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상 대중교통 도입 시 고려할 지역 특성 분석 : 화성시 사례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o Consider when Introducing Free Public Transportation : Focused on Hwaseong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97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선별적 복지제도는 곧 다른 국민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보편적 복지로 분위기 전환이 보이고 있으며, 대중교통 복지도 기존에는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을 무임으로 이용 가능한 선별적 상황에서 어린이, 청소년 등 보편적으로 점차 확대 중이다.
      이에, 경기도 화성시 무상 대중교통 사업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복지가 보편적 복지로의 확대 가능성과 도입 시 고려할 사항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의 대중교통 통행량과 업종별 신용카드 매출액의 무상 대중교통 도입 전·후 변화량에 대해 분석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버스 통행량은 월간 버스 교통카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입 이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으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의 월간 신용카드 매출액 변화를 활용하였다.
      또한, 무상 대중교통 도입으로 인한 영향을 T-test,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무상 대중교통 도입 시 고려할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지인 화성시의 무상 대중교통 사업은 2021년 10월에 1차적 도입이 완료되었으며, 신뢰도 높은 분석을 위해 주변 환경 요소들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분석 기준월을 다음과 같이 기초자료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정부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유사한 2021년 6월과 2021년 11월은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화성시 인구 현황 및 버스 운행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2021년 6월과 2021년 11월은 인구수 및 버스 운행현황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분석자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변화와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보복 소비 관련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지와 인접한 안산시, 평택시를 분석하여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T-test, Regression analysis 결과에 따라 무상 대중교통 도입 전·후 행정구역별 통행-매출변화량을 Quadrant 도식화하여 영향이 미미한 행정구역을 분류하였고, 전체 면적 대비 농축산·임야 용지비,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 면적 대비 정류소 수, 인구 대비 버스 운행 대수를 분석하여 분류된 행정구역의 지역 특성을 파악하는 심층분석을 진행하였다.
      향후 각 지역 행정기관에서 무상 대중교통 정책 도입 추진 시 우선으로 고려할 행정구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정책 도입이 가능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세밀한 지역 특성 파악에 따라 병행 추진 가능한 교통정책을 발굴하여 무상 대중교통 정책이 효과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번역하기

      기존의 선별적 복지제도는 곧 다른 국민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보편적 복지로 분위기 전환이 보이고 있으며, 대중교통 복지도 기존에는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을 ...

      기존의 선별적 복지제도는 곧 다른 국민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보편적 복지로 분위기 전환이 보이고 있으며, 대중교통 복지도 기존에는 65세 이상, 국가유공자, 장애인 등을 무임으로 이용 가능한 선별적 상황에서 어린이, 청소년 등 보편적으로 점차 확대 중이다.
      이에, 경기도 화성시 무상 대중교통 사업을 중심으로 대중교통 복지가 보편적 복지로의 확대 가능성과 도입 시 고려할 사항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화성시의 대중교통 통행량과 업종별 신용카드 매출액의 무상 대중교통 도입 전·후 변화량에 대해 분석하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버스 통행량은 월간 버스 교통카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입 이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으며,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의 월간 신용카드 매출액 변화를 활용하였다.
      또한, 무상 대중교통 도입으로 인한 영향을 T-test,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향후 무상 대중교통 도입 시 고려할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지인 화성시의 무상 대중교통 사업은 2021년 10월에 1차적 도입이 완료되었으며, 신뢰도 높은 분석을 위해 주변 환경 요소들의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는 분석 기준월을 다음과 같이 기초자료 분석을 통해 선정하였다.
      정부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유사한 2021년 6월과 2021년 11월은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화성시 인구 현황 및 버스 운행현황 자료를 수집하여 2021년 6월과 2021년 11월은 인구수 및 버스 운행현황이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분석자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변화와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보복 소비 관련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지와 인접한 안산시, 평택시를 분석하여 수집한 자료의 신뢰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T-test, Regression analysis 결과에 따라 무상 대중교통 도입 전·후 행정구역별 통행-매출변화량을 Quadrant 도식화하여 영향이 미미한 행정구역을 분류하였고, 전체 면적 대비 농축산·임야 용지비,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노인 인구비, 면적 대비 정류소 수, 인구 대비 버스 운행 대수를 분석하여 분류된 행정구역의 지역 특성을 파악하는 심층분석을 진행하였다.
      향후 각 지역 행정기관에서 무상 대중교통 정책 도입 추진 시 우선으로 고려할 행정구역별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정책 도입이 가능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며, 세밀한 지역 특성 파악에 따라 병행 추진 가능한 교통정책을 발굴하여 무상 대중교통 정책이 효과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isting selective welfare system is changing the atmosphere to universal welfare as it faces criticism of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eople, and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is gradually expand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lective situations where people aged 65 or older, national merit, and the disabled can be used free of charge.
      Therefore, it i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to universal welfare, focusing on the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in Hwaseong-si, Gyeonggi-do.
      In this study, the amount of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credit card sales by industry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Here, the monthly bus traffic card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since the introduction, and the change in monthly credit card sales of the Gyeonggi-do Market Promotion Agency was used.
      It also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through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due to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and to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free public transport in the future.
      The first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in Hwaseong-si, the study target site, was completed in October 2021, and the analysis base month, which is less affected by changes in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was selected through basic data analysis as follows for reliable analysis.
      In June 2021 and November 2021, when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measure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ere similar,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was similar, and by collecting data on the population status and bus operation status in Hwaseong-si, June 2021 and November 2021.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analyzing Ansan and Pyeongtaek, adjacent to the study sit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raffic-sales changes were classified into quadrant areas to identify concentrated and balanced areas.
      It is believed that it is valuable as a material for effective introduction of polici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o be considered first when implementing free public transport policie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free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by discovering detailed regional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existing selective welfare system is changing the atmosphere to universal welfare as it faces criticism of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eople, and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is gradually expand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lective situa...

