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그것'류 담화표지의 담화 기능 연구 : 맥락 분석을 바탕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10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iscourse functions shown in the use of ‘keugeot(그것)’ based discourse markers(DMs)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n what aspect of discourse functions each form of the DMs has, as well as the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where it appears.
      Since Korean is a highly discursive language, much importance is laid on the meaning or function of use in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s well as the syntactic semantic composition of literal meaning of each word. A discourse marker is a kind of device that leads to an efficient communication by enhancing the coherence of a discourse. Not only is it important in terms of expressing in that speaking with appropriate DMs can be a way of utterance strategy, but they also appear as identical forms with the originating words, necessitating an analysis of the unique functions in discourse. In particular, when the same form of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is used but as a DM,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ose who are not native in Korean can go through hardship to understand the discourse functions and get confused with demonstration or anaphora as the original lexical meaning of it.
      Here, I focused on three forms, ‘keuge(그게)’, ‘keugeo(그거)’, and ‘keugeotto(그것도)’,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to examine the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as DMs, enhancing coherence of each discourse. As a research method, a con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real-life conversation of spoken corpus transcription data. First, based on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the main genre and qualifications of some forms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verified. Then discourse functions in the use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al corpus (2020, 1.3 vers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ther DMs near the ‘keugeot’ based ones were also put into investigation as different kinds of discourse functions of a discourse marker in general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often various DMs appear together in a row.
      The procedure for discussion is as the followings. In Chapter 1, the necessity,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some previous literature focusing on ‘keugeot’ were reviewed. With almost all the studies related to ‘keugeot’ focusing on Korean demonstratives and the system, there were only few discussing it as a discourse marker. No previous literature was found referring to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context of actual use and discursive usage of DMs originating from ‘keugeot’.
      Chapter 2 presented a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core concepts, establishing the study range and criteria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irstly,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DMs and discourse functions were progressed to set up the scope of ‘keugeot’ based DMs and the classification of it’s functions. The benefit of including some conventional expressions, which show a role of enhancing the coherence in a discourse and also useful to learners, as DMs was mentioned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Secondly, concepts of topic and focus dealt slightly different in various fields of study were discussed to set up the proper concept for study on DMs. In this thesis, topic is for a discourse topic, and focus is highlighting a certain topic or utterance by the speaker’s intention.
      Chapter 3 proved the ratio of some forms of ‘keugeot’ used as DMs in the corpus, and showed the results of context analysis for each form. As a result, ‘keuge’, ‘keugeo’, and ‘keugeotto’ forms were used as DMs in about 12-16% in the corpus dat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od, intention, utterance position, speech attitudes, in regard to the main discourse functions of each DMs was like the following; A DM ‘keuge’ was mostly used in the front of sentence when having functions of starting or switching a topic. For speech attitudes, more than the other two, a DM ‘keugeotto’ showed a comparatively distinctive result as it was used in certain attitudes with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argument or emphasizing. And in common, the DMs tend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when linguistic statu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ppeared equivalent. Through the corpus analysis, I confirmed that the context ‘keugeot’ based DMs appeared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each form,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context analysis were noted.
      Chapter 4 revealed how each form of 'keugeot' based DMs was realized when used as each other’s discourse function. While in some cases the three types showed individual discourse functions, through all the cases, common functions were found as well. Especially as functions of a filler and leading the listener’s participation were found as universal ones, I verified a base function of ‘keugeot’ based DMs as ‘Giving a Focus’. Plus, through the examination on co-occurring DMs, the specific and bas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in discourse were proven. Lastly, som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iscourse functions though the chapter were noted.
      Finally, in Chapter 5, all the discussions presented were summarized and concluded by noting the significance and a limitation of the study with key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discourse functions of DMs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were verified and specific functions of each form were compared in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through the main body. As an attempt for analysis of discourse functions inductively from a real-life language data, the context of the use of forms developed into DMs were clarified. The study is believed to help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iscourse functions shown in the use of ‘keugeot(그것)’ based discourse markers(DMs)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n what aspect of discourse f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discourse functions shown in the use of ‘keugeot(그것)’ based discourse markers(DMs)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n what aspect of discourse functions each form of the DMs has, as well as the contextual information about where it appears.
