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속가능한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문화관광이벤트 운영 방안 : 장성군 황룡강 노란꽃잔치를 중심으로 = Event-led strategy to enhance cities sustainable competitive edge : focusing on yellow flower festival in Jangseong-g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39912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26.393 판사항(6)

      • DDC

        338.4791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 145 p.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용근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p. 129-133

      • UCI식별코드

        I804:11035-00000003115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a shift in cultural tourism circumstances and transformation of market strategy in industry, regions are encouraged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by building in build in sustainable components to enhance the city's brand and image identity. Region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aim to support the city's competitiveness by integrating multiple goals and generating positive outcomes. In the past two decades, the quantity of regional festivals has increased rapidly, and at the same time it has caused some social problems. Regional festivals that rely on government-led public resources, have faced the challenge of a lack of operational consistency despite their positive functions. Competency in delivering regional festivals that incorporate sustainable components needs to be strengthened to enhance resource efficiencies and the capture the potential value of the host city through active support of community members and fiscal independence.
      This research focuses on creating conditions for the sustainable power circulation with regional identity-based festivals while fostering citizens' empathy became a practical driving force that delivers an economic boost to the region. Regional festival's continuous operation viability which complements the local people's economy is confirmed, based on the case of city brand Yellow City-linked ecology and the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in Jangseong-g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foundation for endogenous development by empowering sustainable competitive edge with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regional festivals as a social infrastructure industry for local image management under a comprehensive administrative planning function.
      The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empirical research and survey analys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the sustainable components of regional festivals are organized into five categories: socio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ecological, political administration, and operational management sustainable viability. The survey focused on identifying the economic effectiveness, supportive attitude,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as the continuous operation viability aspect of the regional festival.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and correlation between concep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secured positive factors for steady operation due to the high rates of revisit, local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but needs to induce long distance visitors by supplementing various paid-experience programs, local specialties sales and linked-services. In order to achieve financial independ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a Cultural Tourism Festival(selec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ncerted efforts should be made to transform the citizens' perception positively on direct economic effects such as admission fees.
      In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admission fee assuming the circumstances of collection under the premise of local consumable coupon provision, vali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confirmed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iting purpose. Visitors in over 50s bracket, less educated, local specialties and food-purpose groups showe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the economic effectiveness through the revenue from admission fees while, visitors in the teenage, higher educated and socializing-purpose groups showe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valid perception differences are also found out about the economic effectiveness on paid experience programs and stay type · accommodation linked tourism by age and visiting purpose. Respective measures are proposed to cultivate the regional economy revitalization for each visitor group with the consideration of resulted characteristics i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onal consistency impacts of the regional festival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for all components. And between impact of economic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on the supportive attitude of participants was the most significant. Several characteristics of visitors showed differences relating to sustainable operation perceptions as follows: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iting purpose in economic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perception differences, and by visiting purpose in supportive attitude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demonstrates visitors' recognition of utilization satisfaction, supportive attitude, and economic effectiveness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impacted on by the operational consistency of regional festivals. It is expected that empowering the circular energy generation, combined with the event-led strategy by securing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will enhance the city competitiveness. This study provides measures on relevant factors of each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analyzed results and suggests further study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se measures directly.
      번역하기

      Due to a shift in cultural tourism circumstances and transformation of market strategy in industry, regions are encouraged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by building in build in sustainable components to enhance the city's brand and image identity. R...

