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신고의향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숨겨지고 잊혀지는 시설학대 문제를 드러내며, 궁극적으로 이용노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신고의향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숨겨지고 잊혀지는 시설학대 문제를 드러내며, 궁극적으로 이용노인�...
본 연구는 주·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신고의향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숨겨지고 잊혀지는 시설학대 문제를 드러내며, 궁극적으로 이용노인의 인권보호가 강화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된 모델(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 ETRA)을 근거로 신고태도, 주관적 규범, 노인학대 관련 인식(노인학대 심각성 인식, 노인학대 원인인식), 과거 경험(노인학대 신고경험), 노인학대 사전지식(신고지식)을 독립변수로 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신고의향과 독립변수인 과거 경험은 내부고발 유형을 참고하여 내부형(Internal)과 외부형(External)으로 살펴보았다. 즉, 노인학대 신고 개념을 기존의 외부형 고발에서(노인복지법 제39조의6) 조직 내 보고체계인 내부형 고발을 포함한 영역으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인간 행동 예측의 설명력을 높여주는 주요이론 중 하나인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수인 지각된 이익(긍정적 태도)과 지각된 장애(부정적 태도)는 합리적 행동이론의 태도에 반영하였다. 또한, 지각된 심각성은 노인학대 관련 인식 중 노인학대 심각성 인식(유형별 심각성)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데이터를 2차 자료 분석한 연구로 활용된 표본은 보건복지부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이 진행한 ‘2017년 노인복지시설 노인인권 실태조사’ 자료이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고태도는 신고행동 결과에 대한 긍정적 신념을 가질수록 외부고발의향의 확률이 낮아졌고, 내부고발의향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주관적 규범의 경우 노인학대 신고에 대한 동료 등 주위사람들의 기대와 지자가 높을수록 노인학대 신고의향(내부고발의향, 외부고발의향)의 확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학대 유형별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고 노인학대 신고방법 등 관련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학대 신고의향의 확률은 높아졌다. 노인학대 과거 경험의 경우 과거 내부고발경험이 있을수록 내부고발의향의 확률은 높아졌고, 외부고발의향의 확률은 낮아졌다. 반면, 외부고발경험이 있을수록 내부고발의향의 확률은 낮아졌지만 외부고발의향의 확률은 높아졌다. 즉, 과거에 내부고발경험 있는 종사자는 향후 내부형 고발은 하더라고 외부형 고발에는 부정적이며, 외부고발경험 있는 종사자는 내부형 고발에는 부정적이지만 외부형 고발은 선호하는 것이다. 노인학대 원인인식에서는 시설제도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노인학대의 원인을 돌봄 대상 노인의 탓이 아닌 종사자의 자질부족과 시설의 환경적 요인으로 인식할수록 외부고발의향의 확률이 높아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신념모형과 내부고발 관련 이론의 가설을 지지하는 근거가 발견되어,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ETRA)이 노인학대 신고의향을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델임을 검증하였다. 특히 신고태도보다는 주관적 규범이 노인학대 신고의향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설 내 노인학대 사례를 신속히 발견하고 피해노인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노인학대 신고를 적극 지원하고 지지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하며, 종사자에게 노인학대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충분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기존 노인학대 신고제도를 내부형 고발과 외부형 고발로 구분한 법률 개정을 통해 신고자의 부담을 경감시켜서 신속한 피해노인 보호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idden and forgotten problems of elder abuse in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activation measures of mandatory reporting of elder abuse. This study analyzed associative factors of employees’ intention to rep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idden and forgotten problems of elder abuse in facilities in order to suggest activation measures of mandatory reporting of elder abuse. This study analyzed associative factors of employees’ intention to report elder abuse among day and night care centers, and it will contribute to ultimately strengthen the human rights for the elderly.
This study hypothesized reporting attitudes, subject norms, perceptions of elder abuse (perceptions of severity of elder abuse, and awareness of the cause of elder abuse), past reporting experiences of elder abuse (internal and external reporting), and prior knowledge (knowledge of reporting elder abuse)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extended model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lso, two types of intention to report (internal and external) were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key variables of health belief model, one of major theories that explain prediction of human behaviors, were included as perceived benefits (positive attitudes) and perceived barriers (negative attitudes).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was secondary data from '2017 Survey on the Rights of the Elderly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ral Senior Protection Agency. The summary of majo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odds of external reporting decreased when there were positive beliefs in results of reporting, but the odds of internal reporting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m. Second, greater perceptions of severity of elder abuse and prior knowledge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odds of reporting. Third, the odds of internal reporting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st experiences of internal reporting, bu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st experiences of external reporting. Similarly, the odds of external reporting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st experiences of external reporting, bu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st experiences of internal reporting. Forth, only when causes of elder abuse were thought as a result of staff quality issue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facility, the odds of external reporting increased.
