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의 기회균등’의 헌법적 의미와 개선방안 =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liberation, South Korea’s education shift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of education contribute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erving as an important f...

      After liberation, South Korea’s education shift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of education contribute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erving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democracy. Nonetheless, there have been criticism that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has deteriorated, making rags to riches story no longer feasible today.
      As can be confirmed from Korea’s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as well as the nation’s future. When regarding the fact that better education contributes to a better future,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definite future investment. Therefore,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eans discrimination in future development possibilities.
      One typical problem that critics point out is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resulting in un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natural for the parents to use their wealth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differ depending on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a factor that is irrelevant to one’s ability or effort and is threaten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not to mention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 deterioration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is issue is not a problem that is limited only to those serving in the field. Instead, it should be regarded as a problem that the nation and the public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resolve. This article takes such idea as a premise and has searched for the meaning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reason of its deterioration, as well as feasible solutions.
      First, the article over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Next, the article reviewe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s a premise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Furthermore, to realiz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article searched for a way to reform university entrance exam, as well as exam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issues.
      The future of Korea is determined by education and the future of education is determined by equal opportunity. Since the future Korea without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ill undergo extreme discrimination and social conflicts, equal education opportunity is an essential value that cannot be abandoned. Therefore, the effort to expand and strengthe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gin right now. If there is no immediate movement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ocial structure will stiffen, social hierarchy will become fixed, and equal opportunity in the future may be delayed or be lost fore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은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해 왔다. 교육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이 제고되었고, 교육은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성장...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은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해 왔다. 교육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이 제고되었고, 교육은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으며, 개천에서 용 나오기가 더 힘든 사회가 되었다는 지적들이 많아지고 있다.
      교육은 개인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는 우리 현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보다 훌륭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은 곧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투자이다. 이러한 교육에서 차별이 발생한다는 것은 바로 미래의 발전가능성에 차별이 생긴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른 교육의 기회균등 왜곡이다. 부가 편중되고 세습되면서 부를 이용하여 자식에게 더 좋은 교육을 시키려는 경향이 커지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비추어 볼 때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로 인하여 본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아닌,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서 교육의 기회가 달라지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을 매우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자칫 민주주의의 기초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균등 악화 및 이와 결부되어 있는 대한민국 교육제도의 문제상황은 교육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 국민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래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이 갖는 의미와 그 악화의 원인 분석,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의 개념과 성격 및 기회균등의 중요성에 대해서 개관하고, 이와 연결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전제로서의 공교육 정상화를 검토하면서 공교육이 교육의 기회균등에서 얼마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질화하기 위한 대학입시의 개혁방향을 모색하였고, 이와 더불어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로서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업교육의 실질화와 평생교육을 통한 교육의 기회균등을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교육이 결정하며, 교육의 미래는 기회균등이 결정한다. 기회균등이 없는 교육에 기초한 미래 대한민국은 훨씬 더 심각한 불평등과 사회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결코 포기될 수 없는 가치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 당장 시작되어야 한다. 오늘 바로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해 움직이지 않으면, 그리고 그로 인해 사회구조가 더욱 경직되고 사회적 계층이 고착화된다면 미래의 기회균등은 10년 더 늦어질 수도 있고, 영영 때를 놓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치규, "현장에서 본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 7 : 199-248, 2010

      2 양춘, "현대 한국사회의 계층구조" 2001

      3 장영수, "헌법학" 2017

      4 김용태, "헌법과 노인교육" 법학연구원 20 (20): 257-283, 2013

      5 윤홍근, "한국정부의 경제적 역할 변화와 시장제도의 변화: 1980년대 초 ‘안정화시책’에 대한 담론제도주의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63-188, 2013

      6 이준형, "한국의 발전에 대한 구조론적 설명의 한계와 한국의 내재적 발전요소-호퍼베르트의 정책산출 변동모형 적용-" 대한정치학회 23 (23): 23-49, 2015

      7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8 정환수, "한국사회 노인문제에 관한 철학적 고찰" 새한철학회 71 (71): 335-354, 2013

      9 정제영,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1-260, 2009

      10 김사라,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을 조절효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3-33, 2016

      1 오치규, "현장에서 본 한국 교육제도의 문제점" 7 : 199-248, 2010

      2 양춘, "현대 한국사회의 계층구조" 2001

      3 장영수, "헌법학" 2017

      4 김용태, "헌법과 노인교육" 법학연구원 20 (20): 257-283, 2013

      5 윤홍근, "한국정부의 경제적 역할 변화와 시장제도의 변화: 1980년대 초 ‘안정화시책’에 대한 담론제도주의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63-188, 2013

      6 이준형, "한국의 발전에 대한 구조론적 설명의 한계와 한국의 내재적 발전요소-호퍼베르트의 정책산출 변동모형 적용-" 대한정치학회 23 (23): 23-49, 2015

      7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8 정환수, "한국사회 노인문제에 관한 철학적 고찰" 새한철학회 71 (71): 335-354, 2013

      9 정제영, "학업 성취도에 기반한 교육의 책무성 평가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1-260, 2009

      10 김사라,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을 조절효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23-33, 2016

      11 김화숙, "평생교육으로서 노인정보화 교육의 발전 방향 : 구미시 노인종합복지회관의 정보화교육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5 (15): 491-500, 2014

      12 김홍록,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노후생활에 미치는 영향" 2 (2): 173-197, 2015

      13 신정례,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중심으로-" 1 (1): 131-150, 2014

      14 미래창조과학부, "취약 기초과학 분야 육성을 위한 출연(연)의 역할 강화 방안" 2016

      15 한국교원대학교 교육과정연구소, "제7차 교육과정의 진단과 새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탐색" 2004

      16 성태제,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한국교육학회 55 (55): 1-21, 2017