      Since Korean is a highly discursive language, much importance is laid on the meaning or function of use in actual discourse situations as well as the syntactic semantic composition of literal meaning of each word. A discourse marker is a kind of device that leads to an efficient communication by enhancing the coherence of a discourse. Not only is it important in terms of expressing in that speaking with appropriate DMs can be a way of utterance strategy, but they also appear as identical forms with the originating words, necessitating an analysis of the unique functions in discourse. In particular, when the same form of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is used but as a DM,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ose who are not native in Korean can go through hardship to understand the discourse functions and get confused with demonstration or anaphora as the original lexical meaning of it.
      Here, I focused on three forms, ‘keuge(그게)’, ‘keugeo(그거)’, and ‘keugeotto(그것도)’,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to examine the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as DMs, enhancing coherence of each discourse. As a research method, a context analysis was conducted on real-life conversation of spoken corpus transcription data. First, based on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the main genre and qualifications of some forms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verified. Then discourse functions in the use of the 'keugeot' based DMs were identified in the conversational corpus (2020, 1.3 version) of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ther DMs near the ‘keugeot’ based ones were also put into investigation as different kinds of discourse functions of a discourse marker in general are not mutually exclusive and often various DMs appear together in a row.
      The procedure for discussion is as the followings. In Chapter 1, the necessity,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some previous literature focusing on ‘keugeot’ were reviewed. With almost all the studies related to ‘keugeot’ focusing on Korean demonstratives and the system, there were only few discussing it as a discourse marker. No previous literature was found referring to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context of actual use and discursive usage of DMs originating from ‘keugeot’.
      Chapter 2 presented a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the core concepts, establishing the study range and criteria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irstly,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DMs and discourse functions were progressed to set up the scope of ‘keugeot’ based DMs and the classification of it’s functions. The benefit of including some conventional expressions, which show a role of enhancing the coherence in a discourse and also useful to learners, as DMs was mentioned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education. Secondly, concepts of topic and focus dealt slightly different in various fields of study were discussed to set up the proper concept for study on DMs. In this thesis, topic is for a discourse topic, and focus is highlighting a certain topic or utterance by the speaker’s intention.
      Chapter 3 proved the ratio of some forms of ‘keugeot’ used as DMs in the corpus, and showed the results of context analysis for each form. As a result, ‘keuge’, ‘keugeo’, and ‘keugeotto’ forms were used as DMs in about 12-16% in the corpus data.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aspect of the relationship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mood, intention, utterance position, speech attitudes, in regard to the main discourse functions of each DMs was like the following; A DM ‘keuge’ was mostly used in the front of sentence when having functions of starting or switching a topic. For speech attitudes, more than the other two, a DM ‘keugeotto’ showed a comparatively distinctive result as it was used in certain attitudes with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argument or emphasizing. And in common, the DMs tend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when linguistic status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appeared equivalent. Through the corpus analysis, I confirmed that the context ‘keugeot’ based DMs appeared had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discourse functions of each form,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context analysis were noted.
      Chapter 4 revealed how each form of 'keugeot' based DMs was realized when used as each other’s discourse function. While in some cases the three types showed individual discourse functions, through all the cases, common functions were found as well. Especially as functions of a filler and leading the listener’s participation were found as universal ones, I verified a base function of ‘keugeot’ based DMs as ‘Giving a Focus’. Plus, through the examination on co-occurring DMs, the specific and bas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in discourse were proven. Lastly, som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with regard to the discourse functions though the chapter were noted.
