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rovement of Support Policy for Artist Start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43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 to promote artist startup. Throug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rtist startup,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Then, the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systems for artist startup are analyzed with implications. Based on that analysis and implications, interviews and policy seminar were conducted. In result, firstly, a basis for the direction, object sele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support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lear definition of artist startup. To achieve this, in-depth discussions should be made about the value and vision of the artist startup through discovering examples of successful artist startup and monitoring its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upport system for each phase of the startup process: Artists’ awareness on startup for the ph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diverse platforms for ideas sharing for the phase of creating ideas, the strategies based on art sectors and art making processes for commercialization phase, and failure analysis and further supports for rechallenge phase. Third, steady and stable suppor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workers having business experiences and follow-up measures and management after support should be organized. Forth,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gencies, efforts will be made to expand the support system and extend the support system through active promo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general startup support systems.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 to promote artist startup. Throug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rtist startup,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Then, the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systems for artist startup are analyzed with implications. Ba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 to promote artist startup. Through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rtist startup, its characteristics are defined. Then, the domestic and foreign support systems for artist startup are analyzed with implications. Based on that analysis and implications, interviews and policy seminar were conducted. In result, firstly, a basis for the direction, object selection, contents, and methods of support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lear definition of artist startup. To achieve this, in-depth discussions should be made about the value and vision of the artist startup through discovering examples of successful artist startup and monitoring its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upport system for each phase of the startup process: Artists’ awareness on startup for the phase of education and training, diverse platforms for ideas sharing for the phase of creating ideas, the strategies based on art sectors and art making processes for commercialization phase, and failure analysis and further supports for rechallenge phase. Third, steady and stable support projects should be implemented along with workers having business experiences and follow-up measures and management after support should be organized. Forth,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gencies, efforts will be made to expand the support system and extend the support system through active promo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general startup support sys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술가 창업의 개념적 정의를 통해 예술가 창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면담과 정책 세미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술가 창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의 방향, 대상 선정, 지원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공적인 예술가 창업 사례 발굴 및 창업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예술가 창업의 가치와 비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 단계별 지원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교육·훈련 단계에서는 창업에 대한 예술가들의 인식 개선과 시장 형성을, 아이디어창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 공유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 구축, 사업화 단계에서는 예술분야의 특성 및 창작 과정에 따른 지원을 다양화, 재도전 단계는 창업의 실패와 장애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및 추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안정적인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를 구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실무자를 양성하고, 지원 후 후속 조치와 관리를 체계화한다. 넷째, 기관 간의 소통으로 통해서 지원 제도를 체계화하고, 적극적인 홍보와 일반 창업 지원정책와의 연계를 통해서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술가 창업의 개념적 정의를 통해 예술가 창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분석...

      본 연구는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예술가 창업의 개념적 정의를 통해 예술가 창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분석을 통해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면담과 정책 세미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술가 창업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통해서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의 방향, 대상 선정, 지원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성공적인 예술가 창업 사례 발굴 및 창업과정 모니터링을 통한 예술가 창업의 가치와 비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창업 단계별 지원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교육·훈련 단계에서는 창업에 대한 예술가들의 인식 개선과 시장 형성을, 아이디어창출 단계에서는 아이디어 공유를 위한 다양한 플랫폼 구축, 사업화 단계에서는 예술분야의 특성 및 창작 과정에 따른 지원을 다양화, 재도전 단계는 창업의 실패와 장애요인 분석에 대한 연구 및 추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안정적인 예술가 창업 지원 제도를 구축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실무자를 양성하고, 지원 후 후속 조치와 관리를 체계화한다. 넷째, 기관 간의 소통으로 통해서 지원 제도를 체계화하고, 적극적인 홍보와 일반 창업 지원정책와의 연계를 통해서 지원정책을 확대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문선, "호주 공연예술계 현황 및 국제 교류 정책" 예술경영지원센터 2006

      2 박천수, "청년창업 지원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3 청년예술가일자리지원센터,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조사를 통한 진로지원 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청년예술가일자리지원센터 2015

      4 김선애,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11) : 165-191, 2015

      5 김영기, "창업과 경영의 이해" 범한 2015

      6 서정민, "창업과 경영을 위한 사업계획서"

      7 강주희,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청년예술가 일자리지원센터 2016

      8 김선애,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청년예술가 일자리지원센터 2016

      9 최보연, "영국 창조인력양성 정책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잉글랜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28) : 167-201, 2013

      10 김재식, "상업교육의 변화추세에 관한 연구" 13 : 78-, 1997

      1 최문선, "호주 공연예술계 현황 및 국제 교류 정책" 예술경영지원센터 2006

      2 박천수, "청년창업 지원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3 청년예술가일자리지원센터,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조사를 통한 진로지원 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청년예술가일자리지원센터 2015

      4 김선애, "청년예술가 일자리 실태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한 지원 방안 연구" 한국예술연구소 (11) : 165-191, 2015

      5 김영기, "창업과 경영의 이해" 범한 2015

      6 서정민, "창업과 경영을 위한 사업계획서"

      7 강주희, "예술가 창업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청년예술가 일자리지원센터 2016

      8 김선애, "예술가 창업 지원 사례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청년예술가 일자리지원센터 2016

      9 최보연, "영국 창조인력양성 정책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잉글랜드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28) : 167-201, 2013

      10 김재식, "상업교육의 변화추세에 관한 연구" 13 : 78-, 1997

      11 김종찬, "대학 창업교육 활성화방안 연구" 27 : 129-159, 2008

      12 Schumpeter, J.,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34

      13 Universities Canada, "Mobilizing people and ideas: Supporting the creative economy and fostering Canadian culture in the digital worl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