      17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18 박대출 의원실, "제4차 산업혁명,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꾼다’ 대토론회"

      19 한의석, "정치의 세습화와 일본의 세습의원" 일본연구소 (67) : 153-174, 2016

      20 애덤 스위프트, "정치의 생각 -정의에서 민주주의까지-" 2011

      21 조성봉, "정부의 역할, 그 새로운 도전 -정부역할에 대한 법경제학적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05

      22 신용주, "정보화교육을 통한 노인 임파워먼트의 모색"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33-53, 2005

      23 권인탁, "전문직 퇴직자 봉사단체의 발전방향 : 금빛평생교육봉사단의 사례" 교육종합연구소 7 (7): 45-70, 2009

      24 노영택, "일제하 민중교육운동사" 2010

      25 국사편찬위원회, "일제강점기의 교육" 2010

      26 정재걸, "인공지능 시대의 가상현실과 교육" 동양사회사상학회 20 (20): 191-217, 2017

      27 심승환, "인간 본성(本性)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 합리성, 자연성, 본래성의 통합적 관점에서" 한국교육철학학회 34 (34): 79-115, 2012

      28 배예선, "온라인 공개 강좌 MOOC의 현황 분석 및 개선안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 18 (18): 3005-3012, 2014

      29 문성도, "영장주의의 비교법적 고찰 - 한국 헌법 제12조 제3항과 미연방헌법 수정 제4조의규범적 특징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4) : 163-186, 2005

      30 홍정민, "에듀테크: 4차산업혁명 시대의 미래 교육" 2017

      31 남수경, "언론기관 자국 내 대학순위평가의 현황과 쟁점 분석" 한국비교교육학회 22 (22): 99-125, 2012

      32 유병래, "세대갈등과 문화생활 - 시민성 구현과 관련하여" 동서사상연구소 (19) : 124-178, 2015

      33 남궁현경, "서울시 고령자의 정보격차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73-81, 2017

      34 데이비드 마우어리, "산학협력의 좌표를 찾아서 : 미국 대학의 기술이전과 바이-돌 법" 2011

      35 정형근 의원실, "사교육열풍! 공교육붕괴! 원인과 대책은 무엇인가"

      36 김동석, "사교육 수요유발 요인과 대책의 논리" 교육발전연구소 25 (25): 151-179, 2015

      37 이종재, "사교육 대책의 유형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교육연구소 9 (9): 173-200, 2008

      38 방하남, "변화와 세습: 한국 사회의 세대간 지위세습 및 성취구조" 35 (35): 1-30, 2001

      39 장준오, "법관 임용방식의 발전 과정과 개선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7

      40 노명선, "디지털 증거의 압수ㆍ수색에 관한 판례 동향과 비교법적 고찰" 대검찰청 (43) : 139-194, 2014

      41 조상제, "독립적 긴급 압수수색제도의 입법론적 연구 - 독일의 긴급압수수색제도와의 비교법적 관점에서 -" 대검찰청 (32) : 183-239, 2011

      42 이종수, "대한민국은 공정한가?" 2013

      43 김이경, "대학특성화 평가의 정치학적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91-113, 2016

      44 최유석,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28-241, 2015

      45 신혜원, "대학 입시 전형 요소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5 (45): 27-41, 2013

      46 이영학, "대학 순위평가의 국가간 비교 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7 (17): 139-165, 2007

      47 이창수, "대입전형 결과의 사회경제적 비형평성 -한국과 미국 연구의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5 (25): 47-72, 2015

      48 교육부, "다함께 만들어 가는 제7차 교육 과정"

      49 김정민, "노인직업능력개발을 위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한국콘텐츠학회 17 (17): 728-739, 2017

      50 김동배, "노인의 평생교육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801-817, 2012

      51 한정란, "노인 평생교육 참여의 장해요인"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05-131, 2010

      52 한준상, "기회의 균등과 출세의 자유 사이의 방황, 교육" (27) : 195-209, 2000

      53 이상명,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 측면에서 본 대학입시제도의 개선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27, 2017

      54 김진영, "국제비교를 통해 본 사교육의 원인과 결과" 한국재정학회 12 (12): 119-151, 2007

      55 이형행, "교육학개론" 2011

      56 김병희, "교육의 역사와 철학" 2015

      57 이홍우, "교육의 개념" 2009

      58 이주호,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여건조성 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5

      59 크리스토퍼 윈치, "교육 자율성 그리고 비판적 사고" 2015

      60 정희수 의원실, "교육 양극화: 공교육 붕괴와 교육개혁"

      61 나병현,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한국교육개발원 29 (29): 549-571, 2002

      62 정효진, "공교육 정상화에 관한 연구" 고려대 2015

      63 신현석, "공교육 위기현상의 분석과 정상화를 위한 전략적 구상" 한국교육개발원 30 (30): 419-445, 2003

      64 김용수,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4 (4): 71-90, 2013

      65 황영희, "고령사회에 대비한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현황과 정책 방안" 10 (10): 31-57, 2013

      66 최대권, "고교평준화"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2002

      67 강대중, "고교 평준화 제도의 전개 과정" 8 : 56-74, 2002

      68 강영혜,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실태연구, 정책효과의 검증 및 개선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2005

      69 국가인권위원회, "각국의 국가이행보고서에 대한 UN 권고 5, 인종차별 철폐협약"

      70 이은경, "가문의 영광인가? 세습정치인가? 18대 국회의원 당선자를 중심으로" 893-900, 2008

      71 범국민교육연대, "7차 교육과정 현장 실태 및 2005 수능의 문제점과 교육과정 개편방향 공청회"

      72 김진형,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21-29, 2016

      73 최연구,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교육 예측과 전망" (33) : 32-3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Law Review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2 1.42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5 1.16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