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문법 교육에서 ‘타동성’이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하위분류하는 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타동성이 관련 문법 개념을 매개하여 문법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89325
2016
Korean
문법 교육 ; 원리 ; 타동성 ; 타동사 ; 목적어 ; grammar education ; principle ; transitivity ; transitive verb ; object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71-97(27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문법 교육에서 ‘타동성’이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하위분류하는 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타동성이 관련 문법 개념을 매개하여 문법 이...
본고는 문법 교육에서 ‘타동성’이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하위분류하는 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문제를 제기하고, 타동성이 관련 문법 개념을 매개하여 문법 이해의 지평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교육 내용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역대 문법 교과서에서 타동성 담론을 어떤 방식으로 수용해 왔는지 검토하고, 아울러 교과서의 교수학적 재맥락화 과정을 매개한다고 볼 수 있는 국어문법서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국어 문법서들에는 타동성을 ‘목적어를 취하는 성질로 보는 관점’, ‘이행성으로 보는 관점’, ‘다른 것을 부리는 움직임으로 보는 관점’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문법 교과서에서는 ‘타동’이라는 용어를 아예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사의 하위 유형으로서 ‘타동사’를 설명하는 데 제시하는 정도였으며, 후자의 경우 타동성의 개념을 ‘목적어를 취하는 성질로 설명하는 방식’과 ‘이행성으로 설명하는 방식’이 교과서 개발자에 따라 자의적으로 선택되어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였다. 타동성을 이행성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도 이행성이 갖는 문법적 의미에 대한 언급 없이 소략히 다루어지고 있어, 학문적 지식이 적절한 교수학적 재맥락화를 거치지 않고 압축된 명제 형식으로 제시되는 문제가 확인되었다. 또한, 타동성을 정도성의 문제로 보는 관점이 누락되어 타동성 관련 담론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도 확인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타동성의 문법 교육 내용화 방향으로 ‘타동성을 매개로 한 문법 지식의 통합 및 이해의 지평 확장’을 제안하고 구체적 사례를 들어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aises the problems surrounding grammar education that limits the usage ‘transitivity’ into simply subcategorizing verbs. Moreover, it discusses the point that transitivity needs to be implemented in education in ways to expand and deep...
This study raises the problems surrounding grammar education that limits the usage ‘transitivity’ into simply subcategorizing verbs. Moreover, it discusses the point that transitivity needs to be implemented in education in ways to expand and deepen the perspective of grammar comprehension by mediating related grammar principles. For this, ways in which transitive discourse was dealt with in grammar textbooks were examined along with Korean grammar books that can be seen to mediate the didactical recontextualization process of textbooks.
As a result, it has been verified that transitivity in Korean grammar books is confusing and in grammar textbooks, the word ‘transitivity’ was either not used at all or even in cases that used it, it was merely used to describe ‘transitive verb’ as a subcategory of a verb. In the case of the latter, definition of transitivity was chosen arbitrarily between ‘perspective through requiring an object’ and ‘perspective through transitivity’ depending on the textbook developer and as a result showed perplexing aspects. Even in the cases of describing it through transitive properties, it is dealt so roughly without a mention of grammatical meaning behind transitivity so that problems of presenting academic knowledge in condensed preposition forms without appropriate didactical recontextualization were fou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perspective expansion on integration and comprehension of grammatical knowledge regarding transitivity as a medium and discussed with specific exampl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진수, "형태소의 ‘자립성’과 ‘의존성’에 대한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269-306, 2014
2 남기심,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3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3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개관, 음운, 형태, 통사-" 태학사 2015
5 이관희,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 연구" 서울대학교 2015
