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화 사회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노인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 Changing of Paradigm of Educational Gerontology for Successful Aging on the Aging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136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 is going to make rapid aging society and make slow social response. Aging i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 and world wide agenda. Aging problem of Korea society in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 rise of average age, reduce of production population, ascend of cost for servicing of older adults, sudden increase of aging index, rapidly increase of super aging population.
      Successful aging is major theme in aging society and New Geront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for successful aging. As a result, this paper provides as follows:
      First, older adult is to be a core generation in aging society. Second, Socioeconomic role of older adults will be changed and they will be initiative prosumer, and society should be needed strategy of adult education for successful aging. Third, new paradigm 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will be formed and successful aging is going to be a major issue on this. Last, the developmental stage theory will be modified for super aging society.
      번역하기

      Korea is going to make rapid aging society and make slow social response. Aging i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 and world wide agenda. Aging problem of Korea society in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 rise of average age,...

      Korea is going to make rapid aging society and make slow social response. Aging i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 and world wide agenda. Aging problem of Korea society in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a rise of average age, reduce of production population, ascend of cost for servicing of older adults, sudden increase of aging index, rapidly increase of super aging population.
      Successful aging is major theme in aging society and New Gerontolog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older adults for successful aging. As a result, this paper provides as follows:
      First, older adult is to be a core generation in aging society. Second, Socioeconomic role of older adults will be changed and they will be initiative prosumer, and society should be needed strategy of adult education for successful aging. Third, new paradigm 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will be formed and successful aging is going to be a major issue on this. Last, the developmental stage theory will be modified for super aging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빨라지고 사회적 대응은 늦다. 고령화문제는 국가 정책적 주요현안 문제이며 세계적인 문제이다.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사회의 고령화 문제는 중위연령의 상승, 생산인구의 감소, 노인부양비 상승, 고령화지수의 급증, 초고령 노인의 급증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고령사회의 문제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은 신노년학의 중심적인 연구 과제이다. 성공적인 노화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과 공통점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노화에 관련된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노령사회의 사회인구학적 환경은 노인이 사회의 중요한 한축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2020년 이후에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사회적 주류가 되고 잠재적 인력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 전략과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동시에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정책이 다각도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래의 고령사회에서의 노인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소비적 인구집단임과 동시에 생산적 인구집단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감당하는 주도적인 프로슈머(Prosumer) 가 될 것이다. 셋째, 고령사회에서는 노인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성공적인 노화가 노인을 위한 성인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될 것이다. 넷째,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발달단계별 노인교육의 영역을 새롭게 탐색하는 학문적 노력이 이루어질 것이다. 기존의 발달이론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60세 전후로 보는 전제에서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새로운 노년세대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노인 발달 이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노인교육이론이 생성될 것이다.
      번역하기

      한국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빨라지고 사회적 대응은 늦다. 고령화문제는 국가 정책적 주요현안 문제이며 세계적인 문제이다.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사회의 고령화 문제는 중위연령...

      한국사회의 고령화 속도는 빨라지고 사회적 대응은 늦다. 고령화문제는 국가 정책적 주요현안 문제이며 세계적인 문제이다. 인구사회학적 측면에서 본 한국사회의 고령화 문제는 중위연령의 상승, 생산인구의 감소, 노인부양비 상승, 고령화지수의 급증, 초고령 노인의 급증 등으로 요약된다. 이러한 고령사회의 문제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은 신노년학의 중심적인 연구 과제이다. 성공적인 노화에 관련된 변인에 대한 학자들의 주장과 공통점을 분석하고 성공적인 노화에 관련된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노령사회의 사회인구학적 환경은 노인이 사회의 중요한 한축이 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2020년 이후에는 65세 이상의 노인이 사회적 주류가 되고 잠재적 인력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 전략과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동시에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할 정책이 다각도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미래의 고령사회에서의 노인은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소비적 인구집단임과 동시에 생산적 인구집단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감당하는 주도적인 프로슈머(Prosumer) 가 될 것이다. 셋째, 고령사회에서는 노인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성공적인 노화가 노인을 위한 성인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각될 것이다. 넷째, 초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발달단계별 노인교육의 영역을 새롭게 탐색하는 학문적 노력이 이루어질 것이다. 기존의 발달이론은 인간의 평균수명을 60세 전후로 보는 전제에서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새로운 노년세대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노인 발달 이론과 이를 바탕으로 한 노인교육이론이 생성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준상, "호모에루디티오" 서울: 학지사 1999

      2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26): 91-104, 2005

      3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4 김경현, "웹 기반 수업활용방안 연구:노인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1-37, 2004

      5 김진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안드라고지의 가능성" 5 (5): 43-64, 2002

      6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21 (21): 145-154, 2003

      7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20 : 95-116, 2003

      8 박경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22 (22): 53-66, 2002

      9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노인들의 성인학습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신복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313-336, 2006

      1 한준상, "호모에루디티오" 서울: 학지사 1999

      2 김미혜,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6 (26): 91-104, 2005

      3 김미혜,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35-52, 2005

      4 김경현, "웹 기반 수업활용방안 연구:노인교육" 한국성인교육학회 7 (7): 1-37, 2004

      5 김진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안드라고지의 가능성" 5 (5): 43-64, 2002

      6 홍현방, "성공적인 노화 정의를 위한 문헌연구" 21 (21): 145-154, 2003

      7 강인,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20 : 95-116, 2003

      8 박경란,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조사연구" 22 (22): 53-66, 2002

      9 조해경, "성공적 노화에 관한 연구-노인들의 성인학습을 통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신복기, "성공적 노화를 위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313-336, 2006

      11 성혜영, "성공적 노화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Q방법론적 접근" 22 (22): 75-93, 2002

      12 이은경,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교육의 발전방향" 5 (5): 85-103, 2000

      13 오영희, "보건복지 포럼" 보건 복지부 2006

      14 김승권, "보건 복지 포럼" 보건복지부 2006

      15 박영숙, "노인교육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1 (21): 99-121, 2003

      16 한정란, "노인교육의 이해" 서울: 학지사 244-246, 2005

      17 조경욱, "노인 교육과 사회관계, 생활만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3) : 127-156, 2004

      18 전길양, "노년기 준비교육 프로그램 -풍요로운 노후 가꾸기" 20 (20): 69-91, 2000

      19 Baltes, "Successful aging-Perspective from the Behavio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0 Fisher, B. J,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41 (41): 239-250, 1995

      21 Fisher, B. J, "Successful Aging and Creative in Later Life" 13 (13): 457-472, 1999

      22 Rowe, J. W,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23 Rowe, J. W, "Successful Aging" N.Y.: Pantheon Books 1998

      24 Stawbrige, W. J, "Succeful aging and well-being: self-rated compared with Rowe and Khan" 42 (42): 727-733, 2002

      25 Holstein, "Self, society, and the new "gerontology"" 43 (43): 787-796, 2003

      26 성혜영, "Rowe와 Kahn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모델" 26 (26): 105-123, 2005

      27 Baltes, M. M, "Everyday Functioning and Successful Aging: The Impact of Resources" 12 (12): 433-443, 1997

      28 Fisher, "A pilot study for conceptual clarification journal of aging studies" 1992191-2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6 1.56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4 1.97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