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냉전시대 동아시아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네트워크’ 구축 =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11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냉전시대 미국학 확산과 관련된 한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형성된 동아시아 지역 知的 네트워크의 규명에 일조하는 데 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문화교류를 통해 상대국이 자발적으로 우호적인 미국관을 유지하는 단계, 이른바 ‘自助 단계’에 도달하기를 원했다. 이 단계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하는 주요한 척도는 고등교육 과정에 ‘미국학’(American Studies)의 정착 여부였다. 1960년대 주한 미공보원과 주한 미국교육위원단은 미국학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을 일본의 미국학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참여시켰다. 그러나 이는 ‘미-일-한’ 삼국 간의 위계적인 관계 수립으로 귀결되지 않았다.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편입되는데 자족하지 않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미국학 확산을 통해 한국을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 문화적 헤게모니 구축에 일익을 담당하는 국가로 배치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냉전시대 미국학 확산과 관련된 한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형성된 동아시아 지역 知的 네트워크의 규명에 일조하는 데 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문화...

      이 글의 목적은 냉전시대 미국학 확산과 관련된 한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형성된 동아시아 지역 知的 네트워크의 규명에 일조하는 데 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문화교류를 통해 상대국이 자발적으로 우호적인 미국관을 유지하는 단계, 이른바 ‘自助 단계’에 도달하기를 원했다. 이 단계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하는 주요한 척도는 고등교육 과정에 ‘미국학’(American Studies)의 정착 여부였다. 1960년대 주한 미공보원과 주한 미국교육위원단은 미국학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을 일본의 미국학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참여시켰다. 그러나 이는 ‘미-일-한’ 삼국 간의 위계적인 관계 수립으로 귀결되지 않았다.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편입되는데 자족하지 않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미국학 확산을 통해 한국을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 문화적 헤게모니 구축에 일익을 담당하는 국가로 배치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network in the East Asian region form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government by analyzing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U.S. government wanted other countries to reach the so-called self-help stage, whereby these countries would voluntarily establish and maintain a favorable view of the U.S. through cultural exchange.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a country had reached this stage was the inclusion of an American Studies course in its higher education curriculum. During the 1960s, USIS Korea actively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and had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Korea participate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led by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Japan. However, this did no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U.S., Japan, and Korea. This was because Korean researchers did not simply participate passively in the Japan-centered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Instead, they tried to lead the creation of a new network. Therefore, the American Studies policy implemented by the U.S. government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can be seen as an exemplary successful case of the hegemony policy that the U.S. wanted to establish through cultural exchan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network in the East Asian region form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government by analyzing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network in the East Asian region form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government by analyzing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U.S. government wanted other countries to reach the so-called self-help stage, whereby these countries would voluntarily establish and maintain a favorable view of the U.S. through cultural exchange.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a country had reached this stage was the inclusion of an American Studies course in its higher education curriculum. During the 1960s, USIS Korea actively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and had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Korea participate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led by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Japan. However, this did no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U.S., Japan, and Korea. This was because Korean researchers did not simply participate passively in the Japan-centered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Instead, they tried to lead the creation of a new network. Therefore, the American Studies policy implemented by the U.S. government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can be seen as an exemplary successful case of the hegemony policy that the U.S. wanted to establish through cultural ex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미국 정부의 미국학 대외 확산 정책
      • Ⅲ. 주한 미공보원의 개입과 한국의 미국학 도입
      • Ⅳ.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과 미국 정부의 지향
      • Ⅴ. 나가며
      • Ⅰ. 머리말
      • Ⅱ. 미국 정부의 미국학 대외 확산 정책
      • Ⅲ. 주한 미공보원의 개입과 한국의 미국학 도입
      • Ⅳ. 지역 네트워크의 구축과 미국 정부의 지향
      • Ⅴ.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권, "한국에서의미국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2 이보형, "한국아메리카학회의동향" 2 : 1967

      3 이보형, "한국아메리카학회와나" 23 : 1991

      4 정문상, "포드재단(Ford Foundation)과 동아시아 ‘냉전지식’ -한국과 중화민국의 중국근현대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179-201, 2014

      5 김경일, "전후미국에서지역연구의성립과발전" 5 (5): 1996

      6 김용권, "미국학의교육과정" 4 (4): 1969

      7 金容權, "미국학과더불어30년" 23 : 1991

      8 Jacob Canter, "미국의“문화수출”" 6 (6): 1970

      9 우린춘, "문화냉전과아시아" 소명출판 2012

      10 브루스커밍스, "대학과제국" 당대 2004

      1 김용권, "한국에서의미국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2 이보형, "한국아메리카학회의동향" 2 : 1967

      3 이보형, "한국아메리카학회와나" 23 : 1991

      4 정문상, "포드재단(Ford Foundation)과 동아시아 ‘냉전지식’ -한국과 중화민국의 중국근현대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179-201, 2014

      5 김경일, "전후미국에서지역연구의성립과발전" 5 (5): 1996

      6 김용권, "미국학의교육과정" 4 (4): 1969

      7 金容權, "미국학과더불어30년" 23 : 1991

      8 Jacob Canter, "미국의“문화수출”" 6 (6): 1970

      9 우린춘, "문화냉전과아시아" 소명출판 2012

      10 브루스커밍스, "대학과제국" 당대 2004

      11 황동연, "냉전시기 미국의 지역연구와 아시아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33) : 15-56, 2011

      12 임성모, "냉전과 대중사회 담론의 외연:미국 근대화론의 한⋅일 이식" 일본학연구소 (26) : 239-264, 2015

      13 김용권, "김용권선생을찾아서" (10) : 2001

      14 金榮禎, "경도아메리카연구하기세미나보고" 5 : 1970

      15 松田武, "対米依存の起源" 岩波書店 2015

      16 山本正, "前後日米關係とフィランソロピー" ミネルヴア書房 2008

      17 財団法人國際文化會館, "前後日本の‘アメリカ硏究セミナー’の步み"

      18 松田武, "前後日本におけるアメリカのソフトパワー半永久的依存の基源" 岩波書店 2008

      19 メリル, "京都アメリカ硏究夏期セミナーと人と思想の國際的交流" (8) : 1972

      20 Giles Scott-Smith, "The Politics of Apolitical Culture – The Congress for Cultural Freedom the CIA and post-war American hegemony" Routledge 2002

      21 Han Tie, "The Hegemonic Vision of the Ford Foundation and the Sucess of Its China Program" The TOHO GAKKAI 2013

      22 Nicholas J. Cull, "The Cold War and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23 Noam Chomsky, "The Cold War & The University" The New Press 1997

      24 Nils Gilman, "Mandarins of The Future–Modernization Theory in Cold War Americ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25 Harry Harootunian, "History’s Disquie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26 Robert E. Spiller, "American Studies Abroad: Culture and Foreign Policy" 366 : 366-, 1966

      27 Robert H. Waker, "American Studies Abroad" Greenwood Press 1975

      28 Philip M. Chen, "American Changing Role in the 70’s –Proceedings Tamkang American Studies Conference 1972" Tamkang College of Arts & Science 1972

      29 Hamachita Takeshi, "American Academic Policy on Asian Studies during the Cold War:A Geo-Academic Map of China Studies in Cross-Pacific Regions" The TOHO GAKKAI 2013

      30 황동연, "21세기전야미국지역연구의운명" 6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