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성남시 청년배당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시행됐는지를 이재명 시장의 당파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청년배당은 유례없는 청년실업난 속에 나온 청년 정책이자 기본소득을 목표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11456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102(5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성남시 청년배당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시행됐는지를 이재명 시장의 당파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청년배당은 유례없는 청년실업난 속에 나온 청년 정책이자 기본소득을 목표로 ...
이 논문은 성남시 청년배당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시행됐는지를 이재명 시장의 당파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청년배당은 유례없는 청년실업난 속에 나온 청년 정책이자 기본소득을 목표로 하는 보편적 복지정책이다. 성남시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청년배당을 받을 수 있다. 그동안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정책이 일자리대책에 머물렀다면, 청년배당은 청년을 복지의 대상으로 바라본다. 이 같은 정책이 중앙정부가 아닌 지방정부, 그것도 기초지자체에서 가능했던 것은 이재명 시장의 선명한 당파성 때문이다. 이재명 시장은 진보 성향의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특히 복지에 대한 철학과 의지가 확고하다. 이는 진보・좌파 정당이 보수 정당에 비해 복지・재분배에 관심이 많다는 당파성 이론(Dye 1984; Bradley 외 2003)에 잘 부합한다. 이러한 접근은 지금까지 지방정부의 복지 정책을 사회경제적・재정적 요인의 산물로 봐온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달리한다. 청년 실업은 전국적 현상으로 청년 정책에 대한 수요는 성남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성남시에서 이 같은 정책이 등장한 것은 이재명 시장이 청년 실업을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한 문제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증세 없이 정책 재원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예산을 우선적으로 배분했기에 가능했다. 단체장의 의지와 철학은 중앙정부와의 갈등을 극복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다. 중앙집권적 구조 및 제도에서 중앙정부는 지방정부 단체장의 당파성을 제약할 수 있는 주요 거부세력이다. 특히 복지 분야는 사회보장기본법을 통해 지자체가 새로운 복지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지부와 협의할 것을 요구한다. 이재명 시장은 헌법이 보장한 지방정부의 자치권을 주장하며 중앙정부의 제약에 맞섰다. 중앙정부와 법적 분쟁은 해결해야 할 문제지만, 청년배당은 그간 지방정부 복지에서 소홀히 다뤄진 당파성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youth dividend policy of Seongnam is made and executed. Lee Jae-myeong, a mayor of Seongnam City who belongs to Democratic Party (the Minju) has strong partisanship. Specially he stands firm in his philosophy of welfare,...
This research analyzes how the youth dividend policy of Seongnam is made and executed. Lee Jae-myeong, a mayor of Seongnam City who belongs to Democratic Party (the Minju) has strong partisanship. Specially he stands firm in his philosophy of welfare, which corresponds to partisan theory. In partisan theory, a progress/left party has more interest in welfare and redistribution than a conservative party. This paper assumes that mayor Lee’s partisanship is a determinant in the youth dividend.
The youth dividend comes amid an unprecedented youth unemployment crisis. It is the first youth income security program and also a universal welfare policy aimed at basic income. While the youth policy has been within the scope of the employment policy so far, the youth dividend of Seongnam City regards youth as the object of welfare. It’s because Mayor Lee judged the young generation as a structural weakness.
This paper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on local government welfare policies which emphasized socioeconom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Youth unemployment was a national phenomenon. The demand for youth policies is not limited to the city of Seongnam.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policy like this appears in Seongnam City is because mayor Lee judged that the Government’s role was absolutely necessary to solve the youth unemployment. His thoughts have given priority to the youth dividend among government’s policies. Therefore Seongnam City has been able to finance the new policy without raising taxes.
