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산사태는 매년 7~9월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절취사면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인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695288
춘천 : 강원대학교, 2006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 토목공학과 , 2006. 8
2006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An assessment for effect of landslide on Maximum Continuous Rainfall usinf GIS
59p. 26cm
지도교수:양인태
참고문헌 :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매년 7~9월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절취사면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인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
우리나라의 산사태는 매년 7~9월 태풍 및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절취사면 붕괴 및 자연사면에서의 산사태로 인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논문에서는 산사태 유발인자와 강우조건을 고려하여 산사태 잠재가능성을 평가하고 산사태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발생가능성을 평가함으로써 산사태 피해예방은 물론 건설사업이나 토지이용과 같은 지역개발 계획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강우조건을 고려한 산사태 발생가능성도를 제작하였다. 산사태 연구를 위하여 DEM, 지질도, 토양도, 임상도를 이용하여, 각각의 지도로부터 이 연구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고 GIS의 공간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도를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산사태 취약성 평가에 사용된 자료는 정적자료들만을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산사태를 유발하는 원인은 정적요소보다 강우나 지표면의 변화와 같은 동적인 요소들의 영향이 더 직접적이라 볼 수 있으므로, 본 연구논문에서는 강우자료를 이용한 산사태 가능성 평가를 위하여 강원도 각 강우량 관측소의 Thiessen망을 구축하고, 각 구역에 1994년부터 2003년까지의 최대지속강우량에 의해 토성별 포화상태를 위한 수분량을 계산하여 산사태 취약성도와 중첩하여 산사태 발생 가능성도를 작성하였다. 그 다음 산사태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ndslide of Korea occurred from July to september when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is happened. So many casualties and loss of property are incurred. As we analyzed landslide possibility after considering landslide factors and rai...
The landslide of Korea occurred from July to september when typhoon and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is happened. So many casualties and loss of property are incurred. As we analyzed landslide possibility after considering landslide factors and rainfall condition, a vulnerable area and landslide possibility in this paper, we will provide it with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study, We made landslide possibility regarding rainfall condition. To study for landslide, We extracted information to study from DEM, a geological map, soil map, vegetation map and made landslide vulnerability map using GIS but we used static data for it. But, Landslide was influenced by dynamic factor than static factor. Therefore, We made thiessen in KANGWON-DO, gathered maximum continuous rainfall data from 1994 to 2003. We made landslide possibility map which was made by saturation map for soil and landslide vulnerability map. lastly, we verified landslide occurred area using landslide point dat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