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합헌적 조세법률을 적법 적용한 과세처분의 위헌적 결과에 대한 납세자의 권리보호 근거로서 헌법 제107조 제2항 = Rechtsschutzmöglichkeit des Steuerpflichtigen gegen unbillige Steuerbescheide aufgrund Art. 107 Abs. 2 Koreanisches Verfassungsgesetz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2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규제형평제도 도입안과 관련하여 그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조세법의 영역이 불형평한 과세처분의 발생빈도가 더 높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예외규정...

      본 논문은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규제형평제도 도입안과 관련하여 그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조세법의 영역이 불형평한 과세처분의 발생빈도가 더 높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인 예외규정의 추가 개정으로 불형평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대량 조세행정의 특성을 고려해 볼 때, 오히려 조세법의 영역에 우선적으로 형평면제처분 등의 교정수단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본문의 내용으로 우리에게는 생소한 독일 국세기본법(Abgabenordnung) 제163조와 제227조를 근거로 한 과세관청의 형평면제처분(Billigkeitserlass)의 공법․조세법상 체계적인 해석과 한국 조세법 실무상 권리구제절차에 있어서 헌법을 근거로 한 직접 적용 가능성을 설명한다.
      이러한 독일 국세기본법의 일반적 수권규정을 1900년대 초반부터 신설하여 계속 유지하고 있음으로 인해서 형평성 보장 및 조세정의의 실현에 대한 법이론적 또는 법정책적 논쟁을 실정법과 도그마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발생사적 근거와 이로 인한 공법상의 논쟁을 소개한다. 독일에서는 1890년대 형평면제처분과 사면권과의 구분에 대한 논쟁이 있은 이후에 1960년대에는 형평면제처분에 대한 사법심사의 범위에 대해서 연방행정법원과 연방조세법원이 서로 대립하게 되어 결국 1971년에 연방최고법원 간 공동재판부를 구성하여 ‘구성요건과 법효과의 구분이 없는 통일적인 재량규정’으로 결정하여 판례의 입장을 통일시켰다. 이 판례를 전후하여 공법학에서는 또 다시 행정재량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판단 여지’ 이론의 인정근거로 주장되기도 하였다. 또한 행정법학에서 논의되는 억제적 금지(repressives Verbot), 즉 이러한 강행규정의 법적용으로 인한 부당한 결과의 보완수단으로 해제 유보(예외적 승인) 등으로 표현되는 면제처분수권규정, 가혹함완화규정과 조세법에서의 형평규정을 각각 설명하고 있다. 3개의 비슷하나 각기 다른 점을 가지고 있는 위 규정들의 공통점은 모두 강행규정을 전제로 한 수권규정이라는 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형평면제 수권규정으로 인해 문제가 되고 있는 조세법의 적용 사례들 중 기업회생 절차상 채무면제이익(Sanierungsgewinn)에 대한 불형평한 과세를 분석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헌법체계에서 대법원의 실무에 따르면 헌법 제107조 제2항을 직접 근거로 1심의 행정법원에서부터 불형평한 과세에 대한 납세자의 권리보호가 현행 법제에서도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r Begriff “Billigkeit” geht auf Aristoteles zurück. Seine grundlegenden Darstellungen über den Begriff “Epieikeia (έπιείκεια)” haben nicht nur die römische “aequitas”, sondern auch viele wichtige Rechtsphilosophen wie z. B. T...