6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7 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박종훈, "텍스트의 기능적 분석과 그 국어교육적 의미 -동성(transitivity)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27-448, 2008
9 연재훈, "타동성의 정의를 위한 원형이론적 접근" 한국언어학회 22 (22): 107-132, 1997
10 이영준, "타동성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2 : 515-535, 2013
1 조진수, "형태소의 ‘자립성’과 ‘의존성’에 대한 학습자의 오개념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1 : 269-306, 2014
2 남기심, "현대 국어 통사론" 태학사 2001
3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3
4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개관, 음운, 형태, 통사-" 태학사 2015
5 이관희, "학습자의 지식 구성 분석을 통한 문법 교육 내용의 조직과 표상 연구" 서울대학교 2015
6 주세형, "학교 문법 다시 쓰기(2) - 숙련자의 탐구 방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26) : 283-320, 2008
7 남기심, "표준 국어 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박종훈, "텍스트의 기능적 분석과 그 국어교육적 의미 -동성(transitivity)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27-448, 2008
9 연재훈, "타동성의 정의를 위한 원형이론적 접근" 한국언어학회 22 (22): 107-132, 1997
10 이영준, "타동성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42 : 515-535, 2013
11 김종도, "타동성에 관한 문법이론의 견해들" 수원대학교 13 : 39-55, 1995
12 전지혜, "쟝-뽈 뒤샤또(Jean-Paul Duchateau)의 타동성의 기준-타동성 테스트, 표지, 기준의 체계화 시도(1998)의 번역" 16 (16): 107-133, 1998
13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4 김종도, "인지 문법의 타동성 모형" 수원대학교 14 : 15-34, 1996
15 Lyons, J., "의미론 2" 한국문화사 2013
16 구본관,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17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8 유길준, "역대한국문법대계 제1부 제1책" 탑출판사 1985
19 Jae, J. S., "언어유형론-형태론과 통사론-" 보고사 2009-, 2001
20 남가영, "문법교육의 ‘지식의 구조’ 체계화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23) : 341-374, 2007
21 남가영, "문법교육과 교과서" 한국어학회 57 : 1-34, 2012
22 김은성, "문법교육 내용의 표상체로서의 담화 - 문법교육 내용화 방안의 변화 모색을 위한 시론" 한국문법교육학회 16 : 83-110, 2012
23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4 Jespersen, O., "문법 철학" 한신문화사 1987
25 정지은, "문법 지식의 교수적 변환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높임법" 수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6 박영목, "독서와 문법 Ⅰ" 천재교육 2011
27 윤여탁, "독서와 문법 Ⅰ" 미래엔 2011
28 이남호, "독서와 문법 Ⅰ" 비상 2011
29 이삼형, "독서와 문법 Ⅰ" 지학사 2011
30 한철우, "독서와 문법" 교학사 2013
31 윤여탁, "독서와 문법" 미래엔 2013
32 이도영, "독서와 문법" 도서출판 창비 2013
33 이관규, "독서와 문법" 비상교육 2013
34 이삼형, "독서와 문법" 지학사 2013
35 박영목, "독서와 문법" 천재교육 2013
36 시정곤, "논항구조란 무엇인가" 월인 2000
37 제민경, "내러티브적 앎을 위한 문법 설명 텍스트 구성 방향 ― 실용 문법서의 내러티브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학회 (139) : 173-209, 2012
38 김광해, "국어지식탐구" 박이정 1999
39 김호정, "국어과 오개념 연구 방향 탐색"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211-238, 2009
40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41 우형식, "국어 타동구문 연구" 박이정 1996
42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43 왕문용, "국어 문법론의 이해" 개문사 1993
4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45 Bruner, J. S., "교육의 과정" 배영사 1973
4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91
47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1985
48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인적자원부 2002
49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고등학교 문법" 교육부 1996
50 이관규, "개정판 학교 문법론" 월인 2002
51 Hopper, P. J., "Transitivity in Grammar and Discourse" 56 (56): 251-299, 1980
52 Brousseau, G.,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2
53 Comrie, B., "Syntactic Typology: Studies in the Phenomenology of Language" University of Texas Press 1978
54 Tsunoda, T., "Remarks on transitivity" 21 : 385-396, 1985
55 Nӕss, Å., "Prototypical Transitivit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07
56 Dixon, R. M. W., "Ergativity" 55 : 59-138, 1979
57 Dixon, R. M. W., "Basic Linguistic Theory: Volume 2 Grammatical Top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58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Hodder Arnold 2004
59 최현배, "<깁고 고친> 우리말본" 정음사 1961
‘-다고’ 보문과 ‘-다는’ 보문을 연계한 완형보문 교육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72 | 1.376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