      Finally, in Chapter 5, all the discussions presented were summarized and concluded by noting the significance and a limitation of the study with key implications for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e discourse functions of DMs developed from a Korean demonstrative pronoun ‘keugeot’ were verified and specific functions of each form were compared in the comprehensive examination through the main body. As an attempt for analysis of discourse functions inductively from a real-life language data, the context of the use of forms developed into DMs were clarified. The study is believed to help learners of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keugeot’ based D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담화표지의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그것’을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담화 기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담화성이 강한 언어로, 개별 단위의 통사적 합성을 넘어 실제 담화 상황에서 어떠한 사용 의미와 기능을 보이는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담화의 결속력을 높여주면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장치로 담화표지를 들 수 있다. 적절한 담화표지의 사용은 담화 구조를 결속하고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발화 전략이 될 수 있어 이해 및 표현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한 담화표지는 명제적 의미의 그 출처 어휘와 형태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개별 형태가 가지는 담화 기능에 대한 변별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 지시대명사와 동일한 형태를 포함한 표현이 일정한 담화 기능으로 굳어져 사용될 경우, 학습자들은 담화 내에서 지시나 대용의 의미와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당 표지의 적절한 담화 기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고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그게’, ‘그거’, ‘그것도’의 세 가지 형태를 대상으로, 각각이 담화표지로 실현되는 경우 그 사용 맥락과 기능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어 말뭉치 전사 자료를 토대로 한 맥락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21세기 세종 말뭉치’를 토대로 ‘그것’류 형태의 담화표지 자격 및 주요 사용역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적 대화 장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남에 따라 본 연구의 자료로 ‘국립국어원 일상대화 말뭉치 2020(버전 1.3)’를 선정하여, ‘그것’류 담화표지의 용례에서 나타나는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개별 담화표지의 다양한 담화 기능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필요 기능에 따라 여러 담화표지가 공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그것’류 담화표지의 주변에 사용된 담화표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논의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대상 및 방법을 소개하고 ‘그것’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것’에 관련된 논의는 주로 한국어 지시어 및 지시체계에 관한 것이었으며, 담화표지의 한 형태로 다룬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공통의 출처 어휘 ‘그것’에서 발달한 담화표지에 주목하여 그 실제적 사용 맥락과 담화 차원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2장은 핵심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서, 앞선 논의를 근거로 본고의 논의를 위한 분석 범위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담화표지와 담화 기능에 대한 기존 논의를 토대로 본고에서 다루는 ‘그것’류 담화표지의 범위 및 기능 분류 틀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육을 위한 연구의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담화 기능을 보이면서 담화를 결속하는 책략이 되는 굳어진 표현을 담화표지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식의 효용성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며 다소 혼용되던 화제 및 초점 개념을 정리하고 담화표지 분석에 적합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화제 개념을 담화 화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초점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화제나 발화를 부각하는 효과로 보아, 본고에서 사용된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그것’류 형태가 일상대화 말뭉치에서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비율을 입증하고, 형태별 맥락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말뭉치 자료에서 ‘그게’, ‘그거’, ‘그것도’는 약 12-16%의 비율로 담화표지로 사용되었다. 각 형태별로 담화 기능 영역과 연계하여 화청자 관계, 서법, 발화 의도, 발화 위치, 발화 태도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체로 ‘그게’가 화제 시작 및 전환 기능의 담화표지로 사용될 때 문두에서 드러났으며, 화제 연결 및 디딤말 기능의 ‘그거’는 문중에서 많이 실현되었다. 화자 태도는 다른 두 형태에 비해 ‘그것도’의 경우 화자의 주장 강화 및 강조 기능에서 특정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한편 세 담화표지는 공통적으로 화청자의 언어적 지위가 동등할 때 빈번한 사용을 보였다. 말뭉치의 분석을 통해 ‘그것’류 담화표지는 각각의 담화 기능과 사용 맥락 간의 상관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그 함의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세부적인 담화 기능에 따라 ‘그것’류 담화표지가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것’류 담화표지들은 각 담화 기능에 따라 개별적인 실현 양상을 보이는가 하면 공통적인 기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보편적으로 보이는 하위 기능으로 디딤말 기능과 청자 참여 유도 기능이 드러났는데,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여 ‘그것’을 공통의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기본 기능을 ‘초점(focus) 부여하기’로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담화표지와의 공기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세부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실현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그것’류 담화표지 기능 실현의 분석을 통해 찾은 함의를 정리하였다.
