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사교육의 문화주제 = 학습동기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의 문화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과도한 수준의 사교육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과의 인터뷰를 수행하고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유아 및 아동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① 딜레마 : 공부 vs놀이, ② 합리화 : “얘는 괜찮아”, “우리 애는 진짜 안 하는거야”, ③ 습관: “지금부터 잡아줘야지”, ④ 욕망 : 일체적 부모-자녀 관계와 보상심리 그리고 달콤한 우월감, ⑤ 경쟁: “○○보다 잘해야 해”로 표현되었다. 어머니의 ‘욕망’을 근원으로 하는 ‘경쟁’위주의 사교육은, 자녀에게 학업 ‘습관’을 들인다는 미명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놀이와 공부의 ‘딜레마’속에서 어린 자녀에게 가해지는 사교육에 대해 고민하지만, 우리 아이만은 괜찮다는 ‘합리화’를 통해 사교육을 지속한다. 학습자의 동기가 고려되지 않은 부모에 의한 과도한 사교육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자기결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의 문화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과도한 수준의 사교육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

      이 연구는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사교육의 문화주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과도한 수준의 사교육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 및 초기 아동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과의 인터뷰를 수행하고 관찰기록을 수집하였다. 유아 및 아동 사교육의 문화주제는 ① 딜레마 : 공부 vs놀이, ② 합리화 : “얘는 괜찮아”, “우리 애는 진짜 안 하는거야”, ③ 습관: “지금부터 잡아줘야지”, ④ 욕망 : 일체적 부모-자녀 관계와 보상심리 그리고 달콤한 우월감, ⑤ 경쟁: “○○보다 잘해야 해”로 표현되었다. 어머니의 ‘욕망’을 근원으로 하는 ‘경쟁’위주의 사교육은, 자녀에게 학업 ‘습관’을 들인다는 미명으로 행해지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놀이와 공부의 ‘딜레마’속에서 어린 자녀에게 가해지는 사교육에 대해 고민하지만, 우리 아이만은 괜찮다는 ‘합리화’를 통해 사교육을 지속한다. 학습자의 동기가 고려되지 않은 부모에 의한 과도한 사교육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자기결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Observational records,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mothers of children and loc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were ① Dilemma: “study vs play”, ② Rationalization : “My child is ok”, “My child does not study a lot”, ③ Habit: “cultivating a good habit from now on”, ④ Desire : “coessential parent-child relationship, compensation and self-glorification”, ⑤ Competition : “You must better than ○○”. Private tutoring of ‘competition’ based on mother’s ‘desire’ and ‘convience’ is enacted to form children’s ‘habit’. Mothers worry about the private tutoring of their children with `dilemma` of play and study, however they keep up with `rationalization` that my child is okay. Excessive private tutoring by parents could interfere the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of learner.
      번역하기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Observational records,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mothers of children and loc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Observational records, structured or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mothers of children and loc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cultural themes of private tutoring for children were ① Dilemma: “study vs play”, ② Rationalization : “My child is ok”, “My child does not study a lot”, ③ Habit: “cultivating a good habit from now on”, ④ Desire : “coessential parent-child relationship, compensation and self-glorification”, ⑤ Competition : “You must better than ○○”. Private tutoring of ‘competition’ based on mother’s ‘desire’ and ‘convience’ is enacted to form children’s ‘habit’. Mothers worry about the private tutoring of their children with `dilemma` of play and study, however they keep up with `rationalization` that my child is okay. Excessive private tutoring by parents could interfere the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of learn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