This study supported that the extended model of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is appropriate for predicting intention to report elder abuse. In particular, subject norm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or explaining intention to report elder abuse. This study implied there should be the culture of encouraging actively reporting elder abuse in the facility and enough opportunities for employees to learn elder abuse. Moreover, legal amendments that would classify the existing reporting system of elder abuse into internal and external reporting should be made promptly to reduce burden among elder abuse reporters.
목차 (Table of Contents)
1 위키백과, "“내부고발”", https://ko.wikipedia.org/wiki/%EB%82%B4%EB%B140 6%80%EA%B 3%A0% EB%B0%9C HelpAge India. 2014. 『Main findings: Report on elder abuse in India』, 2019
2 박흥식, "『내부고발의 논리』", 서울 : 나남출판사, 1999
3 남기민, 최성재, "『사회복지행정론(개정3판)』", 경기도 : 나남, 2016
4 윤혜진, "“내부 고발: 과연 배신인가?”", 『철학연구』. 128. 대구 : 대한 철학회, 2013
5 권중돈,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4(1). 서 울 : 한국노년학회, 2004
6 이미진, "“시설 내 노인학대와 예방 대책”", 『월간 복지동향』. (249). 서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9
7 나은영,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서울 : 한국심리학회, 1994
8 김주현, 원영희, 박영란, "『노인복지시설 노인인권 실태조사』", 서울 :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2
9 고정미,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경주 : 한국보건간호학회, 2010
10 신민철, "“내부고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공공관리학보』. 28(2). 서울 : 한국공공관리학회, 2014
1 위키백과, "“내부고발”", https://ko.wikipedia.org/wiki/%EB%82%B4%EB%B140 6%80%EA%B 3%A0% EB%B0%9C HelpAge India. 2014. 『Main findings: Report on elder abuse in India』, 2019
2 박흥식, "『내부고발의 논리』", 서울 : 나남출판사, 1999
3 남기민, 최성재, "『사회복지행정론(개정3판)』", 경기도 : 나남, 2016
4 윤혜진, "“내부 고발: 과연 배신인가?”", 『철학연구』. 128. 대구 : 대한 철학회, 2013
5 권중돈,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4(1). 서 울 : 한국노년학회, 2004
6 이미진, "“시설 내 노인학대와 예방 대책”", 『월간 복지동향』. (249). 서울: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9
7 나은영, "태도 및 태도변화 연구의 최근 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8(2). 서울 : 한국심리학회, 1994
8 김주현, 원영희, 박영란, "『노인복지시설 노인인권 실태조사』", 서울 :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2
9 고정미,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경주 : 한국보건간호학회, 2010
10 신민철, "“내부고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소고”", 『한국공공관리학보』. 28(2). 서울 : 한국공공관리학회, 2014
11 변재관, "생활시설 노인의 노인인권에 관한 검토", 『한국노인복지학 회, 2005년 추계 학술회 자료집』. 군산 :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12 구재관, 송미영, "“한국 치매노인의 인권보호를 한 고찰”", 『제9회 아시아 태평양지역 치매컨퍼런스』. 서울 : 한국치매가족협회, 2006
13 지은구, "사회복지민영화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한국사회정책』. 15(2). 서울 : 한국사회정책학회, 2008
14 김진선, 박경숙,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2). 충주 : 한국아동간호학회, 2005
15 유지웅, "“노인학대 조기발견 대책과 경찰의 역할”", 『치안정책연구』. 25(1). 아산 : 치안정책연구소, 2011
16 김옥일, 주효진, 박광국, "“조직내 내부고발에 대한 인식유형 분석”", 『 한국행정학보』. 35(1). 서울 : 한국행정학회, 2001
17 박정수, "『기업의 내부통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서울 : 한국법제 연구원, 2006
18 차동필, "폭음행위 이해: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과 확장", 『한국언론학 보』. 49(3). 서울 : 한국언론학회, 2005
19 김현주, 박미경,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 요인”", 『아동과 권리』. 22(2). 부산 : 한국아동권리학회, 2018
20 권금주, 임연옥, 이현민, "『노인인권실태조사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세종시 : 보건복지부, 2016
21 이현민, "“노인장기요양시설 사유화에 따른 인권침해”", 『월간 복지동 향』. (243). 서울 :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9
22 박소연, 조인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 보육지원학회지』. 15(2). 인천 :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23 김경래, 황남희, 홍 송이, 정경희, 이윤경, 이선희, 이석구, 오영희, 오미애, 김은나, 김세진,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시 : 보건복지부",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2017
24 권금주, "“노인인권 관점에서 노인학대 정책 방향 모색,”", 『월간 복지동 향』. (211). 서울 :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2016
25 김준미,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인식과 신고행동』", 숙명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6 조윤경, "『노인학대에 대한 간호사의 개입의도 영향요인』", 연세대학 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7 이혜미,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영향요인』", 가천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8 이인수, "“노인생활시설 종사자의 소진(消盡)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24(1). 서울 : 한국가정관리학회, 2006
29 권금주, 임연옥, 이현민, "『노인복지시설 노인인권 실태조사 결과분석 연구』", 서울 : 보건복지부,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2017