      5장의 결론에서는 논의를 종합하여,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고는 말뭉치 분석을 통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형태들의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고, 형태별 세부 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실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담화 기능 분석의 시도로서 공통된 출처 어휘를 가지고 담화표지로 발달한 형태의 사용 맥락을 살펴보았다. 해당 논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그것’류 담화표지의 기능 이해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담화표지의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그것’을 출처 어휘로 가지...

      본 연구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담화표지의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한국어교육의 관점에서 ‘그것’을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담화 기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는 담화성이 강한 언어로, 개별 단위의 통사적 합성을 넘어 실제 담화 상황에서 어떠한 사용 의미와 기능을 보이는가가 중요하게 작용한다. 담화의 결속력을 높여주면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돕는 장치로 담화표지를 들 수 있다. 적절한 담화표지의 사용은 담화 구조를 결속하고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는 발화 전략이 될 수 있어 이해 및 표현 측면에서 중요하다. 또한 담화표지는 명제적 의미의 그 출처 어휘와 형태적으로 동일하다는 점에서 개별 형태가 가지는 담화 기능에 대한 변별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어 지시대명사와 동일한 형태를 포함한 표현이 일정한 담화 기능으로 굳어져 사용될 경우, 학습자들은 담화 내에서 지시나 대용의 의미와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해당 표지의 적절한 담화 기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고는 한국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그게’, ‘그거’, ‘그것도’의 세 가지 형태를 대상으로, 각각이 담화표지로 실현되는 경우 그 사용 맥락과 기능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구어 말뭉치 전사 자료를 토대로 한 맥락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21세기 세종 말뭉치’를 토대로 ‘그것’류 형태의 담화표지 자격 및 주요 사용역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적 대화 장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남에 따라 본 연구의 자료로 ‘국립국어원 일상대화 말뭉치 2020(버전 1.3)’를 선정하여, ‘그것’류 담화표지의 용례에서 나타나는 형태별 사용 맥락과 담화 기능별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개별 담화표지의 다양한 담화 기능은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필요 기능에 따라 여러 담화표지가 공기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그것’류 담화표지의 주변에 사용된 담화표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논의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대상 및 방법을 소개하고 ‘그것’의 형태를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것’에 관련된 논의는 주로 한국어 지시어 및 지시체계에 관한 것이었으며, 담화표지의 한 형태로 다룬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공통의 출처 어휘 ‘그것’에서 발달한 담화표지에 주목하여 그 실제적 사용 맥락과 담화 차원의 기능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2장은 핵심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서, 앞선 논의를 근거로 본고의 논의를 위한 분석 범위 및 기준을 마련하였다. 먼저 담화표지와 담화 기능에 대한 기존 논의를 토대로 본고에서 다루는 ‘그것’류 담화표지의 범위 및 기능 분류 틀을 제시하였다. 언어 교육을 위한 연구의 관점에서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담화 기능을 보이면서 담화를 결속하는 책략이 되는 굳어진 표현을 담화표지의 범위에 포함하는 방식의 효용성을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며 다소 혼용되던 화제 및 초점 개념을 정리하고 담화표지 분석에 적합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화제 개념을 담화 화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고, 초점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화제나 발화를 부각하는 효과로 보아, 본고에서 사용된 개념들을 명확히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그것’류 형태가 일상대화 말뭉치에서 담화표지로 사용되는 비율을 입증하고, 형태별 맥락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말뭉치 자료에서 ‘그게’, ‘그거’, ‘그것도’는 약 12-16%의 비율로 담화표지로 사용되었다. 각 형태별로 담화 기능 영역과 연계하여 화청자 관계, 서법, 발화 의도, 발화 위치, 발화 태도의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체로 ‘그게’가 화제 시작 및 전환 기능의 담화표지로 사용될 때 문두에서 드러났으며, 화제 연결 및 디딤말 기능의 ‘그거’는 문중에서 많이 실현되었다. 화자 태도는 다른 두 형태에 비해 ‘그것도’의 경우 화자의 주장 강화 및 강조 기능에서 특정 태도를 나타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한편 세 담화표지는 공통적으로 화청자의 언어적 지위가 동등할 때 빈번한 사용을 보였다. 말뭉치의 분석을 통해 ‘그것’류 담화표지는 각각의 담화 기능과 사용 맥락 간의 상관성이 높음을 확인하고, 그 함의를 정리하였다.