The will and philosophies of mayor Lee have also played a major role in overcoming conflict with the central government. In central governance, the central government is a major veto point that restricts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welfare sector requires the local government to consult with the Ministry of Health when it comes to providing new welfare policies. Despite of this backdrop the Mayor Lee is sticking to his policy, arguing that the Constitution guarantees autonomy of the local govern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겨레신문, "행자부도 ‘지역 복지자치’ 발목잡기"
2 박상훈, "한국의유권자는지역주의에의해투표하나: 16대총선의사례" 35 (35): 113-134, 2001
3 김미혜, "한국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1-21, 2003
4 이내영,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 10 (10): 251-287, 2011
5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51-177, 2010
6 김유선, "특집: 청년고용문제의 해법 찾기; 청년 고용실태와대책" (184) : 10-25, 2015
7 중앙일보, "최경환 “현금 지급 포퓰리즘 정책, 패널티 부과해서라도 방지”"
8 머니투데이, "지자체 복지제도 신설 … 복지부 ‘동의’ 없이 불가능"
9 김승연, "지역 권력구조가 기초 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63-88, 2013
10 최정열, "지방정부의 정치적 이념과 정책선호: 개발정책과 복지정책에 대한 영향 비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99-125, 2014
1 한겨레신문, "행자부도 ‘지역 복지자치’ 발목잡기"
2 박상훈, "한국의유권자는지역주의에의해투표하나: 16대총선의사례" 35 (35): 113-134, 2001
3 김미혜, "한국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19 (19): 1-21, 2003
4 이내영, "한국사회 이념갈등의 원인: 국민들의 양극화인가, 정치엘리트들의 양극화인가?" 한국정당학회 10 (10): 251-287, 2011
5 서상범,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참여정부」의 분권교부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151-177, 2010
6 김유선, "특집: 청년고용문제의 해법 찾기; 청년 고용실태와대책" (184) : 10-25, 2015
7 중앙일보, "최경환 “현금 지급 포퓰리즘 정책, 패널티 부과해서라도 방지”"
8 머니투데이, "지자체 복지제도 신설 … 복지부 ‘동의’ 없이 불가능"
9 김승연, "지역 권력구조가 기초 지방정부의 사회복지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63-88, 2013
10 최정열, "지방정부의 정치적 이념과 정책선호: 개발정책과 복지정책에 대한 영향 비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8 (28): 99-125, 2014
11 진재문, "지방정부의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연구: 1995~2003년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5-30, 2006
12 김범수, "지방정부 복지지출에 미치는 정당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 48 (48): 57-78, 2014
13 유진숙, "지방정부 복지정책과 정당: 학교급식정책 사례" 한국정치학회 49 (49): 363-390, 2015
14 정상호, "지방정부 ‘구조’와 지방정치 ‘갈등’의 관계에 대한 연구" 비판사회학회 (90) : 70-102, 2011
15 "지방재정365"
16 정원희,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경기도의 무상급식 갈등사례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39-66, 2013
17 이재완,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수준의결정요인 분석 : 1995-2005"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1) : 105-124, 2007
18 최철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권한관계와 법적 과제" 한국법정책학회 13 (13): 9-40, 2013
19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포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0대 정책(정당명 : 한나라당)"
20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정보포탈,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0대 정책(정당명 : 민주당)"
21 성남시, "제215회성남시의회제2차정례회시정연설"
22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23 박찬표, "제17대 국회의 정당 경쟁 구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5-40, 2008
24 이한수, "정부구성과 입법 효율성: 분점정부가 입법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76-208, 2012
25 한겨레21, "자본주의보완하려면 기본소득 정책으로"
26 시사인, "이재명이라는 빛과 그림자"
27 한겨레신문, "이재명성남시장‘무상복지다툼’ 헌재서직접변론"
28 프레시안, "이재명“청년배당, 걱정마. 성남이한다”"
29 오마이뉴스, "이재명 “무상복지는공짜 아닌 세금돌려 받는 것”"
30 아시아경제, "이낙연 의원, 상위 1% 대기업 70%가 수도권 집중"
31 용인시, "용인시예산기준재정공시"
32 이재명, "오직민주주의, 꼬리를잡아몸통을흔들다" 리북 2014
33 연합뉴스, "예산안 일문일답 … “지출규모보다 내역에 칼 댄다”"
34 성남시, "시장 기자회견문: 청년배당, 박근혜 정부의 정택 채택을 제안합니다"
35 성남시, "시민세금강탈하는정부규탄한다. 성남범시민대책위‘시동’"
36 류성민, "성남시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성남시 2015
37 성남시, "성남시청년배당실행방안연구" 성남시정책기획과 2015
38 "성남시의회"
39 성남시, "성남시, 2017년첫청년배당지급개시"
40 경기신문, "성남, 3년6개월만 모라토리엄 ‘탈출’"
41 Yin, Robert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42 김승연, "복지수요, 재정능력, 정치적 관계가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위임복지 및 자율복지 지출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43 뉴시스, "복지부, 청년수당 예산 서울시・성남시에 재의 요구"
44 연합뉴스, "복지부, 성남시 ‘청년배당’도 불수용 통보(종합)"
45 김태성, "복지국가론" 파주 2014
46 성남시, "보도자료: 위헌적・위법적청년배당불수용, 법적투쟁할것"
47 성남시, "보도자료: 성남판무상복지시리즈의끝은어디인가?"
