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Women Immig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3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produced for the women immigrants,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women immigrants.
      O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women immigrants will be proposed in the both of two aspects, construction and content.
      In aspect of the construction, above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system of textbook has to correspond with the producing direction. Second, vocabularies and grammars should be presented with proper amount by each grades considering about learner's learning ability. Third, many visual materials should be inserted in a textbook to help women immigrants study alone giving consideration through their studying environment, and the language in a textbook should be exhibited in various languages. Finally, it is needs to produce various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o serve using these materials of teachers effectively.
      Then, in aspect of the content, first, in addition to language education, Korean cultures which help to women immigrant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practically should be introduced in the textbooks. Second, contexts that are related to real life of the women immigrants should be presented considering about various situation that can be occur to the women immigrants. Third, textbooks should include a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help the women immigrants to adapt to their life in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produced for the women immigrants,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women immigrants. O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are produced for the women immigrants, and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women immigrants.
      O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producing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women immigrants will be proposed in the both of two aspects, construction and content.
      In aspect of the construction, above all, it is important that the system of textbook has to correspond with the producing direction. Second, vocabularies and grammars should be presented with proper amount by each grades considering about learner's learning ability. Third, many visual materials should be inserted in a textbook to help women immigrants study alone giving consideration through their studying environment, and the language in a textbook should be exhibited in various languages. Finally, it is needs to produce various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s to serve using these materials of teachers effectively.
      Then, in aspect of the content, first, in addition to language education, Korean cultures which help to women immigrants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culture practically should be introduced in the textbooks. Second, contexts that are related to real life of the women immigrants should be presented considering about various situation that can be occur to the women immigrants. Third, textbooks should include a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help the women immigrants to adapt to their life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제작 방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2007년 현재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는 여성가족부와 농림부에서 제작한 교재가 있다. 본고는 이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측면에서 교재의 제작 방향을 구성과 내용으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구성에 있어서는 첫째, 교재 제작의 방향 및 체제는 통일되어야 한다. 둘째, 어휘는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급 별로 적절한 양을 제시한다. 셋째, 문법은 급 별로 체계화하여 양적인 면에서나 난이도 면에서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제시한다. 넷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여 독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각 자료를 제시하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하여 제시한다. 다섯째, 교사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재 및 교사용 교재를 제작하여 수업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내용에 있어서는 첫째, 언어 교육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여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처한 상황에 근거하여 실생활에 관련된 내용을 제시한다. 셋째,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다문화 되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의 안정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 국가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기초가 되는 교재 개발에 앞으로도 계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제작 방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2007년 현재 여성 결혼이민자 대...

      본고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제작 방향에 관하여 논의한다.
      2007년 현재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재는 여성가족부와 농림부에서 제작한 교재가 있다. 본고는 이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학습자와 교사의 측면에서 교재의 제작 방향을 구성과 내용으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구성에 있어서는 첫째, 교재 제작의 방향 및 체제는 통일되어야 한다. 둘째, 어휘는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급 별로 적절한 양을 제시한다. 셋째, 문법은 급 별로 체계화하여 양적인 면에서나 난이도 면에서 학습자의 능력에 맞게 제시한다. 넷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처한 환경을 고려하여 독학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시각 자료를 제시하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하여 제시한다. 다섯째, 교사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재 및 교사용 교재를 제작하여 수업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내용에 있어서는 첫째, 언어 교육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를 소개하여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을 이해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도록 한다.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처한 상황에 근거하여 실생활에 관련된 내용을 제시한다. 셋째,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은 다문화 되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의 안정에 도움을 주어 궁극적으로 국가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한국어 교육에 기초가 되는 교재 개발에 앞으로도 계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
      • 2.1. 여성가족부 제작 한국어 교재 분석
      • 2.2. 농림부 제작 한국어 교재 분석
      • 3.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제작 방향
      • 1. 머리말
      • 2.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
      • 2.1. 여성가족부 제작 한국어 교재 분석
      • 2.2. 농림부 제작 한국어 교재 분석
      • 3.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제작 방향
      • 3.1. 학습자의 측면
      • 3.2. 교사의 측면
      • 4.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