30 최경일,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 복지연구』. 13(1). 아산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31 윤여복,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인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한남대 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2 서영희, 정명섭,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관한 연 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14(2). 서울 :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7
33 배진희, 정미순, "노인이 인식한 가해자 특성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 향", 『한국노년학』. 28(3). 서울 : 한국노년학회, 2008
34 김수정, 이재연,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아동과 권리』 17(2). 부산 : 한국아동권리학회, 2013
35 정원주,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행동 의도 배제원인 분석”", 『한국 가족복지학』. 27. 전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9
36 방희원,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국제관광 유형별 비교 연구』", 경기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7 김소연,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의무에 대한 태도』", 충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8 권중돈 , 정경희, 이은진, 이윤경, 윤지은 , 오영희, 손창균, 김경호, "『2009년도 전국 노인학대 실태조사』. 서울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39 박흥식, "내부고발 의도의 설명과 예측: 계획행위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4(2). 서울 : 한국행정연구원, 2004
40 은종환, 한익현, 이시영, "“내부고발에 관한 인식유형 분석: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4). 서울 : 서울행정학회, 2017
41 이현민, 조문기, "“노인학대의 현황 및 개입과정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일본문화연구』. 64. 서산 :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42 황인옥,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 동교육』. 24(3). 대구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43 박진경, "『여가활동유형별 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에 관한 논의』", 경 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4 오영실, "『노인의 의존성이 노인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5 배병렬, "행동의도 모형의 검토: 합리적 행동이론과 계획적 행동이론",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논문집』. 24. 전주 : 전북대학교 산업 경제연구소, 1994
46 김수훈, "『부패방지를 위한 내부고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47 서윤경,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8 조윤오, "“경찰의 내부고발 관련 요인 연구 : 미국 경찰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4). 대전 : 한국공안행정학회, 2010
49 박혜영, "『응급실 간호사의 아동학대 신고에 대한 인식과 신고의도』",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0 이지영,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적용한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1(2). 청주 : 한국생활과학회, 2012
51 박미은, "도시거주 노인의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6). 군산 :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52 강동욱, 문영희, "“노인복지시설 내 노인학대 방지를 위한 법정책적 개 선방안”", 『외법논집』. 서울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53 김명혜,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AIDS 예방의 건강신념, 태도 및 건강 행동",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14(2). 부산 : 한국보건교육학 회, 1997
54 이솔잎, "년 6월 8일. “장기요양수가 산정시 원가중심으로 재산정 돼야”", 「웰페어뉴스」, 2016
55 이정민, "년 7월 3일. “노인학대 전력 50대, 요양보호사 근무 중 또 폭 행”", 「전북도민일보」, 2017
56 김기경, 허혜경, 이계숙, 송말순, "병원 간호사의 사건보고 불이행 경험여부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2(3). 서울 : 한국간호행정학회, 2006
57 서윤,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와 목격실태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 군산 : 한국노인복지학회, 2000
58 김흥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의식이 학대행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9 박종팔, "『노인주간보호서비스에 대한 욕구 및 만족도에 관한 실태조 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60 박소연, "『영유아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 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61 김춘배, 조희숙, 정헌재, 이희원, "건강신념 모형을 적용한 한국인 건 강관련행동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서 울 : 한국심리학회, 2004
62 차은민, "『아동학대신고의무자의 신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3 김영옥, "Health Belief Model(건강신념모델)의 이론적 분석 및 간호학 적 유용성 평가", 『서강전문대학 논문집』. 13. 광주 : 서강전문대학, 1994
64 강철, "“내부고발의 핵심적인 특성들과 그 함의”. 『한국부패학회보』. 21(2)", 춘천 : 한국부패학회, 2016
65 김에스더, "『노인장기요양시설의 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66 강희선,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임대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계획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67 이미진,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학대사례 개입경험에 대한 탐색 적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6). 군산 : 한 국노인복지학회, 2018
68 박복숙, 윤선오, "“아동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 및 신고의무제에 대한 인식 연구”", 『복지행정논총』. 21(2). 대전 : 한국복지행정학회, 2011