      4장에서는 세부적인 담화 기능에 따라 ‘그것’류 담화표지가 어떤 양상으로 실현되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그것’류 담화표지들은 각 담화 기능에 따라 개별적인 실현 양상을 보이는가 하면 공통적인 기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보편적으로 보이는 하위 기능으로 디딤말 기능과 청자 참여 유도 기능이 드러났는데, 이러한 특성을 종합하여 ‘그것’을 공통의 출처 어휘로 가지는 담화표지의 기본 기능을 ‘초점(focus) 부여하기’로 해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른 담화표지와의 공기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세부 기능 및 기본 기능의 실현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그것’류 담화표지 기능 실현의 분석을 통해 찾은 함의를 정리하였다.
      5장의 결론에서는 논의를 종합하여,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한국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본고는 말뭉치 분석을 통해 지시대명사 ‘그것’에서 기원한 형태들의 담화표지로서의 기능을 확인하고, 형태별 세부 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실제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담화 기능 분석의 시도로서 공통된 출처 어휘를 가지고 담화표지로 발달한 형태의 사용 맥락을 살펴보았다. 해당 논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그것’류 담화표지의 기능 이해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2.1. 연구 대상 1.2.2. 연구 방법 1.3. 선행 연구 검토 2. 이론적 논의 2.1. 담화표지와 담화 기능 2.2. ‘그것’류 담화표지의 범위 및 기능 2.3. 화제와 초점 3. 형태별 맥락 분석 3.1. 형태별 담화표지 사용 빈도 3.2. 맥락 분석 결과 3.2.1. ‘그게’의 분석 결과 3.2.2. ‘그거’의 분석 결과 3.2.3. ‘그것도’의 분석 결과 3.3. 맥락적 기능 분석의 함의
      • 4. 담화 기능별 분석 4.1. 기능별 실현 양상 분석 4.1.1. 화제 결속 기능 4.1.2. 화자 결속 기능 4.1.3. 청자 결속 기능 4.2. 기본 기능에 대한 논의 4.3. 담화표지의 공기 분석 4.3.1. 담화표지 공기 양상 4.3.2. ‘이제’, ‘근데’와 ‘그것’류 담화표지 4.3.3. ‘뭐야’와 ‘그것’류 담화표지 4.3.4. ‘뭐’, ‘왜’와 ‘그것’류 담화표지 4.4. 담화 기능별 분석의 함의 5. 결론
      •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 대상 및 방법 1.2.1. 연구 대상 1.2.2. 연구 방법 1.3. 선행 연구 검토 2. 이론적 논의 2.1. 담화표지와 담화 기능 2.2. ‘그것’류 담화표지의 범위 및 기능 2.3. 화제와 초점 3. 형태별 맥락 분석 3.1. 형태별 담화표지 사용 빈도 3.2. 맥락 분석 결과 3.2.1. ‘그게’의 분석 결과 3.2.2. ‘그거’의 분석 결과 3.2.3. ‘그것도’의 분석 결과 3.3. 맥락적 기능 분석의 함의
      • 4. 담화 기능별 분석 4.1. 기능별 실현 양상 분석 4.1.1. 화제 결속 기능 4.1.2. 화자 결속 기능 4.1.3. 청자 결속 기능 4.2. 기본 기능에 대한 논의 4.3. 담화표지의 공기 분석 4.3.1. 담화표지 공기 양상 4.3.2. ‘이제’, ‘근데’와 ‘그것’류 담화표지 4.3.3. ‘뭐야’와 ‘그것’류 담화표지 4.3.4. ‘뭐’, ‘왜’와 ‘그것’류 담화표지 4.4. 담화 기능별 분석의 함의 5.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