      Der Begriff “Billigkeit” geht auf Aristoteles zurück. Seine grundlegenden Darstellungen über den Begriff “Epieikeia (έπιείκεια)” haben nicht nur die römische “aequitas”, sondern auch viele wichtige Rechtsphilosophen wie z. B. Thomas von Aquin, Hugo Grotius, Gustav Radbruch und Max Rümelin beeinflusst. Beim Erlass der §§163, 227 AO hat sich der Gesetzgeber an deren Grundgedanken mitorientiert. Der in dieser Arbeit verwendete Begriff des “Billigkeitserlasses” ist als Billigkeitsmaßnahme nur nach den §§163, 227 AO 1977, also im Sinne des §131 RAO, zu verstehen. Dabei wird von verschied- enen verfahrensrechtlichen Auswirkungen zwischen beiden Vorschriften ab- gesehen. Anders als die Dispensermächtigung, die zur Durchbrechung allgemeiner Normen für bestimmte konkrete Einzelfälle dient, begrenzen oder erweitern Härteklauseln von vornherein unter dem Gesichtspunkt der Individualgerechtigkeit den Geltungswillen der Norm. Im Ergebnis stellen die §§163, 227 AO 1977 besondere steuerrechtliche Härteklauseln dar. Dies hat zur Folge, dass Dispensationsermächtigung, Härteklausel und die §§163, 227 AO nicht identisch sind. Der Billigkeitserlass im Steuerrecht ist ein bereichs- pezifischer, grundrechtsindizierter Sonderfall der öffentlich-rechtlichen Härtek- lausel.
      Beim Billigkeitserlass stellt sich die Frage, ob die Erhebung von Steuern auf Sanierungsgewinne den zu sanierenden Steuerpflichtigen oder das zu sanierende Unternehmen erdrosseln und nicht mit dem Ziel der Sanierung vereinbar sein würde. Die Steuerfreiheit des Sanierungsgewinns könnte aber nach den Grundprinzipien des Einkommens- und Körperschaftssteuerrechts systemwidrig sein, wenn der durch den Erlass der Verbindlichkeiten entste- hende Gewinn mit laufendem und vorgetragenem Verlust unbegrenzt verrechnet werden könnte. Bei der Verewigung des Verlustvortrags könnte also die Steuerfreiheit des Sanierungsgewinns zu einer doppelten einkommens- mindernden Wirkung des Verlustes führen. Die Unternehmssteuer auf ein nach Ausschöpfen der ertragsteuerrechtlichen Verlustverrechnungsmöglichkeiten verbleibender Sanierungsgewinn ist nichts anderes als eine Erdrosselungs- steuer mit konfiskatorischer Auswirkung. Aus diesem Befund kann festgestellt werden, dass die Besteuerung des Sanierungsgewinns in Süd-Korea verfassung- swidrig ist. Aufgrund Art. 107 Abs. 2 KV kann der Steuerpflichtige einen Rechtsanspruch auf Aufhebung der unbilligen Steuerbescheide vor den Verwaltungsgerichten geltend mach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의영, "회사도산세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효율적 도산제도 운용을 위한 조세법적 접근" 서울대학교 2008

      2 김중권, "행정법상의 금지와 그것의 해제에 관한 소고, in: 행정법기본연구Ⅰ" 법문사 2008

      3 서보국, "행정법상 선결문제와 헌법 제107조 제2항에서의 ‘처분’ 및 ‘재판의 전제’와의 관계"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5) : 139-163, 2009

      4 박훈,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비과세 및 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26 (26): 149-175, 2009

      5 이태로, "조세법강의(신정6판)" 박영사 2010

      6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0

      7 한만수, "자본구조조정 및 채무조정의 과세효과에 관한 고찰" 한국세법학회 14 (14): 7-50, 2008

      8 한만수, "우리나라 기업구조조정 과세제도의 개선책" 세법연구회 5 : 1999

      9 玉武錫, "우리나라 구조조정 세제의 회고와 전망" 한국세법학회 9 (9): 2003

      10 김완석, "소득세법론(제15판)" 광교이택스 2008

      1 이의영, "회사도산세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효율적 도산제도 운용을 위한 조세법적 접근" 서울대학교 2008

      2 김중권, "행정법상의 금지와 그것의 해제에 관한 소고, in: 행정법기본연구Ⅰ" 법문사 2008

      3 서보국, "행정법상 선결문제와 헌법 제107조 제2항에서의 ‘처분’ 및 ‘재판의 전제’와의 관계"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5) : 139-163, 2009

      4 박훈,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비과세 및 감면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세무학회 26 (26): 149-175, 2009