69 김기현, "『사회복지관 관장의 리더쉽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 한남대학교 행정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0 김화, "『인터넷쿠폰을 이용한 합리적 행동이론의 확장모델에 관한 실 증연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1 김수정, "『초등학교 교사의 아동학대 신고 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2 한나영, "『계획적 행동이론을 이용한 홍천지역 중학생 탄산음료 섭취 행동 분석』", 상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73 강민아, 김경아, "“행정학 및 정책학 조사연구에서 결측치 발생과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한국행정학보』. 40(2). 서울 : 한국행정학회, 2006
74 안재진, "『아동학대 신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 학부모 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75 손영곤, 이병관,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인지적 행동모델의 유용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언론학보』. 56(6). 서울 : 한국언론 학회, 2012
76 박흥식, "신정부의 부패 방지 개혁방향 / 내부고발의 발생 : 이론적 모 델을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5. 춘천 : 한국부패학회, 1998
77 최동성, "『인터넷을 통한 자연휴양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계획행동 이론의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8 양민욱, "『비윤리적 동기가 비윤리적 모방, 조직침묵, 내부고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9 이인정, "“주간보호 이용노인 가족수발자의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들”", 『한국노년학』. 22(1). 서울 : 한국노년학회, 2002
80 권선중, 김교헌, "인터넷 게임 행동을 예측하는 모형의 검증: 계획된 행동이 론의 대안모형 탐색", 『학생생활연구』. 30. 대전 : 충남대학교 학생취업및생활지원센터, 2004
81 최수진,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신고인식이 신고 행동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82 이범석, "『내부공익신고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익신고자의 보호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3 권지영,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노안학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개발연구』. 15(1). 대구 : 사회복지개발 연구원, 2009
84 정선경, "『노인학대 신고의무자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수준과 대응 행동에 관한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85 곽연희, "『중년기 비만 여성의 체중조절행위 예측을 위한 확장된 합리 적 행위이론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86 김세화, "공공봉사동기가 내부고발의도, 조직몰입, 발언행동, 조직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7 고길곤, 탁현우, "“설문자료의 결측치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다중대체법 과 재조사법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4(4). 서울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88 김동진, 김용중,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소비자의 친환경 레스토랑 선택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2). 서 울 : 한국외식산업학회, 2012
89 윤수재, 조태준, 장용진, "“내부고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지자체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1(1). 서울 : 한국인사행정학회, 2012
90 오성애,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식품 멀티유통채널의 신뢰와 구 매의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91 박시한, 한미정,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온라인 콘텐츠 이용행동 의 이해: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11(2). 서울 : 한국 PR학회, 2007
92 문용필, 이준영, "“노인요양시설 내 노인학대 예방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유럽 4개 국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4(2). 춘천: 한국사 회복지정책학회, 2017
93 문은하, 이현민, 이미진, "“노인학대 신고의무자 및 관련기관 종사자의 학대 신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판사회정책』. (59). 서울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94 김근홍, 송지원, "노인장기요양시설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인권옹호행동, 직무만족의 구조적 관계", 『한국노년학』. 37. 서울 : 한국 노년학회, 2017
95 변재관, 정경희, 이윤경, 유원선 , 오영희, "『무료 및 실비 노인요양시설에서 의 인권실태 사례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가인권위원회, 2002
96 조민기, "『이기심 및 이타심에 의한 내부고발 발생과정: CEO 윤리적 리더십의 교차수준 조절역할』",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97 이건필, "『회사 내부통제시스템 개선을 위한 연구: 통합적 시각에서의 법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98 문용필, 이호용, "“장기요양시설내 노인학대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WHO 및 주요국의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4(1). 서울: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99 강진희, 김기영, "확장된 합리적 행동이론(ETRA)과 휴리스틱(Heuristics)이론을 적용한 커피 전문점 선택행동 연구", 『관광연구 저널』. 30(1). 서울 : 한국관광연구학회, 2016
100 김동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관람스포츠 소비자의 소비행동 예측: 프로야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1 손영곤, 이상록, 이병관, 윤문영, 김채린, 김민희, "건강 관련 행동의 예측을 위한 사회인지이론의 유용성 : 국내 건강신념모델 연구의 메 타분석", 『홍보학연구』. 18(2). 서울 : 한국PR학회, 2014
102 신혜령, 조윤정,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아동학대 신고 경험과 인식에 관한 차이 및 신고행동의 영향요인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4). 서울 : 한국아동복지학회, 2013
103 김성국, "『노인 장기요양 종사자의 성희롱 대처의도에 관한 연구 : 확 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4 정영신,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 운동만족 및 건강증진행동 관계 연구 : 피트니스센터 이용자 중심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6
