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475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올바른 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를 제시하기위해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외국인 이주...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올바른 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를 제시하기위해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의견’,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 ‘한국인으로 인정받는데 대한 인식’, ‘단일 민족과 다민족에 대한 인식’, ‘사회적 갈등에 대한 의견’, ‘정부정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정책, 경제, 사회, 문화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다문화 가정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① 정책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정치, 교육, 국제적 지위, 저출산 문제 해결, 이민정책, 의료문제 개선 등 한국사회의 정책부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② 경제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한국의 일자리, 가정경제, 관광산업, 근로환경 개선, 의식주 서비스 등 한국사회의 경제부문에 영향을 미친다. ③ 사회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사회적 거리감, 가치관, 사회의 인식 변화, 언어, 종교, 고려사회 문제해결 등 한국사회의 사회부문에 영향을 미친다. ④ 문화부문에 미치는 것은 다문화 가정이 결혼문화, 전통문화, 선거문화, 타문화에 대한 이해, 문화적 교류, 한류 등 한국사회의 문화부문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incidence of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s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increasing and will continue to do so, Korea society has to prepare actively for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an ational point of vie...

      Recently, the incidence of international marriage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As multi-cultural families are also increasing and will continue to do so, Korea society has to prepare actively for a multi-cultural society from an ational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arious factors via which the multi-cultural family influences Korea society, in order to prepare the correct polici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ffect of these factor son Korea society:' the view of foreign immigrant's,'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perceptions about taking recognition to be a Korean','view of homo geneous nation and a multinational nation','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category in the influ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n societ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Second, the economical category was affected by 'views of foreign immigrants',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Third, the social categor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perceptions about taking recognition to be a Korean',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Fourth, the cultural category was affected by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y', 'opinions about social conflicts', and 'perceptions about government policies'(p<.05).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서 론
      • Ⅱ.이론적 배경
      • Ⅲ.연구방법
      • Ⅳ.연구결과
      • 국문요약
      • Ⅰ.서 론
      • Ⅱ.이론적 배경
      • Ⅲ.연구방법
      • Ⅳ.연구결과
      • Ⅴ.결론 및 함의
      • 참고문헌
      • Abstra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혼인통계결과"

      2 최협,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아카데미 2005

      3 박정화, "한국의 다인종 사회 진입에 따른 정치적 함의- 국 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최유진,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 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조사연구"

      6 강신임,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1999

      7 은숙 리 자엘펠더, "한국사회와 다 문화 가족" 양서원 2007

      8 장신근, "평화교육으로서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공교회적 접 근을 중심으로 in: 평화와기독교 교육"

      9 정지영,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아동의 특성 및 교사의 교육 적 갈등연구" 창원대학교대학원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자녀 교육지원 대책" 교육과 학기술부 2006

      1 통계청, "혼인통계결과"

      2 최협,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아카데미 2005

      3 박정화, "한국의 다인종 사회 진입에 따른 정치적 함의- 국 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최유진, "한국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황정미, "한국사회의 다민 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조사연구"

      6 강신임,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와 교육의 과제" 1999

      7 은숙 리 자엘펠더, "한국사회와 다 문화 가족" 양서원 2007

      8 장신근, "평화교육으로서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공교회적 접 근을 중심으로 in: 평화와기독교 교육"

      9 정지영, "초등학교 다문화 가정 아동의 특성 및 교사의 교육 적 갈등연구" 창원대학교대학원 2008

      10 교육과학기술부, "자녀 교육지원 대책" 교육과 학기술부 2006

      11 홉스테드, "세계의 문화와 조직" 학지사 2001

      12 김경자, "문화 가정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적응"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3 김이선, "다민족․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구축(Ⅰ):한국사회의 수용 현실과 정책 과제"

      14 홍기원,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문화적 지원방안 연구"

      15 이순태, "다문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외국인의 출입국 및 거 주에 관한 법제연구"

      16 김범수, "다문화사회복지론" 양서원 2007

      17 조혜영, "다문화가족 자녀 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 연구"

      18 신혜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9 이영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20 정하성, "다문화 청소년 이해론" 양서원 2007

      21 박효섭, "다문화 가정을 통해서 본 다문화 교육의 현실과 가 능성: 아시아 공동체 학교를 중심으로" 2006

      22 서혁, "다문화 가정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지원방안 in: 인간 연구"

      23 황범주,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 분석" 안양대학교 대학원 2008

      24 임진숙,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5 권수진, "다문화 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비교"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26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27 박지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권보호를 위한 법적 방안 연구" 이화여자 대학교대학원 2008

      28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 방안"

      29 보건복지부,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 원 정책 방안"

      30 임경혜,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 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31 Henderson, George, "Cultural Diversity in the Workplace. Issues and strategies" Praeger Publishers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4 0.83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