48 성남시, "보도자료: 성남시청년배당지급조례, 시의회본회의통과"
49 성남시, "보도자료: 성남시, ‘3대무상복지’ 유보금일괄지급"
50 최장집, "민주화이후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02
51 중앙일보, "민주당 강령에 북 인권 명시 추진"
52 CBS, "민주 “진보색채 강화” 새 강령 확정"
53 성남시, "민선6기취임1주년성남시민께드리는글: 꼬리를잡아몸통을흔드는도전, 멈추지않겠습니다"
54 임윤서, "무상급식논쟁을 통해본 보수의 담론ㆍ진보의 담론: 신문 미디어의 프레이밍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5 (45): 251-279, 2011
55 김경호, "논문: 지방분권체제하의 지방정부사회복지비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9 (9): 281-302, 2003
56 뉴시스, "김무성 “이재명 청년배당, 악마의 속삭임”"
57 장동호, "기초지방정부 사회복지비 지출비중의 변화요인 탐색"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329-351, 2007
58 김지윤, "기초자치단체에서 사회복지비 지출의 정치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9 (19): 39-71, 2013
59 고혜진, "기초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 자체사업 지출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1-34, 2014
60 성남시, "기자회견전문: 공약을지키겠습니다… 3대무상복지정책전면시행"
61 Raventos, Daniel, "기본소득이란무엇인가" 책담 2016
62 이명현, "기본소득: 규범과 경험의 정책 과학적 분석 - 청년배당 지급조례 논의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8 (68): 119-141, 2016
63 뉴스1, "글로벌기업육성지역편중심각…서울수도권108개vs 강원1개선정"
64 조성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 입법, 사무권한 및 재원의 배분" 한국공법학회 36 (36): 33-70, 2007
65 "국가법령정보센터"
66 뉴스1, "경기도, 3대복지예산 재의거부 성남시 대법원에 제소(종합)"
67 한겨레21, "강렬한 복지의 첫 경험"
68 이투데이, "野신당 ‘새정치민주연합’, 우클릭으로 중도층 흡수 … 26일 창당"
69 연합뉴스, "朴대통령“포퓰리즘법안, 모두에부담… 폐해소상히알려야”"
70 폴리뉴스, "[전문]이재명성남시장인터뷰“지방정부가중앙정부보다효율적이고 낭비요소 적어, 지방정부 시정권한 확대 필요”"
71 Schmidt, Manfred G, "When parties matter: A review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partisan influence on public policy" 30 (30): 155-183, 1996
72 Castles, F. G., "The impact of parties:Politics and policies in democratic capitalist states" Sage Publications 21-96, 1982
73 Schmidt, Manfred G, "The Welfare State and the Economy in Periods of Economic Crisis: A Comparative Study of Twenty‐three OECD Nations" 11 (11): 1-26, 1983
74 Castles, F. G., "The Impact of parties: politics and policies in democratic capitalist states" Sage Publications 1982
75 Hedström, Peter, "Social Mechanisms: An Analytical Approach to Social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1, 1998
76 Allan, James P., "Political partisanship and welfare state reform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ies" 48 (48): 496-512, 2004
77 Hibbs, D. A, "Political parties and macroeconomic policy" 71 (71): 1467-1487, 1977
78 Dye, Thomas R, "Party and Policy in the States" 46 (46): 1097-1116, 1984
79 Hibbs, D. A, "Partisan theory after fifteen years" 8 (8): 361-373, 1992
80 Hicks, Alexander, "On the Political Economy of Welfare Expans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18 Advanced Capitalist Democracies, 1960-1971" 17 (17): 81-119, 1984
81 Bradley, David, "Distribution and redistribution in postindustrial democracies" 55 (55): 193-228, 2003
82 성남시, "2017 예산편성기자회견문: 복지는시민의권리, 성남은합니다"
83 통계청, "2016년2월고용동향"
84 성남시, "2016년 성남시 예산기준 재정공시"
85 한국고용정보원, "2015 시도별청년고용현황" 한국고용정보원고용정보분석팀
86 더불어민주당 공약자료실, "19대 총선 공약집"
냉전시대 동아시아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네트워크’ 구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 ![]()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6 | 1.013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