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창의·인성 중심 체육교육에서 플립러닝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8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창의·인성 중심 체육교육에서 플립러닝 적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행연구 모형에 기반을 둔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5...

      목적: 본 연구는 창의·인성 중심 체육교육에서 플립러닝 적용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행연구 모형에 기반을 둔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A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5학급 286명(남학생 148명, 여학생 138명)과 이들의 체육을 전담하고 있는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비참여 관찰, 설문지,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Wolcott(1994)의 기술, 분석, 해석의 과정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의 결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창의·인성 중심 체육수업은 학생들의 호기심과 과제집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사는 창의·인성 중심 체육수업에서 플립러닝 실행과정에서 영상 준비와 전달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교사 중심의 체육수업이 학생 중심으로 옮겨가는 긍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었다. 체육교육에서 플립러닝 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사공동체를 통한 플립러닝 수업의 확산 및 활성화가 언급되었다.
      결론: 체육교육에서 플립러닝의 적용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창의·인성교육 측면과 체육 교사의 수업 개선을 통한 전문성 신장 측면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current action research examine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creativity and character-oriented physical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odel,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86 first-year fifth-class students...

      Purpose: The current action research examined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creativity and character-oriented physical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odel,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86 first-year fifth-class students (148 male students and 138 female students) attending A High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a responsible PE teache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non-participation observations, surve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Wolcott (1994)"s technolog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ss.
      Results: Research has shown that creativity and character-oriented sports classes with flipped learning significantly impact students" curiosity and task attachm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preparing and delivering videos in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in creativity and character-oriented PE classes. However, they had a positive experience of moving teacher-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student-centered ones. As an improvement plan to utilize flipped learning in PE, the paradigm shift centered on learners and activ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es through the teacher community were mentioned.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PE contributed positively to creativity and character-oriented education based on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improved expertise by PE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2 김현우, "팀활동 기반 플립러닝 수업이 체육학과 전공과목 수강생의 학습참여 및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5-27, 2016

      3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교육부 2015

      4 이윤정,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100, 2013

      5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6 유정애, "창의성 교육 관점에서 본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0 (50): 145-156, 2011

      7 최의창,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09-237, 2011

      8 Spradley,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조미혜, "융합의 시대에 대비한 체육교육과정의 과제" 교육연구소 18 (18): 5-25, 2012

      1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2 김현우, "팀활동 기반 플립러닝 수업이 체육학과 전공과목 수강생의 학습참여 및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5-27, 2016

      3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교육부 2015

      4 이윤정,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83-100, 2013

      5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6 유정애, "창의성 교육 관점에서 본 체육과 교육과정의 분석과 과제" 한국체육학회 50 (50): 145-156, 2011

      7 최의창,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통합적 관점에서의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09-237, 2011

      8 Spradley, P,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9 조용환, "질적 기술, 분석, 해석" 2 (2): 27-63, 1999

      10 조미혜, "융합의 시대에 대비한 체육교육과정의 과제" 교육연구소 18 (18): 5-25, 2012

      11 최의창, "융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적 접근과 체육교과의 시도" 80 : 41-60, 2014

      12 함지선, "여고생의 체육수업 몰입을 위한 창의적 인성 요인 관련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39-157, 2015

      13 송광섭, "반성적 뉴스포츠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9-30, 2014

      14 조필환,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와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6 (16): 253-262, 2018

      15 장경환, "모형 기반 초등 체육 수업을 위한 교사 지식 탐색: 하나로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81-103, 2014

      16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17 장은주,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교육연구원 31 (31): 199-217, 2015

      18 조명호, "교육과정 실천가로서의 체육교사가 경험한 창의·인성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self-narrative)"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043-1051, 2013

      19 이태구,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체육수업의 개발"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8 (28): 440-460, 2017

      20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87-116, 2014

      21 Cropley, A. J., "Using assessment to foster creativity"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007

      22 Wolcott, H. F., "Transforming qualitative data: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ge 1994

      23 Steed, A., "The flipped classroom" 16 (16): 9-, 2012

      24 Kemmis, S., "The action research planner: Doing critical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2014

      25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5

      26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2015

      27 Greene, J. C., "Mixed methods in social inquiry Vol. 9" John Wiley & Sons 2007

      28 하주현, "KEDI 창의적 인성검사 3종 개발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11

      29 Brame, C. J., "Flipping the classroom"

      30 최원석, "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체육수업의 참여경험과 교육적 의미" 한국체육교육학회 23 (23): 1-15, 2018

      31 Bergman, J., "Flip your classroom"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32 Crews, T., "Data for flipped classroom design: Using student feedback to identify the best components from online and face-to-face classes" 4 (4): 3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