105 김현옥, "보육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가 신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신념 관련변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41. 전주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106 허남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신고행동 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3. 서울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107 김광희, "『건강신념모델과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에 따 른 두피, 모발 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08 김보람, "계획행동이론(TPB)에 기초한 여가 교육이 중년여성의 건강 인식, 생 성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09 박수경,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내 장애학생 에 대한 상호협력행동 예측 모형 검증 』",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110 지앙야오, "『개인적 요인과 상황적 요인이 내부고발 의도에 미치는 영 향: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2
111 고대영,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외식소비자의 건강메뉴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패밀리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112 유수정, 강상, "“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신고의도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한국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8j(4)", 강릉 : 한국유아 교육 보육행정학회, 2014
113 고길곤, 탁현우, 이보라, "“설문조사 연구에서 결측치의 영향과 대체방법 의 적절성에 대한 실증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3)", 서울 : 정책분석평가학회, 2014
114 장국현, "『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 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서울벤처대학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15 김미경, 김보경, "“윤리경영이 내부고발 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Seven Luck Casino 와 강원랜드 카지노 종사자를 중심으로”", 『관 광경영연구』. 86. 서울 : 관광경영학회, 2018
116 이미진, 장고운, "“노인보호전문기관의 노인 학대 재 접수 사례와 신규 사례의 비교: 노인, 학대행위자, 학대상황 특성을 중심으로,”", 『보건사회 연구』. 36(4). 세종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17 박설학, "『장애인거주시설장의 리더십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및 조 직몰입 간 관계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18 최서연,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이론을 적용한 건강기능식품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 영양지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19 주아남,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중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사전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 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0 박광덕, "『사회복지 시설장의 제도적 환경 인식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 노인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연세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1 허윤주,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문화자본이 문화예술 관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내국인 해외관광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2 마므토바, "엘리자. 『독립국가연합(CIS) 의료관광객의 의사결정과정연 구 : 사전지식을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3 김재중, "외식 소비가치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과 구매의도에 미 치는 영향: 미쉐린 가이드 서울 선정 레스토랑 이용 소비자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4 박화옥, 서소혜, "”노인장기요양시설의 직무환경이 요양보호사의 노인 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2(1)", 서울 : 한국노년학회, 2012
125 유주,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을 이용한 중국유학생의 한국국내관 광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사전지식, 위험지각과 관광동기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26 한호성, "『축제방문객의 자기결정성에 따른 계획행동이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연구 : 지각된 위험과 사전지식의 조절적 효과를 중심으 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7 장준혁,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들의 인식과 신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기도 소재 아동보호전문기관 및 어린이집 종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 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28 윤설민,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통한 모험적 여가활동 추구 관광객 의 행동지속에 관한 연구: 플로우(Fiow), 애착도, 과거행동의 역할 탐색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29 손영곤, 이진우, "계획된 행동이론의 확장은 행동을 설명하는데 얼 마나 효과적인가?: 국내학술지 대상 메타분석을 통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정교화를 위한 시론", 『광고PR실학연구』. 10(3). 서울 : 한국광고PR실학회, 2017
130 김보경,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통한 경마산업 종사자의 내부고발 의 도 예측에 관한 연구: 윤리풍토, 도덕적 규범,지각된 위험의 역할탐색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89. 서울 : 관광경영학회., 2019
131 강선아, 유성호, "“노인요양시설종사자의 노인학대 관련 법조항에 대한 이해, 노인학대 목격실태와 노인학대 신고의무위반자의 처벌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정책』. (33)", 춘천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08
132 이원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컨닝에 대한 인식이사회복지조직의 내부고발자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책임성의 매개효과 와 컨닝고발 실행의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8). 대전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