      The existing selective welfare system is changing the atmosphere to universal welfare as it faces criticism of discrimination against other people, and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is gradually expanding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elective situations where people aged 65 or older, national merit, and the disabled can be used free of charge.
      Therefore, it i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public transportation welfare to universal welfare, focusing on the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in Hwaseong-si, Gyeonggi-do.
      In this study, the amount of change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in Hwaseong-si, Gyeonggi-do, and credit card sales by industry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Here, the monthly bus traffic card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trend of changes since the introduction, and the change in monthly credit card sales of the Gyeonggi-do Market Promotion Agency was used.
      It also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through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due to the introduction of free public transportation, and to identify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free public transport in the future.
      The first free public transportation project in Hwaseong-si, the study target site, was completed in October 2021, and the analysis base month, which is less affected by changes in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was selected through basic data analysis as follows for reliable analysis.
      In June 2021 and November 2021, when the COVID-19 social distancing measures announced by the Government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were similar,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was similar, and by collecting data on the population status and bus operation status in Hwaseong-si, June 2021 and November 2021.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as verified by analyzing Ansan and Pyeongtaek, adjacent to the study sit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raffic-sales changes were classified into quadrant areas to identify concentrated and balanced areas.
      It is believed that it is valuable as a material for effective introduction of polici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o be considered first when implementing free public transport policie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free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can be effectively introduced by discovering detailed regional characteris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2절 연구의 범위 2
      • 1. 시간적 범위 2
      • 2. 공간적 범위 3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 제2절 연구의 범위 2
      • 1. 시간적 범위 2
      • 2. 공간적 범위 3
      •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기존 연구사례 고찰 6
      • 제1절 이론적 배경 6
      • 1. 무상 대중교통 개념 6
      • 2. 화성시 무상 대중교통 사업 7
      • 제2절 기존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의 차별성 9
      • 1. 무상 대중교통 관련 선행연구 9
      • 2. 대중교통 통행량 관련 선행연구 10
      • 3. 카드 매출액 지역 상권 영향 관련 선행연구 11
      • 4. 연구의 차별성 12
      • 제3장 분석방법론 및 분석 결과 13
      • 제1절 연구방법론 13
      • 1. 무상 대중교통 정책 효과 분석(T-test) 14
      • 2. 버스 통행량 증가가 지역 상권에 미치는 영향 분석(회귀분석) 14
      • 제2절 분석자료 구축 16
      • 1. 분석자료 구축의 개요 16
      • 2. 무상 대중교통 도입 전후 비교분석을 위한 분석 기준월 선정 17
      • 3. 화성시 행정구역별 버스 통행량 및 카드 매출액 변화량 분석 18
      • 4. 버스 통행량 및 카드 매출액 도입 전후 변화량 상관분석 22
      • 5. 행정구역별 버스 통행변화량과 카드 매출변화량 상관분석 25
      • 6. 상관분석 결과에 따른 통행-매출변화량 심층분석 27
      • 제4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42
      • 제1절 연구 요약 및 결론 42
      •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43
      • 참고문헌 45
      • 부록 46
      • Abstract 55
      • 감사의 글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