Korean Version Musical Self-Concept Measurement Scale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49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musical self-concept measurement scal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ub-domains and factors derived through prior scale analysis and student interviews; and the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through group Delphi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experts and written opinions, 4 domains and 23 factors of the musical self-concept test were confirmed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a total of 138 preliminary questionnaire test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second verification. Through this expert group verification, sub-domains and individual items that attempts to gauge the musical self-concept of scondary students in the context of Korea. Compared to previous foreign tools,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of Musical Ability domain; domains and factors were developed considering non-experts' musical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latest technology-related contents; and musical preferences and tastes sub-domain was added. The derived sub-domains, factors, and items will be standardized through additional verification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tests.
      번역하기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musical self-concept measurement scal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ub-domains and factors derived through prior scale analysis and student interviews; and...

      In order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musical self-concept measurement scale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ub-domains and factors derived through prior scale analysis and student interviews; and the developed questionnaire items through group Delphi surveys. Based on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evaluation of experts and written opinions, 4 domains and 23 factors of the musical self-concept test were confirmed in the first verification, and a total of 138 preliminary questionnaire tests were constructed through the second verification. Through this expert group verification, sub-domains and individual items that attempts to gauge the musical self-concept of scondary students in the context of Korea. Compared to previous foreign tools, there are differences in factors of Musical Ability domain; domains and factors were developed considering non-experts' musical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latest technology-related contents; and musical preferences and tastes sub-domain was added. The derived sub-domains, factors, and items will be standardized through additional verification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te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앞선 선행도구 분석 및 학생 면담을 통해 도출된 예비하위구인과 이에 따라 개발한 문항에 대해 전문가 집단 델 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문가의 양적 평가와 자유기술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1차 검증에서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검사 4영역 23개 내용요소를 확정 하고, 2차 검증으로 총 138문항의 예비설문 검사를 구성하였다. 본 전문가 집단 검증을 통해 한국의 맥락에서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을 가늠할 수 있는 하위구인, 내용요소 및 개별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선행 외국 도구와 비교하여 음악적 능력 영역의 하위 내용요소, 비전공 자의 음악적 참여를 고려한 영역 및 내용요소의 제시, 최신 테크놀로지 관련 문항 내용의 개 발, 음악적 선호와 취향의 형성 영역 구성 등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도출된 하위구인, 내용요 소, 문항은 예비검사, 본검사 등을 통해 추가적인 검증을 거쳐 검사도구를 표준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앞선 선행도구 분석 및 학생 면담을 통해 도출된 예비하위구인과 이에 따라 개발한 문항에 대해 전문가 집단 델 파이 조...

      본 연구는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앞선 선행도구 분석 및 학생 면담을 통해 도출된 예비하위구인과 이에 따라 개발한 문항에 대해 전문가 집단 델 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전문가의 양적 평가와 자유기술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1차 검증에서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검사 4영역 23개 내용요소를 확정 하고, 2차 검증으로 총 138문항의 예비설문 검사를 구성하였다. 본 전문가 집단 검증을 통해 한국의 맥락에서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을 가늠할 수 있는 하위구인, 내용요소 및 개별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선행 외국 도구와 비교하여 음악적 능력 영역의 하위 내용요소, 비전공 자의 음악적 참여를 고려한 영역 및 내용요소의 제시, 최신 테크놀로지 관련 문항 내용의 개 발, 음악적 선호와 취향의 형성 영역 구성 등에서 차별점을 가진다. 도출된 하위구인, 내용요 소, 문항은 예비검사, 본검사 등을 통해 추가적인 검증을 거쳐 검사도구를 표준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주연,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의 하위구인 구성을 위한 면담 연구" 미래음악교육학회 7 (7): 21-47, 2022

      2 정주연, "한국 중등학생 음악적 자기개념 척도 검사 개발을 위한 국외 척도 분석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34) : 119-141, 2021

      3 이은현,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7 (27): 10-13, 2021

      4 정주연, "음악적 정체성 관련 문헌탐색과 향후 국내 연구의 시사점"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161-191, 2021

      5 Hargreaves, D. J., "음악적 발달 심리학" 교육과학사 2022

      6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별책12.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8 Austin, J., "The relationship of music self-esteem to degree of participation in school and out-of-school music activities among upper elementary students" 17 : 20-31, 1990

      9 Müllensiefen, D., "The musicality of non-musicians: An index for assessing musical sophistica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9 (9): 1-23, 2014

      10 Morin, A. J. S., "The music self-perception inventory: Development of a short form" 44 (44): 530-549, 2016

      1 정주연, "한국 중등학생의 음악적 자기개념 측정도구의 하위구인 구성을 위한 면담 연구" 미래음악교육학회 7 (7): 21-47, 2022

      2 정주연, "한국 중등학생 음악적 자기개념 척도 검사 개발을 위한 국외 척도 분석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34) : 119-141, 2021

      3 이은현,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7 (27): 10-13, 2021

      4 정주연, "음악적 정체성 관련 문헌탐색과 향후 국내 연구의 시사점" 미래음악교육학회 6 (6): 161-191, 2021

      5 Hargreaves, D. J., "음악적 발달 심리학" 교육과학사 2022

      6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별책12.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이종성,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2001

      8 Austin, J., "The relationship of music self-esteem to degree of participation in school and out-of-school music activities among upper elementary students" 17 : 20-31, 1990

      9 Müllensiefen, D., "The musicality of non-musicians: An index for assessing musical sophisticat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9 (9): 1-23, 2014

      10 Morin, A. J. S., "The music self-perception inventory: Development of a short form" 44 (44): 530-549, 2016

      11 Vispoel, W. P.,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rts self-perception inventory for adolescents" 53 (53): 1023-1033, 1993

      12 McLean, K. C., "The Oxford handbook of identity develop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3 Hargreaves, D.,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Education, 1" Oxford University Press 125-142, 2012

      14 DeVellis R. F., "Scale development : theory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2022

      15 Yeung, S. S., "New Frontiers for Self Research, vol. 2" IAP 223-256, 2005

      16 Hargreaves, D. J., "Musical Identities" Oxford University Press 125-142, 2002

      17 Svengalis, J. N., "Music attitude and the preadolescent male" University of Iowa 1978

      18 Fiedler, D., "Measuring “musical self-concept” throughout the years of adolescence with MUSCI_youth: Validation and adjustment of the Musical Self-Concept Inquiry (MUSCI) by investigating samples of students at secondary education schools" 27 (27): 167-179, 2017

      19 McCoach, D. B., "Instrument Development in the Affective Domain" 8 : 2013

      20 Spychiger, M., "Handbook of musical identity" Oxford University Press 267-287, 2017

      21 Marcia, J. E.,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Wiley 159-187, 1980

      22 Dys, S, P., "Handbook of Musical Identities" Oxford Academic 247-266,

      23 Schmitt, M. C.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of self-esteem of musical ability"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79

      24 Hargreaves, D. J., "Developing identities in music education" 5 (5): 263-273, 2003

      25 Lynn, M.,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35 (35): 382-385, 1986

      26 Ayre, C.,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47 : 79-86,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