      Due to a shift in cultural tourism circumstances and transformation of market strategy in industry, regions are encouraged to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by building in build in sustainable components to enhance the city's brand and image identity. Region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aim to support the city's competitiveness by integrating multiple goals and generating positive outcomes. In the past two decades, the quantity of regional festivals has increased rapidly, and at the same time it has caused some social problems. Regional festivals that rely on government-led public resources, have faced the challenge of a lack of operational consistency despite their positive functions. Competency in delivering regional festivals that incorporate sustainable components needs to be strengthened to enhance resource efficiencies and the capture the potential value of the host city through active support of community members and fiscal independence.
      This research focuses on creating conditions for the sustainable power circulation with regional identity-based festivals while fostering citizens' empathy became a practical driving force that delivers an economic boost to the region. Regional festival's continuous operation viability which complements the local people's economy is confirmed, based on the case of city brand Yellow City-linked ecology and the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in Jangseong-g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foundation for endogenous development by empowering sustainable competitive edge with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regional festivals as a social infrastructure industry for local image management under a comprehensive administrative planning function.
      The study consist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empirical research and survey analys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festivals as cultural tourism events, the sustainable components of regional festivals are organized into five categories: socio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ecological, political administration, and operational management sustainable viability. The survey focused on identifying the economic effectiveness, supportive attitude,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as the continuous operation viability aspect of the regional festival. An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derived from the analysis on the perception differences and correlation between concep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ors.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secured positive factors for steady operation due to the high rates of revisit, local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evaluation, but needs to induce long distance visitors by supplementing various paid-experience programs, local specialties sales and linked-services. In order to achieve financial independ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a Cultural Tourism Festival(selected b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oncerted efforts should be made to transform the citizens' perception positively on direct economic effects such as admission fees.
      In the questionnaire regarding the admission fee assuming the circumstances of collection under the premise of local consumable coupon provision, vali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confirmed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iting purpose. Visitors in over 50s bracket, less educated, local specialties and food-purpose groups showed the most positive perception for the economic effectiveness through the revenue from admission fees while, visitors in the teenage, higher educated and socializing-purpose groups showed relatively negative perception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valid perception differences are also found out about the economic effectiveness on paid experience programs and stay type · accommodation linked tourism by age and visiting purpose. Respective measures are proposed to cultivate the regional economy revitalization for each visitor group with the consideration of resulted characteristics in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onal consistency impacts of the regional festival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for all components. And between impact of economic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on the supportive attitude of participants was the most significant. Several characteristics of visitors showed differences relating to sustainable operation perceptions as follows: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visiting purpose in economic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satisfaction perception differences, and by visiting purpose in supportive attitude perception.
      The results of this thesis demonstrates visitors' recognition of utilization satisfaction, supportive attitude, and economic effectiveness are closely interrelated and impacted on by the operational consistency of regional festivals. It is expected that empowering the circular energy generation, combined with the event-led strategy by securing the sustainable operation of the Hwangryong River Yellow Flower Festival will enhance the city competitiveness. This study provides measures on relevant factors of each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analyzed results and suggests further study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se measures direc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는 복합적 목적 달성과 종합적 효과로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관주도의 공공재원에 의존하는 지역축제는 긍정적 기능에도 운영 지속성 부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지역축제의 지속가능 발전역량 강화로 주민의 적극적 지지와 행사의 재정자립 확보를 통해 개최지역의 자원 효용성을 높이고 미래가치를 제고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정체성 기반 축제가 경제 활성화를 견인하고 이에 대한 지지가 실질적 동력이 되어 지속가능 에너지가 순환하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도시브랜드 옐로우시티 연계 생태와 지역축제를 개발한 장성군의 황룡강 노란꽃잔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체감형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지속 운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역 이미지관리를 위한 사회적 기간산업으로 종합행정기획기능 하에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을 확보함으로써 내생적 지역 발전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성은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 분석 중심이다.