      5 이태로, "조세법강의(신정6판)" 박영사 2010

      6 임승순, "조세법" 박영사 2010

      7 한만수, "자본구조조정 및 채무조정의 과세효과에 관한 고찰" 한국세법학회 14 (14): 7-50, 2008

      8 한만수, "우리나라 기업구조조정 과세제도의 개선책" 세법연구회 5 : 1999

      9 玉武錫, "우리나라 구조조정 세제의 회고와 전망" 한국세법학회 9 (9): 2003

      10 김완석, "소득세법론(제15판)" 광교이택스 2008

      11 이창희, "세법의 헌법적 기초에 관한 시론" 세법연구회 6 : 2000

      12 이창희, "세법강의(제8판)" 박영사 2009

      13 박종수, "납세의무의 승계와 소득세법상의 결손금" 한국세법학회 12 (12): 134-169, 2006

      14 서보국, "기업회생절차상 채무면제이익의 과세에 대한 독일 조세법의 형평면제처분" 안암법학회 (29) : 69-118, 2009

      15 방승주, "과세의 재산권적 한계― 소위 “반액과세의 원칙(Halbteilungsgrundsatz)”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3 (13): 413-449, 2007

      16 M. Jachmann, "Zur Anwendung typisierender Verwaltungsvorschriften im Steuerrecht, StuW 1994, S. 347 ff"

      17 K. Vogel, "Verwaltungsvorschriften zur Vereinfachung der Sachverhaltermittlung und “normkonkretisierende“ Verwaltungsvorschriften, in:Festschrift für W. Thieme zum 70. Geburtstag, 1993, S. 605 ff"

      18 P. Selmer, "Steuerinterventionismus und Verfassungsrecht"

      19 K. Tipke, "Steuergerechtigkeit in Theorie und Praxis"

      20 G. Radbruch, "Rechtsphilosophie, Studienausgabe, 2. Aufl."

      21 S. Huster, "Rechte und Ziele"

      22 B. Dehne, "Ober- und Untergrenzen der Steuerbelastung in europäischer Sicht"

      23 O. Bachof, "Neue Tendenzen in der Rechtsprechung zum Ermessen und zum Beurteilungsspielraum, JZ 1972, S. 641 ff"

      24 H.-W. Arndt, "Inhalt und Grenzen der Ermessensausübung bei Anwendung des §131 AO, DStR 1973, S. 168 ff"

      25 P. Kirchhof, "Gesetz und Billigkeit im Abgabenrecht, in:Festschrift für Scupin, 1983, S. 775 ff"

      26 R. E. Harrison, "Discharge of indebtedness:a section 108 primer" 1992

      27 J. Isensee, "Die typisierende Verwaltung"

      28 H.-J. Papier, "Die finanzrechtlichen Gesetzesvorbehalt und das grundgesetzliche Demokratieprinzip"

      29 G. Meyer, "Die Verhandlung des preussischen Abgeordnetenhauses über den Erlass von Stempelsteuern für Fideikommisse, Neue Heidelberger Jahrbücher, Bd. 1, 1891, S. 336 ff"

      30 A. Hensel, "Die Abänderung des Steuertatbestandes durch freie Ermessen und der Grundsatz der Gleichheit vor dem Gesetz, VJSchr. StF, 1927, S. 39 ff"

      31 O. Mayer, "Deutsches Verwaltungsrecht, Bd. II, 3. Aufl., unverä. Nachdr., 1969"

      32 R. Mußgnug, "Der Dispens von gesetzlichen Vorschriften"

      33 C. Bornahk, "Das Recht des Königs zum Steuererlass in Preussen, AöR 6 (1891), S. 311 ff"

      34 D. Birk, "Das Leistungsfähigkeitsprinzip als Maßstab der Steuernormen"

      35 P. Laband, "Das Gnadenrecht in Finanzsachen nach preussischem Recht, AöR 7 (1892), S. 167 ff"

      36 I. Pernice, "Billigkeit und Härteklauseln im öffentlichen Recht"

      37 W.-R. Schenke, "Besteuerung und Eigentumsgarantie in:Rechtsfragen im Spektrum des Öffentlichen, Mainzer Festschrift für Hubert Armbruster, 1976, S. 177 ff"

      38 H. H. v. Arnim, "Besteuerung und Eigentum, VVDStRL 39(1981), S. 286 ff"

      39 G. Hölzle, "Besteuerung der Unternehmenssanierung, FR 2004, S. 1193 ff"

      40 M. A. Cecil, "Bankruptcy reform:What's tax got to do with it?" 2006

      41 W. Schmidt, "Abschied vom “unbestimmten Rechtsbegriff“, NJW 1975, S. 1753 ff"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세법연구회 -> 한국세법학회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048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