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암별 토양의 인공산성우 처리에 대한 완충능 = Soil Buffer Capacities from the Different Host Rocks by the Treatment of Artificial Acid Precipi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977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암별 풍화토양를 대상으로 대기오염 및 산성우에 대한 토양완충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산성우를 투입하여 용탈용액의 토양산도 및 화학성분의 변...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모암별 풍화토양를 대상으로 대기오염 및 산성우에 대한 토양완충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인공산성우를 투입하여 용탈용액의 토양산도 및 화학성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암별 풍화토양의 pH는 산성암이 풍화된 화강암토양 및 유문암토양은 pH 5.02 및 5.95이었고, 염기성암이 풍화된 반려암토양 및 현무암토양은 pH 6.52 및 7.57이었으며, 초염기성암이 풍화된 사문암토양은 광천 및 홍성사문암이 pH 8.90 및 8.89이었고, 석회암 풍화토양은 pH 7.84로 대부분 전형적인 모암별 풍화토양의 산도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2. 조제된 인공산성우를 500ml 처리한 후 토양완충능에 의한 pH의 평균변화는 화강암토양은 pH 5.0, 4.0 및 3.0 처리구에서 각각 pH 5.73(SD: 0.42), pH 5.00(0.12), pH 4.41(0.35)이었고, 유문암토양은 pH 6.19(0.15), pH 5.99(0.24), pH 5.57(0.46)이었다. 반려암토양은 pH 6.31(0.11), pH 6.04(0.21), pH 5.86(0.26)이었고, 현무암토양은 pH 7.02(0.24), pH 6.85(0.18), pH 6.56(0.33)이었다. 사문암토양은 광천 및 홍성사문암토양에서 각각 pH 8.31(0.14), pH 8.26(0.18), pH 7.71(0.52) 및 pH 8.29(0.30), pH 8.24(0.15), pH 7.96(0.31)이었고, 석회암토양은 pH 7.55(0.31), pH 7.46(0.20), pH 6.79(0.36)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화산암토양이 심성암토양 보다 완충용액의 pH가 높았으며, 산성암인 화강암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해 산성용액에 대한 반응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인공산성우를 pH 수준별로 처리한 후 100ml씩 첨가하여 수집된 토양용탈용액의 pH 는 인공산성우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전체 토양에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4. 모암별 풍화토양의 화학성분은 양이온함량, CEC, 전기전도도 및 전질소함량는 화산암인 유문암토양과 현무암토양이 심성암인 화강암토양과 반려암토양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인산 함량은 인회석의 함유량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유문암토양과 반려암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A1 함량은 심성암인 화강암토양과 반려암토양에서 높았는데, 이는 화강암의 경우 높은 석영 함량에 의하여, 반려암토양에서는 흑운모와 사장석내 함유된 A1의 영향으로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investigate the weathering soil buffering capacities of the artificial acidic precipitation, the weathering soils and their leachate solutions were sampled from the host rocks (granite:GR, rhyolite:RH, gabbro:GA, basalt:BA, two serpentmite as Kwang...

      To investigate the weathering soil buffering capacities of the artificial acidic precipitation, the weathering soils and their leachate solutions were sampled from the host rocks (granite:GR, rhyolite:RH, gabbro:GA, basalt:BA, two serpentmite as Kwangcheon:SE1, Hongseong:SE2 and limestone:LI distributed in Korea) and analyzed for pH and chemical properties. In the soil pH of the GR and RH, the acidic rocks, were 50.2 and 5.95, respectively. And the GA and BA, basic rocks, were 6.52 and 7.57. The SE1 and SE2 were 8.90 and 8.89. White the LI was 7.84. These results means the typical soil pH properties by host rocks. After the artifical acidic precipication input 500ml, the average change of soil leachate solutions treated by pH levels(pH 5.0, 4.0 and 3.0), were pH 5.73(SD: 0.42), pH 5.00(0.12) an pH 4.40(0.35), respectively, in the GR soil, and pH 6.19(0.15), 5.99(0.24) and 5.57(0.46) in the RH. The GA were pH 6.31(0.11), 6.04(0.21) and 5.86(0.26), the BA were pH 7.05(0.24), 6.85(0.18) and 6.56(0.33) and the SE1 were pH 8.31(0.14), 8.26(0.18) and 7.71(0.52). As well as the SE2 were pH 8.29(0.30), 8.24(0.15) and 7.96(0.31). The LI were pH 7.55(0.31), 7.46(0.20) and 6.79(0.36).
      The soil leachate pHs from volcanic rocks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plutonic rocks and the GR soil showed greater response than other soils. With increasing 100ml each input-solution. the soil leachate pHs were mainly decreased. The cation concentrations, CEC, EC and total nitrogen concentrations of the RH and BA soils, the volcanic rock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 and GA soil, the plutonic rocks. On the contrary, the A1 concentrations of the GR and GA soi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RH and BA soils, partly because of high quartz content in the GR and A1 content in thr biotite and plagioclase in the G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