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 구성요소를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생태적, 정치·행정적, 운영·관리적 지속성 5가지로 정리하였다. 조사는 지역축제의 지속적 운영에 집중하여 경제효과, 지지태도, 이용만족을 확인하고 방문객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와 개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황룡강 노란꽃잔치는 재방문율과 지역주민 참여율, 이용만족이 높아 안정적 지속 운영에 긍정적 요인을 확보하였으나 원거리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유료체험프로그램, 특산품, 연계 서비스의 보완이 필요하다. 문화관광축제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경제적 자립을 위해 입장료 징수 등의 직접적 경제효과에 대한 주민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 필수조건인 재정자립을 위한 입장료 관련 군내 사용가능한 쿠폰 제공 전제하에 징수 상황을 가정한 설문에서 연령별, 학력별, 방문목적별 유효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었다. 50대 이상, 저학력, 특산품 및 음식 목적 방문객이 입장료 수익을 통한 경제효과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인 반면 10대-20대, 고학력, 친목도모 목적 방문 집단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유료체험프로그램 및 체류·숙박 연계 관광을 통한 경제효과에 대해서도 연령별, 방문목적별 유효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가능성 영향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구성요인 간 모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제효과와 이용만족이 지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큰 유의성을 보였다. 지역축제 방문객의 연령별, 학력별, 방문목적별 특성이 경제효과와 이용만족에, 방문목적별 특성이 지지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에 이용객의 이용만족, 지지태도, 그리고 경제효과 인식이 상호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분석에 따른 특성을 반영한 황룡강 노란꽃잔치의 차별화된 운영 전략으로 운영 지속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경쟁력을 위한 발전 동력 순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는 복합적 목적 달성과 종합적 효과로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관주도의 공공재원에 의존하는 지역축제는 긍정적 기능에도 운영 지속성 부족의 문제...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는 복합적 목적 달성과 종합적 효과로 도시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관주도의 공공재원에 의존하는 지역축제는 긍정적 기능에도 운영 지속성 부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지역축제의 지속가능 발전역량 강화로 주민의 적극적 지지와 행사의 재정자립 확보를 통해 개최지역의 자원 효용성을 높이고 미래가치를 제고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 정체성 기반 축제가 경제 활성화를 견인하고 이에 대한 지지가 실질적 동력이 되어 지속가능 에너지가 순환하는 여건을 조성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도시브랜드 옐로우시티 연계 생태와 지역축제를 개발한 장성군의 황룡강 노란꽃잔치 사례를 중심으로 주민체감형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축제의 지속 운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역 이미지관리를 위한 사회적 기간산업으로 종합행정기획기능 하에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을 확보함으로써 내생적 지역 발전기반을 조성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성은 문헌 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 분석 중심이다.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지속가능 구성요소를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생태적, 정치·행정적, 운영·관리적 지속성 5가지로 정리하였다. 조사는 지역축제의 지속적 운영에 집중하여 경제효과, 지지태도, 이용만족을 확인하고 방문객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와 개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황룡강 노란꽃잔치는 재방문율과 지역주민 참여율, 이용만족이 높아 안정적 지속 운영에 긍정적 요인을 확보하였으나 원거리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유료체험프로그램, 특산품, 연계 서비스의 보완이 필요하다. 문화관광축제로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경제적 자립을 위해 입장료 징수 등의 직접적 경제효과에 대한 주민 인식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 필수조건인 재정자립을 위한 입장료 관련 군내 사용가능한 쿠폰 제공 전제하에 징수 상황을 가정한 설문에서 연령별, 학력별, 방문목적별 유효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었다. 50대 이상, 저학력, 특산품 및 음식 목적 방문객이 입장료 수익을 통한 경제효과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보인 반면 10대-20대, 고학력, 친목도모 목적 방문 집단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유료체험프로그램 및 체류·숙박 연계 관광을 통한 경제효과에 대해서도 연령별, 방문목적별 유효한 인식 차이가 확인되어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운영 지속성 확보를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가능성 영향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구성요인 간 모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경제효과와 이용만족이 지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큰 유의성을 보였다. 지역축제 방문객의 연령별, 학력별, 방문목적별 특성이 경제효과와 이용만족에, 방문목적별 특성이 지지태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에 이용객의 이용만족, 지지태도, 그리고 경제효과 인식이 상호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분석에 따른 특성을 반영한 황룡강 노란꽃잔치의 차별화된 운영 전략으로 운영 지속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경쟁력을 위한 발전 동력 순환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내용 및 구성 5
      • 제 2 장 지역축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8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 내용 및 구성 5
      • 제 2 장 지역축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8
      • 제 1 절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 8
      • 1. 문화관광이벤트의 개념과 특징 8
      • 2. 문화관광이벤트로서의 지역축제 개념과 현황 12
      • 3. 지역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20
      • 제 2 절 지역축제의 효과 27
      • 1. 문화적 효과 27
      • 2. 경제적 효과 29
      • 3. 사회적 효과 32
      • 제 3 절 지속 운영이 가능한 지역축제 34
      • 1. 지속가능성 개념 34
      • 2. 문화관광에서의 지속가능 구성요소 36
      • 3. 지역축제의 운영 지속성 확보 방안 45
      • 제 4 절 소결 50
      • 제 3 장 연구 방법 54
      • 제 1 절 연구 대상지 54
      • 1. 연구 대상지 선정 배경 54
      • 2. 장성군 개요 및 현황 55
      • 3. 장성 옐로우시티 사업 57
      • 제 2 절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59
      • 1. 황룡강 노란꽃잔치 개요 59
      • 2. 황룡강 노란꽃잔치 현황 62
      • 제 3 절 조사 및 분석 방법 66
      • 1. 설문 구성 66
      • 2. 조사 및 분석 방법 69
      • 제 4 장 운영 지속성 관련 인식 결과 및 고찰 73
      • 제 1 절 이용객 인식특성 및 측정타당성 검증 73
      • 1. 인구사회학적 특성 74
      • 2. 이용행태 특성 78
      • 3. 측정의 타당성 및 적합성 검증 81
      • 제 2 절 운영 지속성에 대한 인식 85
      • 1. 운영 지속성 측정개념에 대한 인식 85
      • 2. 이용객 특성에 따른 경제효과 인식 차이 90
      • 3. 이용객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 인식 차이 95
      • 4. 이용객 특성에 따른 지지태도 인식 차이 100
      • 제 3 절 측정개념 간 영향관계 및 입장료에 대한 인식 102
      • 1. 운영 지속성 개념 간 영향관계 102
      • 2. 입장료에 대한 인식 108
      • 3. 운영 지속성 개념 간 입장료 인식관계 113
      • 제 4 절 종합 고찰 116
      • 1. 이용객이 인정하는 축제 116
      • 2.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축제 118
      • 3. 운영 지속성 확보 121
      • 제 5 장 결론 123
      • ▪ 참고문헌 129
      • ▪ 부록 설문지 134
      • ▪ ABSTRACT 138
      • ▪ 감사의 글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