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木田 元, "현상학의 흐름" 이문 출판사 1989
2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A&C 2004
3 차민영, "한국현대설치미술에 나타난 노마디즘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7 (17): 249-256, 2014
4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 특정적 미술과 지역적 정체성" 26 : 2007
5 테리 스미스,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 북스 2009
6 Deleuze, Gilles,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2" 새물결 2001
7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8
8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9
9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1977
10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 木田 元, "현상학의 흐름" 이문 출판사 1989
2 정연심, "현대공간과 설치미술" A&C 2004
3 차민영, "한국현대설치미술에 나타난 노마디즘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7 (17): 249-256, 2014
4 우정아, "한 장소 다음에 또 한 장소: 장소 특정적 미술과 지역적 정체성" 26 : 2007
5 테리 스미스, "컨템포러리 아트란 무엇인가" 마로니에 북스 2009
6 Deleuze, Gilles,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분열증2" 새물결 2001
7 김지현, "지역의 특성을 강조한 공공미술에 대한 연구 :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08
8 이지희, "장소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에 대한 담론적 연구 : 196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09
9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1977
10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1 우정아, "장소 특정적 미술" 현실문화연구 2013
12 최병두, "자본주의 사회에서 장소성의 상실과 복원" 한국도시연구소 (8) : 2002
13 이진경, "유목주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2001
14 양순영, "노마디즘으로 본 시각예술 연구 :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15 이진경, "노마디즘: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2)" 휴머니스트 2002
16 이진경, "노마디즘" 휴머니스트 2002
17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18 Allen Kaprow, "Words (exhibition catalogue)" Smolin Gallery 1962
19 Michel de Certeau,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1980
20 Kevin Melchionne, "Rethinking Site-Specificity:some critical and Philosophical Problem" 12 (12): 1997
21 Phill Patton, "Other Voices, Other Rooms: The Rise of the Alternative Space" 1997
22 Miwon Kwon, "One Place After Another: Site-Specific Art and Locational Identity Cambridge" The MIT Press 2002
23 Robert Moriss, "Continuous project Altered Daily :The Writing of Robert Morris" MIT Press 1993
24 Irving Sandler, "America of the 1960s" Harper&Row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