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운영형태별 성과분석 = Performance Analysis of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50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서울시 직영 및 민간위탁 형태로 운영중인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운영형태별 성과를 분석하고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관련자료조사, 여성발전센터 이용자 및 종사자에 대한 설문조사,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조사를 병행하였다.성과분석의 제 측면으로 능률성, 효과성, 서비스의 질, 공공성 항목을 구성하였고, 각 항목별 분석지표를 통하여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민간위탁 운영은 능률성 및 효과성, 서비스의 질 항목에서는 대부분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였다. 민간부문의 전문성과 경영능력, 그리고 창의력의 발현이 운영성과에 반영되어 서울시의 직영체제 보다는 다소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률성 항목 중 사업비의 비율에서는 시 직영센터가 민간위탁센터보다는 상대적으로 목적사업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기관설립목적에 보다 더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성 측면에서도 민간위탁센터보다는 나은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민간위탁할 경우 예상되는 운영방식으로서 지나치게 수익성을 강조하거나 또는 수강료 수입의 증대를 위한 센터의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서울시의 적절한 지도감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여성발전센터의 정체성 확립, 재정자립도 제고, 인력의 전문성 강화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서울시 직영 및 민간위탁 형태로 운영중인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운영형태별 성과를 분석하고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관련자...

      이 연구는 서울시 직영 및 민간위탁 형태로 운영중인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운영형태별 성과를 분석하고 운영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 및 관련자료조사, 여성발전센터 이용자 및 종사자에 대한 설문조사,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조사를 병행하였다.성과분석의 제 측면으로 능률성, 효과성, 서비스의 질, 공공성 항목을 구성하였고, 각 항목별 분석지표를 통하여 성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서울시 여성발전센터의 민간위탁 운영은 능률성 및 효과성, 서비스의 질 항목에서는 대부분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였다. 민간부문의 전문성과 경영능력, 그리고 창의력의 발현이 운영성과에 반영되어 서울시의 직영체제 보다는 다소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능률성 항목 중 사업비의 비율에서는 시 직영센터가 민간위탁센터보다는 상대적으로 목적사업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기관설립목적에 보다 더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성 측면에서도 민간위탁센터보다는 나은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민간위탁할 경우 예상되는 운영방식으로서 지나치게 수익성을 강조하거나 또는 수강료 수입의 증대를 위한 센터의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강화는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서울시의 적절한 지도감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전반적으로 여성발전센터의 정체성 확립, 재정자립도 제고, 인력의 전문성 강화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have been managed by the City government or the third sector since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performance of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in order to seek ways to advance their service quality and efficiency. The methods of analysi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surveys and field research. Four performance indicators were used, including efficiency, effectiveness, quality of service, and equality.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women’s development centers that are managed by the third sector provide better services by optimizing their expertise but generally are driven by profit-oriented motives rather than a desire to enhance service quality.
      번역하기

      The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have been managed by the City government or the third sector since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performance of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in order to seek ways to adv...

      The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have been managed by the City government or the third sector since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performance of women’s development centers in Seoul, in order to seek ways to advance their service quality and efficiency. The methods of analysis for this study include literature reviews, interviews with employees and public officials, surveys and field research. Four performance indicators were used, including efficiency, effectiveness, quality of service, and equality.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women’s development centers that are managed by the third sector provide better services by optimizing their expertise but generally are driven by profit-oriented motives rather than a desire to enhance service qua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란, "지역공동체와 여성 - 여성회관의 기능 재정립" 2002

      2 정윤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과정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12 (12): 2000

      3 김인, "지방의료원의 운영형태별 성과분석" 33 (33): 1999

      4 이상수, "지방공공의료서비스의 조직운영형태별 성과평가" 34 (34): 2000

      5 송근원, "위탁 여건에 따른 공공 서비스의 유형" 12 (12): 2002

      6 허만형, "서울특별시 민간위탁 효과성 평가 : 복지시설" 한국행정학회 2001

      7 "서울여성백서" 서울시 1999

      8 "서울시 청소년수련관 운영현황 분석 및 관리개선 방안" 11 (11): 2002

      9 "서울시 사회복지관 평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10 이세구, "서울시 사업소 성과평가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 김혜란, "지역공동체와 여성 - 여성회관의 기능 재정립" 2002

      2 정윤길,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과정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12 (12): 2000

      3 김인, "지방의료원의 운영형태별 성과분석" 33 (33): 1999

      4 이상수, "지방공공의료서비스의 조직운영형태별 성과평가" 34 (34): 2000

      5 송근원, "위탁 여건에 따른 공공 서비스의 유형" 12 (12): 2002

      6 허만형, "서울특별시 민간위탁 효과성 평가 : 복지시설" 한국행정학회 2001

      7 "서울여성백서" 서울시 1999

      8 "서울시 청소년수련관 운영현황 분석 및 관리개선 방안" 11 (11): 2002

      9 "서울시 사회복지관 평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10 이세구, "서울시 사업소 성과평가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1

      11 허만형, "복지정책 집행의 관점에서 본 공공복지서비스의 평가: 서울시복지사업소 복지남용사례" 33 (33): 1999

      12 박순애, "복지시설 민간위탁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서울시 청소년수련관의 민간위탁과정을 중심으로-" 11 (11): 2002

      13 김경혜, "복지시설 민간위탁 운영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14 조연숙, "복지서비스기관 운영형태 다양화의 성과분석 서울특별시 여성발전센터를 중심으로" 35 (35): 2001

      15 이영교, "민간위탁을 통한 복지서비스의 공급" 55 : 1997

      16 이정은, "민간위탁 성과 영향요인의 분석: 서울특별시 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12 : 1998

      17 송근원, "공공서비스의 민간 위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 (12): 2003

      18 Prager, "lessons from the private sector" 1994

      19 Savas, "The key to better government" Chatham House Publishers Inc 1987

      20 Wallin, B, "The Need for a privatization process lessons fro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57 (57): 1997

      21 A, "Public management of privatization" 1991

      22 "Privatization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s" Chatham House Publishers Inc 2000

      23 Epste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public service" 1992

      24 Globernan, S., "A frame work for evaluating the government contracting-out decision with an application to it" 56 (56):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