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이후 남북관계는 6・25전쟁을 겪은 적대적인 관계로부터 남북상호방문, 경제협력 나아가 교류협력의 중단까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왔다. 남북관계의 전개과정은 남북한 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1945년 이후 남북관계는 6・25전쟁을 겪은 적대적인 관계로부터 남북상호방문, 경제협력 나아가 교류협력의 중단까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왔다. 남북관계의 전개과정은 남북한 각...
1945년 이후 남북관계는 6・25전쟁을 겪은 적대적인 관계로부터 남북상호방문, 경제협력 나아가 교류협력의 중단까지 매우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되어 왔다. 남북관계의 전개과정은 남북한 각자의 내부결속 내지 정권유지와 같은 정치적, 경제적 및 외교적 필요 등 다양한 궤적이다.
남북 간에 체결된 합의서 중 가장 중요한 합의서가 “남북기본합의서”인데, 이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성질에 관하여는 종래부터 주로 조약, 신사협정, 그리고 국내법이론과 그 해석론에 연동시켜서 어느 정도 고착화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직화된 검토만으로는 실제 실시간으로 변해가는 남북한 간에 벌어지는 현상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래지향적인 역사를 창조할 수 없다.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성질을 논함에 있어서, 기존 남북한 공히 자기 측의 법질서와 해석만을 고집해서는 결코 통일로 나아갈 수 없으며, 오히려 현 분단상황을 고착시키거나 과거로 후퇴할 뿐이다.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성질을 미래지향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이질적인 남북한 간의 법체계를 비롯하여 남북한의 정치적, 경제적, 외교적 문제 등 제 요소들을 비롯하여, 분단 후는 물론 분단 이전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국민”의 역사까지도 포괄적으로 고려하는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분단국가 간의 합의는 분단의 역사와 법과 정치의 교차영역이다. 따라서 분단국 각자 자기 측의 법질서를 양보 내지 초월하고, 경우에 따라서 새로운 통일국가의 이념을 구현하는 법질서를 창설하는 것이 오히려 바람직할 수도 있다. 나아가 대북정책이나 통일문제를 조선왕조의 영토를 역사적으로 승계한 한반도에만 한정하여 논의하는 관례에서 벗어나서, 과감하게 세계질서와 인류문화를 의식하면서 남북관계와 통일문제를 세계화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기본합의서와 그 법적성질에 관한 논의를 고찰하고, 이러한 논의를 함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제 요소들을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1945, inter-Korean relations have developed in a wide variety, from hostile relations to inter-Korean visits,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suspens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Korean relations is a variety of...
Since 1945, inter-Korean relations have developed in a wide variety, from hostile relations to inter-Korean visits, economic cooperation, and the suspens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ter-Korean relations is a variety of trajectories, such as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needs, such as internal solidarity or maintenance of the regime of the two Koreas.
The most important agreement among the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the two Koreas is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and the legal nature of this inter-Korean basic agreement has been fixed to some extent in connection with treaties, gentleman agreements, domestic legal order and interpretation theory. This rigid review alone does not properly reflect the phenomena occurring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are changing in real time, and cannot create a future-oriented history.
In discussing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both Koreas can never move toward unification by sticking to their own legal order and interpretation, but rather strengthens the current division situation and retreats to the state of the past.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legal nature of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in a future-oriented manner, it is necessary to have an open attitude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history of “the people of Korea, proud of a resplendent history and traditions dating from time immemoria” after and before the division, including the specificity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heterogeneous legal system between the two Koreas, political, economic, and diplomatic issues between the two Koreas.
The agreement between the divided countries is an intersection of the history of division and law and politics. Therefore, it may be rather desirable for each divided country to yield or transcend its own legal order and, in some cases, to create a legal order that embodies the ideology of a new unified state.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globalize inter-Korean relations and unification issues while being conscious of the world order and human culture, breaking away from the custom of discussing North Korea policy or unification issues only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has historically inherited the territory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discussions on the basic inter-Korean agreement and its legal nature were considered, and the elements to be considered from a future-oriented perspective were reviewed in this discussion.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CCU) 현황과 법제도적 과제
개인정보 보호법과 가명정보 및 가명처리에 관한 헌법적 검토 - 헌법재판소 2023. 10. 26. 선고 2020헌마1476 결정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